View : 1190 Download: 0

한국사회 발레의 문화적 정당성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분석

Title
한국사회 발레의 문화적 정당성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분석
Other Titles
A sociological analysis on cultural legitimacy of ballet in South Korea
Authors
박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발레의 위상변화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르디외의 장이론에 따라 이러한 발레의 위상변화를 문화적 정당화의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부르디외를 비롯한 많은 예술사회학자들은 문화적 정당성이 해당 문화의 위상을 보증하는데, 이것은 특수한 역사를 통해 획득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발레의 위상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수행하고, 이와 더불어 한국신문의 발레기사를 통해 문화적 정당성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한국사회에서 발레의 위상과 관련된 사료들을 검토한 결과, 195,60년대 한국사회에서 발레는 현재의 고급문화로서의 지위와 달리 낮은 위상의 문화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 위에, 발레장의 외부와 내부와 관련된 역사에 대해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발레장의 외부에서 한국의 정부제도는 공연예술정책을 통해 발레를 배제와 통제 그리고 포섭의 대상으로 대하면서 발레의 예술로서의 격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한국정부는 공교육에서 발레의 배제와 대학과정에서의 활성화를 통해, 발레에 접근가능한 사람들을 특정한 계층으로 한정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발레장의 외부에서 한국의 민간제도는 명문여자사립학교들이 한국사회에서 발레교육을 선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발레에 대한 인식제고에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신문사는 발레관련 문화사업에서 고전발레작품 중심의 서양발레단을 초청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서양고급문화의 분배자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발레장의 내부는 전문발레단과 대학의 무용과들이 창작발레작품과 고전발레작품을 통해 미적 실천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작품의 변화는 당시 한국사회에서 인정받기 위한 전략이었고 볼 수 있다. 또한 발레와 관련된 비평계와 협회는 오락으로서의 발레를 배제하면서 보다 분명하게 순수예술로서 발레를 추구해 나갔다. 이와 더불어 한국에 발레가 도입된 초기에 오락을 선호하는 대중 역시 발레의 관객으로 존재하였으나, 한국의 일제 해방이후 발레가 엘리트의 문화로 바뀌면서 대중적 관객은 배제되었고 1990년대 이후 고정적인 관객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한국사회에서 발레의 문화적 정당성이 점차 증가해왔는지를 알아보고자 한국의 신문기사에서 1955년 이후의 발레기사를 양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문화적 정당성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양분하여 수행하였다. 발레기사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발레의 문화적 정당성이 양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적 정당성의 질적 측면인 부르주아적 정당성, 장의 자율성, 남성우위의 구조, 그리고 서구문화의 권위가 발레기사에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매개자들이 발레를 가치있는 대상으로 여기는 경향이 증가하고, 엘리트적 태도의 발레기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한국사회에서 발레에 대한 부르주아적 정당성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장르의 예술가에 비해 발레예술가들의 위상이 증가함으로서 발레장에서 분류원리의 자율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성발레예술가들에 대한 기사가 증가하고 이들에 대한 예술적 프로필이 부각되면서 남성중심의 발레기사는 발레의 문화적 정당성에 일조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서구의 발레작품과 서구에서의 인정은 상당한 권위를 지니면서, 문화적 정당성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에서 발레가 낮은 위상의 문화에서 보다 높은 위상의 문화로 변화해온 과정은 발레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람들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여러 부분과 연관되는 문화적 정당성 획득의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으며, 미디어 담론을 통해 이러한 발레의 문화적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This study aims at providing description of changes in status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based on sociology of art. It sees the changes as cultural legitimati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Bourdieu’s field theory. Numerous researchers including Bourdieu asserted that cultural legitimation had been secured by the culture’s unique history.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status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from a historical viewpoint based on the studies as well as cultural legitimacy reflected in newspaper articles through discourse. I examined historical data related to the status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The results showed that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e 1950s and 1960s had relatively lower status compared with the current one considered as high culture. Based on this historical fact, I carried out literature analysis in the field of ballet in South Korea distinguishing inside from outside for historical research. In outside of the field of ballet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system exercised profound influence on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performing arts policies. The policies regarded ballet as a means of exclusion, control and enticing people. Additionally, the government excluded ballet from public education and invigorated it in higher education. This resulted that only a certain class of people could have access to ballet. In outside of the field of ballet, prestigious private girls’ schools took the initiative in embracing ballet education so tha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public awareness of ballet. Newspaper companies acted as distributors of western high culture in South Korean society by inviting western ballet companies which focused on repertories of classical ballet. In inside of the field of ballet in South Korea, ballet companies and department of dance in universities carried out aesthetic practice by performing creative ballets and repertories of classical ballet. It can be seen as strategies for gaining recognition in the society. Critics and associations were clearly in the pursuit of ballet as fine art excluding entertainment. In the early stage of introducing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the general public that favored in entertainment was also part of audience only to be excluded, as ballet became the culture of elit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colonization. Since the 1990s, built-in audience for ballet emerged in South Korean societ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ultural legitimacy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was gradually raised, I analyzed newspaper articles on ballet since 1955 by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ultural legitimacy was analyzed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iewpoints respectively. The quantity of articles on ballet mounted over time which illustrated that cultural legitimacy of ballet in the society increased. Reflected in the articles are bourgeois legitimacy which is the qualitative aspects of cultural legitimacy, autonomy in the field, male-dominated system and the prestigious status of western culture. It appears that bourgeois legitimacy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has increased, judging from the increase in the tendencies for placing value on ballet among cultural intermediaries and in articles which stick to elitist points of view. And it appeared that the autonomy of classification in the field of ballet has increased as the social status of ballet artists has improved, compared with the social status of artists in other fields. Male-dominated articles such as the increase in articles on male ballet artists and highlighting on their profiles in artistic aspects contributed to cultural legitimacy of ballet. Last but not least, it seems that western repertories of ballet and recognition in western countries have significant authority and it carries a strong emphasis on cultural legitimacy in South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status of ballet in South Korean society was a social process related to various parts of the society as well as people with direct concern. Additionally, media discourse reflects the cultural legitimacy well which ballet had acquired in the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