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일현-
dc.contributor.author박영덕-
dc.creator박영덕-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53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5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2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2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7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구축되고 현재도 지속 개발중인 NCS가 훈련과정에 적용됨에 따른 실업자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NCS적용 훈련과정이 더 유용한지를 알아보고 향후 NCS관련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NCS기반 훈련과정과 비NCS기반 훈련과정 간의 실업자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NCS기반 훈련과정과 비NCS기반 훈련과정 간의 실업자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성취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NCS 적용여부와 훈련시간에 따른 실업자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한국고용정보원으로부터 2016년도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사업의 훈련생 수강평 데이터를 확보하여 효과 검증을 위한 다변량분산분석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만족도 조사에 관한 결과로 실제 현업 적용에 관한 효과검증이 아닌 실업자 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과 훈련성취도 인식 차이에 대한 부분까지만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에 앞서 문헌 및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NCS적용 과정과 비적용 훈련과정에 있어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요 요인을 ‘훈련교사’,‘훈련내용 및 방법’,‘훈련성취도 인식’으로 제한하였고 NCS 적용여부에 따른 실업자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차이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 즉, 훈련교사, 훈련내용 및 방법은 NCS적용 과정보다 비적용 과정에서 높은 인식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해당 요인들은 .882의 높은 상관을 갖고 있어 해당 요인들이 훈련과정 운영상에서 통합된다면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역량일 것이라 어겨졌다. 훈련교사의 개인적인 역량에 따라 해당 요인들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과 훈련교사의 역량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훈련내용을 잘 다루어 훈련생에게 적절히 피드백 함으로써 훈련의 이해도를 높이고, 적절한 훈련방법을 활용하여 훈련의 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훈련생의 훈련성취도 인식은 NCS적용 과정보다 비적용 과정에서 높은 인식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NCS적용 훈련과정의 경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및 기술 등을 기반으로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현장을 우선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취업을 준비하는 실업자 훈련생에게는 자격증 취득과정 등 NCS 비적용 훈련과정의 수강이 조금 더 현실적인 성취부분에서 높은 인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훈련생의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은 NCS적용 여부와 훈련시간에 따라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자 훈련생이 취업을 목적으로 NCS적용 훈련과정에 참여하였다는 것은 산업현장을 우선 학습하겠다는 전제에서 시작된다. 단기간의 학습으로 산업현장을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장기 훈련과정 참여를 통한 취업 준비가 실업자 훈련생에게는 효과적일 것이라고 가정하여 해당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NCS 적용여부와 훈련시간에 따라 훈련생이 인식하는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NCS 적용여부와 훈련시간에 따라 훈련내용 및 방법에서 유의한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1,400시간 이상’훈련시간일 경우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CS적용과정과 NCS비적용 과정이 동일하게 훈련시간이 길수록 훈련생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실업자 훈련과정 운영에 대해 장기과정이 갖는 시사점이라고 여겨진다. 반면, 훈련교사와 훈련성취도 인식의 경우 NCS 적용여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NCS적용 훈련과정이 실업자 훈련생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진행한 연구결과가 NCS적용 훈련과정의 효과 측정 주요요인 모두 NCS 비적용 훈련과정이 더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도출된 결론에 대하여 크게 2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먼저 훈련생 선별 모집 및 훈련이수자 평가 제도에 대한 부분이다. 실업자훈련 중에서도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에 참여하는 훈련생들은 취업을 하고자하는 목표가 비교적 뚜렷하다. 훈련과정 중 산출되는 결과물은 취업 포트폴리오로 활용되기도 하고, 개인의 창작물로 가치를 인정받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반면 훈련과정에 참여하여 해당분야의 훈련을 접해보면서 생각과 달리 참여 중인 분야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 참여만 하는 경우에 그치는 훈련생도 더러 있다. 이러한 이원적 훈련생 운영 지속하면서 해당과정이 훈련이수자 평가를 받게 될 경우 훈련생의 심적 부담은 크게 작용할 것이라 여겨졌다. 두 번째 이유는 자격증 취득과정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더 많은 훈련내용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능력단위 이수에 관한 검증이 미약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NCS능력단위 이수에 관한 개인의 능력단위 획득여부가 취업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 몇 가지 한계점을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번 연구에서 NCS적용 훈련과정이 NCS비적용 훈련과정에 비해 실업자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에서 낮은 인식을 보인 것에 대해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인을 선정하여 효과성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NCS적용 훈련과정 중 훈련시간이 장시간인 경우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음을 근거로, 장시간 훈련과정에 대한 기존 요인에 대한 세부요인별 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해당과정의 NCS적용 비율은 80%이상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훈련과정 참여에 있어 본인의 성과 결과물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집단의 구성이 필요하다. 훈련과정 참여 동기가 취업임이 뚜렷하고, 취업하고자 하는 직종이 뚜렷한 응답만을 확보하여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NCS 관련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pplied training course is more useful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raining service quality and training result awareness of NCS training for unemployed persons by applying it to the training course. NCS was developed to train personnel needed at the industrial site, and is still under development now. The study also aims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NCS-related policies and improving institution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training services that unemployed trainees recognize between NCS-based and non-NCS-based training courses? 2. Is there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raining outcomes that unemployed trainees recognize between NCS-based and non-NCS-based training courses? 3. Is there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raining service quality and training achievement that unemployed trainees recognize between NCS-based and non-NCS-based training courses and among differences in training duration?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raining course review data were secured for the trainees of the 2016 national core strategic industrial occupation project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 and binary variance analysis for effect validation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this research investigated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y of the training service and of the training achievement that the unemployed trainee aware, not the effect verification on the actual application. Prior to the research, major factors for measuring the effect in NCS application process and non-applied training process through literature and related prior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training teacher", "training content, training method", "training outcome recognized "Based on whether or not NCS application is applied, training of unemployed personnel tr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ce between service quality and training result awareness is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service quality recognized by the trainee, ie, the training teacher, the content and method of training, showed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in non-NCS-course than the NCS applied course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actor has a high correlation of .882, and the factor is the ability to be able to have a good impact by integrating in the training course management. Depending on the training teachers’ ability, the outcome of the factor may change. Those who can master the training contents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the training teacher and use them appropriat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raining and utilizing appropriate training methods.