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김소희와 성우향의 <춘향가> 사설 및 선율 비교

Title
김소희와 성우향의 <춘향가> 사설 및 선율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Chunhyang-ga by Kim So-Hee and Sung Woo-hyang
Authors
이신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판소리의 유파의 시작이 언제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유파별 ‘제’가 초대 인물이 살았던 시대(년도)와 사승관계로 그 연대를 짐작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판소리가 김소희의 <춘향가>이며, 김소희가 활동했던 시기의 여성 명창 성우향은 김세종제 <춘향가>의 전통성을 이어왔다. 본 논문은 김소희와 성우향의 <춘향가> ‘기산영수(箕山潁水)’부터 ‘적성가’를 중심으로 김소희, 성우향의 예술세계를 알아보고 사설 및 선율을 비교하여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두 창자간의 <춘향가> 사설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산영수’에서는 성우향이 중중모리 총 2장단이 더 많았으며 아니리 사설에서 김소희가 인물의 탄생이나 출생지, 배경 등을 더 나열함으로써 사설의 확대나 세심함이 돋보였다. 소리 사설에서는 성우향이 등장 인물들을 더 나열했지만, 이는 성우향이 2장단이 더 많아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방자 분부 듣고’에서는 성우향이 자진모리 총 1장단이 더 많았으며 이는 도섭이 2장단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동문 밖 나가면’의 아니리 사설은 두 창자 모두 그 내용이 유사하였으나 김소희는 중중모리의 장단으로 구성된 소리형태를 보였으며, 성우향은 아니리로 표현하여 구성의 차이가 났다. 또한 소리 사설은 김소희가 이도령 치장장면을 더 세심하게 표현하였다. 셋째, ‘적성가’에서는 아니리, 소리 모두 유사하였다. 두 창자간의 <춘향가> 선율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산영수’의 선율에서는 김소희가 제2장단, 제4장단, 제12장단에서 e♭음에서 하청인 B♭음으로 하행한 뒤 하본청인 c음으로 반종지 하는 진행이 돋보였고, 성우향은 제6장단의 ‘ra-sol’ 도약진행이 돋보였다. 둘째, ‘방자 분부 듣고’의 선율에서는 성우향의 제6장단, 제18장단, 제25장단, 제27장단, 제34장단, 제44장단에서 총 6회에 걸쳐 ‘do-si’ 반음진행이 출현하며, 이 진행은 계면조처럼 꺾는 음이 아닌 독립적인 음으로서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우조 안에서의 반음진행이라는 특징을 살려냈고, 제7장단, 제10장단에서 옥타브 이상의 도약진행이 돋보였다. 셋째, ‘적성가’ 선율에서 두 창자 모두 가곡성 우조로 한 개의 가사를 여러 음으로 노래하며 반음진행의 선율이 전개되었다. 김소희는 고음역대인 d본청 우조에서 ‘Sol-do’ 선율 진행이 주로 나타났으며, 성우향은 낮은음역대인 b♭본청 우조에서만 4회의 반음진행을 보였고 이것은 ‘Sol-do’ 선율 골격 진행에서 주로 나타났다. 특히 김소희는 주로 높은 음역대를 이용하여 세심하고 여성적인 음악적 특징을 나타내었고, 성우향은 주로 낮은 음역대를 사용하여 굵직한 농음으로 남성적인 음악적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김소희와 성우향의 <춘향가> 초입부분인 ‘기산영수’부터 ‘적성가’대목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각 대목에서 창자 개인의 사설 구성, 표현 방식과 음역대를 토대로한 음악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하여 김소희와 성우향의 <춘향가> ‘기산영수’부터 ‘적성가’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This study researched the world of art of two gifted singers, Kim So-Hee and Sung Woo-hyang by focusing on the Gisan-yeongsu and the Juksung-ga and comparing the lyrics and melody to explore the musical hallmark of two master singers.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hen exactly the school of Pansori really began. But the most recently created Pansori is Chunhyang-ga by Kim So-Hee and it has her own world of art. Also another female master singer Sung Woo-Hyang who was active at the same time as Kim So-Hee, handed down Chunhyang-ga as she was taught by her teacher. First, in Gisan-yeongsu, Sung Woo-Hyang used two more Jungjungmori rhythm and when it comes to the lyrics, Kim So-Hee described the details such as the birth of characters, birthplace, background and many others longer and more subtle. In the lyrics Sung Woo-Hyang enumerated more characters but it is because Sung Woo-Hyang used two more rhythm. Second, at the Bangja Bubun Deudgo Sung Woo-Hyang used one more Jajimmori rhythm. In the lyrics of the epic chant of the Dongmun Bakk Nagamyeon, the contents of lyrics of two singers were similar but there was difference that Kim So-Hee expressed it as Jungjungmori rhythm but Sung Woo-Hyang described it as the epic chant. First of all, in the melody of the Gisan-yeongsu Kim So-Hee showed significant half cadence by decending the melody from e♭ note to B♭ note at the second, the fourth, the eighth and the 12th beat and leading it to the C note which is Haboncheong and Sung Woo-Hyang performed it as six beat of ‘ra-sol’. Second, in the melody of the Bangja Bubun Deudgo ‘do-si’ seminote appears six times as total at the six, 18th, 25th, 27th, 34th and 44th beat of Sung Woo-Hyang and this sequence functions as independent sound. Third, in the melody of the Juksung-ga great singers both show Ujo style. Also they sang one line of lyric with various note and developed it as seminote structure. Kim So-Hee performed as ‘So-do’ sequence in the Ujo of main note D which is a high note and Sung Woo-Hyang showed just four times of semitone sequence in the Ujo of main note B♭ that is low note and it was prevail in the ‘Sol-do’ sequence. Especially Kim So-Hee mainly played high-pitched note and showed her own feminine muscial feature while Sung-Woo Hyang mostly played with low-piched tone with deep voice and represented her distinguised manly characteristics of music. In this study, it shows musical characteristics of two master singers in each part based on their composition of the lyrics and voice range by focusing on the Gisan-yeongsu and Juksung-ga, the intro of Chunhyang-ga. Hopefully this thesis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musical style of two master singers shown in the Gisan-yeongsu and Juksung-ga of Chunhyang-g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