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이주영-
dc.creator이주영-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55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5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3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800-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nalyz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emale images depicted in propaganda paintings posted on the cover of 『Choseon-nyeoseong』 since the establishment of Juche art in North Korea. Through an examination of how women are portrayed this study zooms in on the substance of female images that frequently appear on propaganda paintings. North Korea is a country based on the paramount leadership system on which power is firmly concentrated. Therefore, propaganda and agitation are important to spread a paramount leader’s ideology and teach to the general public the party’s policy. Kim Jung-il was skilled at weaving in art-related tactics to politics, and led the propaganda art of North Korea. Such strategies began even before he was appointed by Kim Il-sung as the official successor in February 1974 while Kim Jung-Il was in the position of a secretary in charge of propaganda and agitation. In the 1970s, North Korean art established the logic and a system of socialist Juche art. Kim Jung-il focused on creating and spreading propaganda paintings, as tools that “keenly appeal to the ideology of the general public” by “dealing with various fields of social life.” The term Propaganda painting (Seonjeon-hwa) is often comprehended as the North Korean word for ‘poster’, but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n indigenous genre of North Korea. North Korean propaganda paintings have more doctrinaire and come in more consistent forms than most oth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retains propaganda paintings as independent published art and a militant tool that reflects Juche and the party’s political ideology. Currently in North Korea, propaganda paintings are a “strong ideological weapon that directly serves politics” by promotion of a socialist revolution and socialism. This thesis set covers the period starting from the 1970s, when Juche art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August 2017, approaching propaganda images as a way of expressing the power of the ruling leaders. Years between 1970 and 1978 a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s the bookbinding of 『Choseon-nyeoseong』 did not include a cover page at this time. Accordingly, this thesis analyzes female images depicted in the propaganda paintings of 『Choseon-nyeoseong』 from its first volume in 1979 through volume no.8 in 2017. This study examines a collection of 187 propaganda paintings of the said period, of which women appeared in a total of 98 paintings. This study classifies propaganda paintings in four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solo, colleague, family and the public) to comprehend the forms and roles of female images in a formative description. Aspects of female images of each type of propaganda painting are as follows. In the solo type, a heroin is a revolutionary subject of multiple aspects, and was a working class and main agent of economic activity, who is in charge of production of food and daily necessity, from the 2000s. In the colleague type, a female image of the Kim Il-sung period