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training achievement of the trainees was higher in non-NCS-course than that of the NCS application proces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NCS training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ining can be started according to the training based on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However, for the unemployed trainee preparing for employment. It is believed that the course is highly perceived in a more realistic achievement area.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NCS was applied and the training time for trainee training service quality and training result recognition. The fact that the unemployed trainees participated in the NCS applied training course for the purpose of employment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they will learn the industrial field first. Sinc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industrial field with short learning,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ssuming that employment prepar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relatively long-term training course is effective for unemployed trainee. As a resul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y of the training service and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training,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interacti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ining content and the method between NCS-based traing and non-NCS traing and the training time. "In the case of training time over 1400 hours, the interaction effect became significant. Also, as the training time is longer both in NCS based course non-NCS course and, the recognition of trainees was higher. This suggests the long-term process on the operation of the unemployed training course.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NCS is applied in the case of recognition of training and results with the training teacher is not significant. From a comprehensive view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the NCS applied training course was effective for unemployed trainee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main factors in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NCS applied training courses were all non-NCS. The training course seems to have two major reasons for the conclusion that was derived to have a higher effect. First of all, it is a part of the student evaluation system for trainee selection and recruitment. Among the training of unemployed people, trainees wh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core strategic industrial occupation have relatively clear goals of hiring employment. The outcome calculated in the training course have positive aspects that are utilized as employment portfolios and recognized as values ​​by individual creations. Meanwhile, there are trainees who have less interest in the participating fields. When dual trainee operations continues, it is assumed that the mental burden of trainees would be thought to have a large effect when they are evaluated for their training process.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verification regarding the competence unit course will be weak although they spend more time in learning training contents than in acquring the qualification cour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directly utilize NCS-based training course for the purpose of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the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hat occurred during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elect new factor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CS applied training course that showed low recognition of training service quality and training achievement recognition compared to the non-NCS training cours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appeared when the training of NCS applied course was longer.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s of detailed factor and interaction effect on the existing factors for the long - term training course. To do this, NCS application rate of the process is limited to 80% or more. Third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group of people that participate in the training course and can positively proceed with the outcome by themselves. Also, it is necessary to secure respondents who are motivated to be employed in the specific job, construct a comparative group, and analyze its effect of training course between them. Then there is a need to find useful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NCS-related policies and improving syst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NCS기반 훈련과정 및 비NCS기반 훈련과정 5 2. 실업자 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5 3. 훈련성취도 인식 6 Ⅱ. 이론적 배경 6 A. NCS(국가직무능력표준) 6 1. NCS 정의 및 구성 6 2. NCS 학습모듈 13 3. NCS적용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15 B. 실업자 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16 1. 훈련서비스 품질 16 2. 실업자 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및 요소 18 C. 훈련성취도 인식 20 D. NCS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 21 1. NCS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도입 배경 21 2. NCS기반 훈련과정과 비NCS기반 훈련과정의 비교 22 3. NCS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현황 24 E. 관련 선행연구 26 1. NCS 도입 초기 실업자훈련 분야 선행연구 26 2. NCS 도입 전 실업자훈련 분야 선행연구 27 3. 정부지원 훈련사업에 대한 효용성 관련 선행연구 27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28 B. 측정도구 30 1. 독립변수 : NCS기반 여부 및 훈련시간 31 2. 종속변수 :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31 3. 일반변수 32 C. 연구절차 35 D. 자료분석 방법 36 Ⅳ. 연구결과 37 A.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37 B. NCS 적용여부에 따른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39 C. NCS 적용여부와 훈련시간에 따른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45 V. 결론 및 논의 55 A. 논의 및 시사점 55 B. 제한점 및 제언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69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NCS 적용여부에 따른 실업자훈련의 훈련서비스 품질 및 훈련성취도 인식 차이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raining Service Quality And Training Achievement Of The Unemployed Persons Trainings Applying NCS-
dc.format.pagev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