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지역여성운동의 의제 설정 과정과 지역적 조건

Title
지역여성운동의 의제 설정 과정과 지역적 조건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ublic Project in Local Women`s Movements : A Focus on the Gyeongnam Women’s Association
Authors
이유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지영
Abstract
이 연구는 지역여성운동이 지역이라는 구체적인 현실적 조건에서 어떻게 지역여성운동의 의제를 구성했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경남여성회>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구체적인 조건과 지역적 조건에서 전개된 지역여성운동 대중화 사업의 의제 설정 과정을 살펴보았다. 1980년대 후반 진보성향의 지역여성운동 단체를 표방하며 조직된 경남여성회는 지역의 민주화운동세력과 한국여성단체연합과 연대하며 민주화운동과 성주류화 운동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경남여성회는 기존의 운동 방식이 선동의 성향을 가짐으로써 일반 여성, 지역 여성, 평범한 여성들과의 소통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선동의 방식이 아닌 ‘생활 속에서 함께 하는 여성운동’이자 ‘쉽고 재미있게 참여하는 여성운동’으로 대중화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대중화 사업을 진행해 나갔다. 경남여성회는 ‘대중화’, ‘풀뿌리’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직 구조와 사업 내용을 만들어 가기 시작했다. 지역 사회의 다양한 여성들을 광범위하게 조직함으로써 인적 자원을 획득하고, 이들을 의식화하여 여성주의에 기반을 둔 여성 연대를 조직하였다. 또 회원 배가를 통해 회비를 확보하여 열악한 재정 상황을 타개하고, 공공지원을 확보함으로써 대중적인 활동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민관 거버넌스를 활동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와의 교섭에 공신력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경남여성회가 지역 사회에서 여성 참여를 확대하고 여성주의 공동체를 조직하는 과정이었다. 하지만 경남여성회는 지역의 보수적인 세력 및 그들이 만든 지역적 조건과 교섭하며 지역여성운동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공공지원의 확보는 여성의 제도권 내 참여 및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여성단체가 지역 사회의 공신력을 확보하는 과정이었지만 다양한 여성문제가 지역에 의해 가려지게 만들었다. 여기서 이 연구는 지역과 관계 맺으며 발전해 온 지역여성운동이 지역이라는 구체적인 현실적 요건에서 어떻게 지역 여성의 의제를 구성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여기서 불거진 주부 중심성이라는 한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6년 크리스챤 아카데미 과정을 수료한 이들로 구성된 경남여성회는 1988년 한국여성단체연합에 가입한 후 주요한 민족민주운동과 여성해방 의제를 공유하며 지역 사회 내에 여성운동을 진행해 나갔다. 특히 탁아, 반성폭력, 가족법개정, 남녀고용평등을 주요한 운동 의제로 설정하였으며 이 과정 중 경남여성회는 반성폭력 운동을 단체 내 주요한 사업으로 끌어올렸다. 이 시기 경남여성회의 여성해방 의제 및 운동 과정은 한국여성운동의 전국적인 실천을 확보하는 맥락 속에 위치해 있었다. 둘째, 지역 내 성격이 다른 두 공단과 집창촌이 존재하는 것은 주요한 지역 여성문제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지역적 특징으로 만들어진 지역 여성문제는 자본의 이해와 남성 중심적인 경향에 의해 삭제되거나 배제되었다. 여성문제를 배제하는 것은 지역의 민주화운동 단체에서도 나타났다. 경남여성회는 지역의 사회운동과 함께 발전하였고 이에 민주화를 주요한 운동 의제로 삼았으나, 여성해방 의제를 함께 가짐으로써 지역 내 운동 단체로부터 분열적이고 분파적인 운동을 한다며 비난 받았다. 남성 중심적인 지역 운동 단체와의 연대는 여성문제를 구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당시 경남여성회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내용을 살펴보면 ‘여성’은 아줌마라는 대안적인 존재로 발언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여성문제’와 관련해서 지역의 남성 지도력은 여성의 순결 같은 특정 문제와 결합했다. 경남여성회는 이러한 지역적 조건 속에 반성폭력 운동을 단체의 주요한 사업으로 끌어올렸다. 셋째, 지방자치제가 시작됨에 따라 경남여성회는 지방자치의 과제들이 특히 여성들이 담당하고 있는 생활영역의 것이라 가정하였고, 여성정치세력화와 지역여성 조직화를 강조하며 사업 영역을 일상과 지역으로 확대해 나갔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여성운동 세력화의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중앙 중심적인 여성운동의 경향에서 이중 소외를 당하는 지역 여성의 경험을 가시화하고 지역 여성의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대중화’, ‘풀뿌리’가 강조되면서 경남여성회 단체의 성격과 사업 내용이 변화했다. 특히 여성정치세력화 사업이 활성화되었고 일상 영역의 각종 소모임이 조직되면서 풀뿌리 지부여성회가 만들어졌다. 넷째, 경남여성회는 지역 여성정책이 성 역할 고정관념에 묶여 있음을 비판하고 지역의 다양한 사회 현안에 대해 발언하였지만,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으며 운동의 대중성을 확보해 왔다. 공공지원 확보는 여성문제를 둘러싸고 지방자치단체와 교섭력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실제로 경남여성회는 제도권 내에서 지역 여성정책의 제·개정을 요청하며 지역 여성의 복지를 향상하고자 하였다. 그 때문에 경남여성회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강성으로 분류되면서 긴장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상담소나 복지시설, 사회교육센터 등에서 진행하는 사업들은 다양한 계층의 여성 복지와 인권 향상하기 위한 여성운동의 과제이기도 했지만, 특히 이들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비를 지원받으면서 경남여성회는 사업 운영의 자율성을 잃거나 여성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힘들어졌다. 다섯째, 지속해서 여성을 배제하는 지역 사회의 보수성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대중성을 확보하려고 한 과정은 지역과의 교섭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이는 경남여성회가 여성문제를 구성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대중화 사업에서 주부 중심성과 정상 가족 중심성을 띠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반성폭력 사업, 반성매매 사업, 빈곤 극복 사업은 모두 정상 가족 중심성과 주부 중심성을 갖고 있었다. 