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0 Download: 0

군대 내 양성평등 고용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연구

Title
군대 내 양성평등 고용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연구
Other Titles
A Policy Study on the Gender Equality Employment Environment in the Army : Focused on Army Professional Soldiers
Authors
한지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순경
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군 특수성으로 가려졌던 직업군인들의 근무환경인 군이라는 장소를 사회의 다른 직업과 마찬가지로 노동 현장의 하나라는 개념에서 접근하여, 그 안에서 발생하는 성차별 실태를 분석하였다. 폐쇄적이고 남성이 절대 다수로 존재하는 군이라는 조직 내에서 군인이라는 특수성을 내세워 당연시 되었던 것들이 노동시장에서 사용되는 법적 차별의 개념을 적용했을 때에도 정당화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이에 대한 개선책을 군에 제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군은 특수한 조직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노동 현장의 하나라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개된 군 관련 통계자료에 나타난 성별 경향성(patten)을 국제기준에 적용하여 차별의 혐의를 밝혀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군대 내에 성별을 이유로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규정이 있는지, 역차별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제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군대 내 양성평등한 고용환경 구축을 위한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군대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성차별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유형인 모집ㆍ채용, 교육, 배치, 승진, 정년, 직장 내 성희롱, 일ㆍ가정의 양립지원으로 분야를 나누어 차별 실태를 살펴본 후 차별로 보지 않는 모성보호 조치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모집ㆍ채용 분야에서는 여군 모집 정원 제한과 군 장학생 선발에서의 여성 배제를 점검하였다. 교육 분야에서는 성별로 다른 체력검정 기준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배치 분야에서는 여군 배치 제한 부대 및 직위 규정, 주요부서ㆍ직위에서의 여군 배제, 국방무관 배치에서의 여군 배제를 살펴보았다. 승진 분야에서는 성별 진급률을 분석하였다. 정년 분야에서는 성별 장기복무 선발률을 확인하였다. 직장 내 성희롱 분야에서는 군 특유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성희롱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ㆍ가정의 양립 지원 분야에서는 육아휴직, 세 자녀 이상 여군의 당직근무 면제, 여군 자녀 군 어린이집 우선 입소 제도에 관해 점검하였다. 차별로 보지 않는 모성보호 조치 분야에서는 임신여군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 수유를 원하는 여군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 모든 여군에게 적용되는 제도로 나누어 제도의 실효성과 구성원들의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다수의 분야에서 군내 소수 집단인 여군에게 차별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군은 고용 전반에 걸친 성별 통계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공개하여야 한다. 둘째, 여군과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가칭 “차별개선 및 여군 정책 추진 위원회”를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멘토링 제도, 여군 네트워크 구축, 여군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등 여군발전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넷째, 차별 감수성 제고를 위한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여군을 배제하거나 현저한 성비 차이가 나는 분야에서 합리적인 사유가 있는지에 대해 법무 검토를 진행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군대 내 고용 상 성차별은 여군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군이 나서서 개선해 나가야 할 문제이다. 군이 앞으로 우수한 인력들을 군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가고 싶은 군대, 직장으로서 괜찮은 군대를 만들어야만 한다. 이를 위한 첫 단계가 성 차별이 없는 군대 즉, 양성평등한 군대로 거듭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대 내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고용 상 성차별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외국군에서 시행중인 성 평등 정책을 소개하고, 공개된 군 관련 성별 통계자료에 차별의 혐의를 밝히는 국제기준을 적용해 보았다. 이는 직업군인에 대한 고용 상 성차별 개선 조치에 있어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서 군대 내 양성평등한 고용환경 구축을 위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In this study, I analyzed the gender discrimination a workplace environment. Specifically, I looked at occupational soldiers who were assigned a military specialism which is similar to labor fields found in professions held by the general popul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army, which is a closed environment consisting of a large number of males, should abide by the same rules of legal discrimination as used in the labor market. For this purpose, the army moved away from recognizing itself as a special organization and conducted research under the premise that it was one of the labor field. The gender tendency in the published statistical data was applied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o identify the allegations of discrimination. Also examined was whether there are provisions in the military that restrict or prohibit gender in the current system, and whether there is a system that raises a controversy about reverse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a plan to develop a gender-equal employment environment in the military was developed. In order to ascertain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army, it is necessary to seek employment opportunities, recruitment, education, placement, promotion, retirement, and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I looked at an actual situation of discrimination and examined the maternal protection measures not discriminated against. In the field of recruitment,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female applicants and the exclusion of women in the selection of military scholars were exami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physical fitness standards by gender were checked. In the field of placement, I examined the restrictions on the deployment of women, the position of women, the exclusion of women in major departments and positions, and the exclusion of women in military installations. In the field of promotion, promotion rate by gender was analyzed. In the field of retirement age, the selection rate of long-term service by gender is confirmed. In the field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the types of sexual harassment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were examined. In the area of supporting Work-Family coexistence, I have inspected several details about maternity leave, total exemption of overnight duty in case of female soldiers who have more than three children, and priority system for children of female soldiers to enter the Military Child Care center first. In the field of maternity protection measures not discriminated against, I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the perceptions of the members by dividing into the system for the pregnant women, the system for the women in the military who want to feed, and the system for all the female soldier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discrimination occurs among female soldiers in minority group in many fields. As a way to improve this, firstly, the military should build and release gender statistics data throughout the employment and they should make public its data. Second, it should operate the so-called “discrimination improvement and women's policy promotion committee” which includes women and outside experts. Third, development programs for female soldiers such as mentoring system, female soldier’s network construction, and female soldier’s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s should be operated. Fourth, education for enhancing discrimination receptivity should be strengthened. Fifth, it was suggested that the judicial review should be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is a reasonable reason in the field where the female soldier is excluded or the gender gap is remarkable. In this study, the gender discrimination on employment in the army is not a problem for the female soldier, but a problem for the military to improve. In order for the military to attract more qualified personnel to the military in the future, it must build a good army as a military and workplace. The first step for this is to reform as an army without gender discrimination, that is, gender equ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as one of the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in the military. As a method for this, the gender equality policy in the foreign army and appli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to disclose the discrimination in the public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military were introduced. This provides a minimum standard for improv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against occupational soldiers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a gender equality environment in the milit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