was a young figure symbolizing international friendship, and changed into production labor group for the regime in the Kim Jung-il period. When they are painted with men, women were depicted as co-workers who are in solidarity with men, and since 2005, they were depicted as working separately from men. In family type propaganda paintings, mothers of the Kim Il-sung period are teaching their children with their own revolutionary ideology, and in the Kim Jung-il and Kim Jung-eun period, mothers are enjoying an abundant life with their sons. In the public type, most of female images are farmers who hold sheaves of rice, as a minority group that forms the people. Female farmer archetype shows again that women are in charge of food.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ubject and formative elements of propaganda paintings centering on female images, characteristics of propaganda paintings of 『Choseon-nyeoseong』 were analyzed by each government. The propaganda paintings with female of the Kim Il-sung period started defining domain of female activities of socialist revolution, actively applying image elements that highlight the presence of a son. A character of a son was depicted as getting interest and support from female characters who are set in the roles of mother, sister and wife. In the propaganda paintings of the Kim Jung-il period, female labor was depicted as collectivized type for the government, and in situations where bringing up a son is required, a mother shape is excluded from labor, and changed into a consuming subject. A duplicity of maternal instinct is disclosed. A maternal instinct that takes care of a boy is connected to enjoying good livelihood under the national care, but a maternal instinct that takes care of a girl is just a liberal activity to practice and succeed traditional culture. It can be interpreted to build up a traditional value by women and to reproduce a traditional image of woman between generations. In the propaganda paintings with female of the Kim Jung-eun period, the responsibility to produce food is expanded to men and young women, and the family unit is suggested as a subject of social labor mobilization. This means that with regard to the responsibility to producing food or labor mobilization in which women are mainly in charge, paintings suggest through images a plan to share these roles between classes and generations. This thesis suggests promising avenues for additional future research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North Korean propaganda paintings that include women. The gradual change of female images in paintings may reflect evolutions in North Korea’s persuasion strategies vis-à-vis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hanges in its external environment.;본 논문은 북한에 주체미술이 확립된 이후 『조선녀성』 표지 면에 게재된 선전화를 대상으로 여성이미지를 분석하여 선전화 속 여성이 어떤 존재로 나타나고 있는지 밝혔다. 또한 여성이미지를 둘러싼 조형 요소 분석 내용을 토대로 여성 등장 선전화의 특징을 정권 시기별로 도출함으로써 북한 여성이 자주 접하여 온 선전 이미지의 실체에 접근하였다. 북한은 수령제를 기반으로 하여 권력이 강력하게 중앙에 집중된 국가 형태이다. 때문에 수령 사상과 당 정책을 적절한 시점에 파급시키고 대중을 교양하는 선전선동 사업이 중요하다. ‘예술 정치’에 능했던 김정일은 1974년 2월 김일성의 공식 후계자로 지명되기 전부터 선전선동 담당 비서로 활약하며 북한의 선전예술을 진두지휘하였다. 북한 미술이 북한식 사회주의 주체미술의 논리와 체계를 확립한 것도 1970년대였다. 김정일은 선전화가 “사회생활의 여러 분야를 대상”하며 “광범한 대중의 사상의식에 예리하게 작용”한다고 보고 선전화 창작과 보급에 주의를 기울였다. 선전화는 흔히 포스터의 북한말로 이해되고 있지만 다른 사회주의 국가의 것보다 교조적이고 획일화한 형태를 가진 북한 고유 장르라고 인식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북한 당국은 주체적인 출판미술로서 선전화를 주체사상으로 일관하고 당의 노선을 반영하는 전투적인 미술로 본다. 