이들 사업은 행복한 정상 가족과 자녀를 가진 여성을 전제하였고 돌봄 노동을 수행하는 여성을 계속해서 그려냄으로써 여성 내부의 다양성을 정상 가족과 주부의 이름으로 배제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가능했던 것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 운영하는 기관들이 운영 목적에서 이미 정상 가족 중심성을 가지면서 여성을 근대 핵가족 내 주부로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여기엔 지역의 또 다른 조건이 존재한다. 평일 낮을 뺄 수 있고, 지역에 정주성을 가지며, 지역의 교육 및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대상은 주부들이었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대중화 사업이 주부 중심성을 띠는 경향을 만들었다. 이 연구는 경남여성회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지역여성운동이 지역의 현실적 조건 속에서 분투해 온 과정을 읽어본 것이다. 기존의 논의들은 지역여성운동이 성별 분리, 지역 보수성이라는 이중 억압에도 불구하고 성 역할 고정관념 넘나들며 지역에서 세력화하는 가능성에 집중해 왔다. 하지만 공사 분리, 성별 분리, 정상 가족이라는 통념 위에 지역여성운동은 여전히 지역 내 보수적인 경향과 부딪치며 여성 의제를 설정하는데 있어 분투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경남여성회 대중화 사업의 정상 가족, 주부 중심적인 경향은 지역여성운동을 세력화하는 과정 중에 나온 전략이면서 동시에 여성의 다양성 문제를 배제하는 보수적인 지역의 조건 속에서 나온 결과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가부장제 안에 여성을 주부로만 위치시키는 것에 지속해서 문제를 제기한 경남여성회의 성과와 오히려 상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역여성운동 대중화 사업은 경남여성회 단체 내, 그리고 넓게는 여성운동 전체에 주요한 논쟁 지점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In the late 1980s, the Gyeongnam Women’s Association(GWA),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progressive women’s movements in local, advocated the mainstream movement in solidarity with the local democratic parties and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 In the mid-1990s, however, GWA determined to change from the former strategy of movements, which were thought to have a tendency to agitate the public, to the new one approaching the public. Compared with the former, which was regarded as an ineffective method to communicate with ordinary and local women, the new method focused on the public project described as “the women’s movements in everyday life” and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s easily and happily”. The public project launched in the late 1990s, and it permeated local women and daily life, ending up expanding the size of GWA. Through the public project, GWA estimated their project has built the feminist community and notably achieved the cognitive transition deviating from the focus on the domestic work of women and the gender role stereotype. However, if it reviewed thoroughly, including the targets, the actual participants, the process, the intention, and the evaluation of public projects, GWA has been organized by the issues of caring and educating the children. The main targets of the public project were housewives and the project was constituted mostly by housewives. That is, the public project proceeded mainly with housewives, not with various actors in local. Consequently, the gender role stereotype, such as participating in the marriage institution, giving a birth, and being responsible for all domestic work of all women, was reinforced. This study raises doubts that the public projects of local women’s movements only focused on the housewives, rather than all actors in local in the example of GWA. It aimed for criticizing the process of the movement. The conclusions to be drawn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GWA, which was constituted from the member from the Christian Academy, joined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 in 1988. They stated that they shared the women liberation agenda and expanded throughout the local society. However, the project contents did not exactly contain the local women’s issues. GWA was located in Masan and Changwon regions where had local characteristics, sharing a free export zone,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brothels. GWA did not focus on these local issues, but rather on the child care, the anti-sexual violence, the revision of the family law, and the gender employment equity, which were broadly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 It notably tended to concentrate on protecting maternity. As GWA originated from the community of housewives and