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돈-
dc.contributor.author김선령-
dc.creator김선령-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57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5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6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6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807-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은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환경권이 시민의 직접적인 권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도시민의 여가·휴식 등을 위한 도시공원, 녹지 등의 결정 면적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실제 조성 비율은 낮으며 국내 녹지기반시설 구축 실태는 도시공원 조성보다 더 열악한 상황이다. 이는 도시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해 토지매입비는 과도하게 필요한 반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형편은 열악하여 도시공원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생활공간에 공원을 조성할 부지를 확보하기 힘든 여건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기존에 구축되어있는 녹지기반시설을 분석하여, 공원녹지기본계획에서 관리되는 공원이외에 녹지로 활용할 가능성을 지닌 자원들을 발굴하였다. GIS와 CAD를 활용하여 지도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문헌자료를 통해 각 유형별로 기능점수를 책정하고, 공공자전거 터미널과 도시공원의 도보권에도 기능점수를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녹지기반시설 통합점수를 도출하여 연결성이 부족한 곳을 파악하였으며 효율적으로 생태계 네트워크를 조성해 도시민들의 녹지 접근성을 높이고 생활 속에서 녹지를 누릴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지인 창원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계획도시로서 우수한 도시기반시설과 풍부한 공원·녹지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마산과 진해가 창원시에 통합되었기 때문에 구 창원시 지역인 성산구와 의창구 지역과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 사이의 편차가 있다. 다양한 시민단체 활동 등 주민들의 참여 의지도 강하며 환경수도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의 의지도 있기 때문에 창원시는 녹지기반시설을 분석하고 생태계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녹지의 활용도를 높이기에 최적화 된 곳이다. 오픈스페이스의 유형화는 연속지적도의 28가지 지목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문헌조사와 지도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유형에 맞도록 지목을 세분화 하였다. 그 결과 총 20개의 유형으로 오픈스페이스를 분류하였으며, 자연 생태적 기능, 환경 조절적 기능, 이용적 기능을 대상으로 오픈스페이스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에 도시 공원 도보권 면적 점수와 공공자전거 누비자 터미널 도보권 점수를 더하여 녹지기반시설 통합점수를 도출하였으며, 인구 분포와 비교하여 세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창원시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16.12m2이지만 1인당 녹지기반시설 면적은 672.85m2 이며 특히 7점 이상의 녹지기반시설 면적은 1인당 106.52m2임을 도출해내었다. 구 창원시인 의창구와 성산구는 계획도시였기 때문에 비교적 공원이 넓게 조성되어있고, 도시민의 생활권역 내부에 위치하였다. 또한 가로수 길과 공영자전거인 누비자 터미널이 잘 조성되어있어 생태네트워크 연결성이 높았다. 하지만 공단지역이 넓게 분포하고 생태네트워크의 단절을 유도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을 중심으로 가로수를 망처럼 정비하여 생태네트워크를 연결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는 철새도래지인 봉암갯벌이 보호지역으로 선정되어 있고, 보기 드문 형태로 도시 중심에 형성된 갯벌이라는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연결성을 확보해야 한다. 진해구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생태 숲과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나 생활권 내부가 아닌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누비자 터미널과 자전거 도로의 확보를 통해 생태네트워크의 핵심지역들과 연결성을 높여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오픈스페이스의 활용도와 생태네트워크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녹지 기반시설의 유형별 분류를 한 후 현재 창원시의 자연, 인문적 현황을 반영하여 점수로 수치화 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한 공간 창출 부담을 줄일 수 있었으며 높은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Today, as the desire for quality of life grows, environmental rights are recognized as citizens' major rights. According to this tendency, the area that decided to execution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for the leisure and rest of urban residents is steadily increasing, but the actual composition ratio is low, and the actual condition of construction of domestic green infrastructure is worse than that of urban parks. This is because the expense is excessive due to the high land price in the urban area, but the investment in the city park is insufficient due to the poor financial cond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t is also difficult to secure a place for the park in the area where buildings are already bui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green infrastructure for the Changwon city in Gyeongsangnam - do and to find out the resources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green space in addition to the parks managed by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The map data was constructed using GIS and CAD and give functional scores that were assigned to each type through literature data analysis. Function score was also given to the walking sphere of public bicycle terminal and urban park. Finally, the integrated score of the green infrastructure facility was derived by integrating each function score. Through this, we have identified places where connectivity is lacking, and by creating an ecosystem network efficiently, we have proposed ways to improve accessibility of green spaces and enjoy green spaces in daily life. Changwon City, which is the study site, is the first planned city in Korea and has excellent infrastructure and abundant parks and green spaces. However, since Masan and Jinhae were integrated in Changwon in 2010, there is a deviation between Changsan City, which is a district of Changwon City, and Changsan District, Masan District, Masan District, and Jinhae District. Changwon City has been optimized for analyzing green infrastructure and linking ecosystem networks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green areas because there is a willingness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civic group activities and to move to the environmental capital city. The typology of open space is based on the 28 items of continuous cadastral map, and it is subdivided the items according to each type by analyzing the literature survey and map data. As a result, open spaces were classified into 20 types and open space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natural ecological function, environmental control function, and usability function. Therefore, the integrated score of green space infrastructure was derived by adding the score of walking distance of city park and the score of walking distance of public bicycle Nubiza terminal. The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comparing with the population distribution. Through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e per capita urban park area of Changwon City is 16.12m2, but the green area infrastructure per capita is 672.85m2, and the area of green space infrastructure more than 7 points is 106.52m2 per capita.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existing open space and ecological network connectiv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green infrastructure based facilities into numerical values by reflecting current natural and humanistic environment of Changwon Cit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creating space for creating new green space and suggested high feasi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3 1. 내용적 범위 3 2. 공간적 범위 4 C. 연구의 방법 5 Ⅱ. 선행연구 고찰 8 A. 녹지기반시설의 개념 8 B. 도시생태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혜택 9 1. 도시생태네트워크의 개념 9 2. 도시생태네트워크의 역할 10 3. 도시생태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연결방안 11 C. 해외사례 분석 14 1. 녹색교통 : 차없는 도시와 자전거 14 2. 도심녹지 조성과 활용 17 Ⅲ. 창원시 현황 및 자연인문사회 환경 분석 20 A. 창원시 환경 특성 분석 20 1. 창원시 도시 특성 20 2. 창원시 생태자원 현황 21 3. 창원시 인구분포 및 녹지면적 비율 현황 25 B. 창원시 녹지기반시설 분석 28 1. 창원시 도보권 공원 현황 28 2. 창원시 자전거 이용 현황 30 3. 창원시 오픈스페이스 유형화지도 32 Ⅳ. 창원시 생태네트워크 구축계획 42 A. 창원시 통합 생태네트워크 현황 분석 42 B. 연결성 확보 및 광역구상 49 1. 세부 분석 49 2. 창원시 행정구역 별 분석 54 3. 창원시 생태네트워크 연결성 분석 56 4. 창원시 생태네트워크 연결성 확보 구상 58 Ⅵ. 결론 및 논의 61 참고문헌 63 부록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69 부록2. 창원시 공공자전거 누비자 현황 74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05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창원시의 녹지기반시설 분석을 통한 생태계 네트워크 연결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nalysis about green infrastructure of Changwon and planning of ecological network connectivity-
dc.creator.othernameKim, Sunryoung-
dc.format.pageix, 77 p.-
dc.contributor.examiner김유섭-
dc.contributor.examiner원용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