현재 북한에서 선전화는 사회주의 혁명과 사회주의 건설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정치에 직접적으로 복무하는 위력한 사상적무기”이다. 본 논문은 북한 당국이 자신의 통치 목적에 맞게 주조한 선전 이미지를 지배 권력의 표현 전략 관점에서 연구하기 위하여 주체미술이 정착한 1970년대부터 2017년 8월 현재까지 연구 범위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1970년도부터 1978년도까지 『조선녀성』 제본 자료가 표지 면을 제외한 형태이어서 해당 시기는 연구에 포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1979년 1호부터 2017년 8호까지 『조선녀성』의 선전화에 등장하는 여성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가 수집할 수 있는 해당 기간의 선전화는 총 187점이었고, 그 중 여성 등장 선전화는 총 98점이었다. 우선 여성이미지의 형상과 역할 의미를 조형적 서사 안에서 파악하기 위하여 등장인물의 네 가지 관계 유형(단독형, 동료형, 가족형, 군중형)에 따라 선전화를 분류하였다. 각 유형별 선전화에서 여성이미지의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단독형에서 여성 주인공은 다양한 방면의 혁명 주체였다가 2000년대에 들어 식량과 생필품 생산을 담당한 노동계층이자 자력 경제 주체였다. 동료형에서 김일성시기 여성이미지는 국제 친선을 상징하는 젊은 모습이었다가 김정일시기에 당국을 위한 생산 노동 집단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함께 등장할 때는 남성과 같은 직무를 하며 연대하는 직업적 동료 모습이었다가 2005년 이후 성별 분리 노동을 수행하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가족형 선전화에서 김일성시기 어머니는 스스로 혁명적인 사상으로 가지고 모범을 보여 자녀를 교양하는 모습이었다가 김정일시기와 김정은시기에는 어머니가 아들과 함께 윤택한 생활을 누리는 모습으로 나왔다. 군중형에서 여성이미지 특징은 인민을 구성하는 소수 존재로서 주로 볏단을 든 농민으로 나온다는 것이었다. 여성의 농민 전형화 양상을 통해 식량 담당이 여성 몫이라는 인식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여성이미지를 중심으로 선전화의 주제와 조형 요소를 살펴본 것을 바탕으로 『조선녀성』 여성 등장 선전화의 특징을 정권 시기별로 파악할 수 있었다. 김일성시기 여성 등장 선전화는 사회주의 혁명의 여성 활동 영역을 규정하기 시작하였고, 아들의 존재감을 부각할 수 있는 이미지 요소를 적극 활용하였다. 아들로 등장한 인물은 어머니, 누이, 아내로 설정된 여성 인물의 관심과 지지를 받는 것으로 그렸다. 김정일시기 여성 등장 선전화는 여성 노동을 당국을 위해 집단화한 형태로 그렸다. 반면 아들 양육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어머니 형상이 노동에서 배제되고 소비주체로 등장하는 특징을 보였다. 모성의 이중성도 드러났다. 남자아이를 돌보는 모성은 국가의 돌봄 아래 경제적 여유를 누리는 것으로 이어지지만, 여자아이를 돌보는 모성은 민족 전통문화를 실천하고 계승하는 교양 활동에 그쳤다. 여성 스스로 전통적 가치관을 강화시키고 전통적 여성상을 세대에서 세대로 재생산한다는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김정은시기 여성 등장 선전화에는 식량 생산 책임을 성인 남성과 청년 여성까지 확대한 설정이 나타났고, 사회적 노력동원 대상으로 가족단위가 제시되었다. 이제까지 여성이 주로 혼자 담당하였던 식량 생산 책임이나 노력동원 작업에 있어 다른 계층 및 세대와 분담할 수 있는 방안을 이미지로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충분한 사례는 아니었지만 여성 등장 선전화의 연속적인 흐름 안에서 살펴보면 시대적 환경 변화에 따라 북한 당국의 설득 전략이 일부 진화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는 지점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5 1. 선행연구의 유형별 특성 5 2. 본 논문의 차별성 8 C.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9 1. 분석 자료의 수집 9 2. 연구 범위 12 3. 연구 방법 14 Ⅱ. 북한 주체미술과 선전화 20 A. 북한 주체미술의 이해 20 B. 선전화의 특성 24 1. 출판미술로서 기능과 성격 24 2. 인물의 중요성과 인물 형상의 원칙 28 Ⅲ. 여성 등장 선전화 유형별 내용분석 31 A. 단독형 31 1. 주제 및 인물 구성 현황 31 2. 여성이미지 양상 34 B. 동료형 44 1. 주제 및 인물 구성 현황 44 2. 여성이미지 양상 47 C. 가족형 57 1. 주제 및 인물 구성 현황 57 2. 여성이미지 양상 60 D. 군중형 68 1. 주제 및 인물구성 현황 68 2. 여성이미지 양상 76 Ⅳ. 여성 등장 선전화의 시기별 특징과 의미 85 A. 김일성시기 특징 86 1. 사회주의 혁명의 여성 영역 형성 86 2. 아들의 존재감 부각 87 B. 김정일시기 특징 89 1. 당국을 위한 여성 노동의 집단화 89 2. 아들로 인해 생산주체에서 소비주체로 전환 90 3. 모성의 이중성 공고화 92 C. 김정은시기 특징 93 1. 성인 남성과 청년 여성으로 식량 생산 책임자 확대 93 2. 사회적 노력동원 대상으로 가족단위 제시 94 Ⅴ. 결론 97 참고문헌 101 부록1. 조선녀성 표지 면 여성 등장 선전화 목록 105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59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여성이 등장하는 북한 선전화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79년 이후 『조선녀성』 게재 작품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North Korean Propaganda Paintings centering on Female Images : With the propaganda paintings from 『Choseon-nyeoseong』 since 1979-
dc.format.pagex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