white-collar workers, it proceeded the movements of the stakeholders. Second, as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started, GWA assumed that local-governing agenda included domestic works of housewives and expanded their project to daily and local projects, such as child education and local welfare. On the other hand, during this period, the public project was aimed at the grassroots movement, so that the housewives could join directly. Due to the active grassroots projects, GWA members, which was only about 100 in the 1990s, expanded to more than 500 members in the 2000s. The expansion and organization of GWA members seemed as an effective result of the public project, but by thoroughl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project, it is found that it located women as the housewives and reproduced the discourse of normal family. Third, the expansion of GWA’s public project was supported by their strategy, quickly adapting to the institutionalization to overcome the internal financial crisis during the local economy was shifting. GWA transferred the region from Masan to Changwon in 1997 and was commissioned to run the social education center in Changwon. It made them possible to solve the internal financial problems, and by using the center’s network it could publicize GWA and organize housewives in Changwon region. In the background of a success in GWA project, the change of local economic environment, the decline of Masan and the growth of Changwon in the economy, and the internal financial problem of GWA was tied to the institutionalizing of movements. Finally, the public projects have caused various conflicts within GWA. There were conflicts within women, conflicts in factions, and conflicts in generations. Basically, the anti-sexual violence, the anti-prostitute, and the overcoming of poverty projects focused on the concept of normal family and the housewives. Given with the notion of the normal family and a woman with children, these projects kept representing women in domestic work. It resulted in limiting women in the normal family and in the role of housewives. In addition, the public projects caused conflicts where movements were head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mbers led to the different political opinion within GWA, and it separate Changwon Women’s Association from Changwon Branch Women’s Association. During this process, there were movements to integrate various political standpoints and simultaneously to regard the public women as non-political actor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re was the consensus the public women needed to be represented with the broader classes, this diversity was represented only in youth, maintaining focusing on housewives in the public projec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tatement, the grassroots level of the local women’s movements needs to be expanded, can contradict the feminism arguments which questions the way women are located in the modern nuclear family system. The current research on women's movements in local and the tasks set by the local women's movement groups is to overcome the crisis of movements by broadening and strengthening grassroots movements.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assroots movements without criticizing the tendency to concentration of housewives in local women’s movements might result in re-locate women as housewives within the modern nuclear family system. Furthermore, the strategy of encompassing various classes in feminism movement can also reinforce the concentration of housewives. It is said that the local women’s movements need to be varied, but it is not clear how they set up individuals and how the difference of women can apply to each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concentration of on housewives in the local public projects and contemplating how to adapt women’s various life and experiences to projects before discussing the need to expand and diversify grassroots level of women' s mov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