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한국 대통령의 대중호소전략과 그 효과성

Title
한국 대통령의 대중호소전략과 그 효과성
Other Titles
The going public starategy of Korean presidents and its effectiveness : focusing on the ideological trends of the members of society, and media trust in fragmented media
Authors
정호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곤
Abstract
Going public strategies are activities that presidents use to promote their policies to the public. So far, conventional study on going public strategies in South Korea has been the examination of their political background by linking the process of democratizing the presidenc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emergence of going public strategies. However, this analysis is inherently limited since it excludes the influence of the public,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going public strategy.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quo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going public strategy with a new framework which reflects the problem of previous research, looks at its implications, and ultimately finds the political conditions in which the strategy is based up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speeches of Korean presidents who had used the going public strategy during the 25 year period from the Moonmin(civilian) government to the Park Geun-Hye government (1993 ~ 2017). Moreover, this study specifies the ideological trends of the members of society, and media trust in a fragmented media as variable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effect of going public.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president's going public strategy and the ideological trends of the members of society, and media trust were closely related. Among them, while variables such as party polarization, ideological gaps between people and congress members and ideological gaps among people were shown to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going public strategy, the combination between party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gaps among peopl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strategy. Also, the hypothesis containing media trust, TV, radio, newspaper, comprehensive channels, and SNS variables were shown to be influential. More specifically, the case of TV, radio, and comprehensive channel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going public strategy, whilst newspaper and SNS had a positive one. Conversely,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ideological trends of people led to the opposite result. For instance, TV, radio and comprehensive channel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rategies, while newspaper and SNS had a negative one.;대중호소전략은 일반적으로 대통령이 자신이 추진하는 정책을 대중 앞에 홍보하는 일련의 활동들을 일컫는다. 한국의 대중호소전략에 대한 연구는 제왕적 대통령의 권한을 민주화 시키는 과정과 대중호소전략의 등장을 연관시키며 정치 제도의 변화와 권력의 분권화를 지향하는 특정 대통령의 리더십의 조우가 이를 급부상시켰다고 설명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분석은 본질적으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것이 대중호소전략의 성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다름 아닌 대중, 즉 국민의 영향력을 배제한 분석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반영한 새로운 분석틀을 마련해 한국 대통령의 대중호소전략의 현황과 그 효과성을 검토하고 그것의 정치적 함의를 고찰하면서도 나아가 이것이 놓여있는 정치적 조건들을 살펴보고자 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민정부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이르는 근 25년의 기간 중 한국 대통령들이 대중호소전략을 위해 활용한 연설문을 연구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사회구성원의 이념 동향과 분화된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신뢰를 이를 분석하는 변수로 특정해 해당 변수와 대중호소전략의 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대통령의 대중호소전략과 사회구성원의 이념 동향, 미디어 신뢰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먼저 사회구성원의 이념 동향과 관련된 변수들 가운데에서는 정당 양극화, 국민과 국회의원 간의 이념 격차, 국민 간 이념 격차가 각각의 이념적 격차가 증대된 경우, 대중호소전략 효과를 감소시켰으나, 정당 양극화와 국민 간 이념 격차의 증대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그 효과가 커지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미디어 신뢰와 관련된 변수들에서는 TV, 라디오, 신문, 종합 편성 채널, SNS의 영향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TV와 라디오, 종합 편성 채널의 경우, 대중호소전략의 효과성에 부의 효과를, 신문과 SNS의 경우 양의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이들 변수와 국민의 이념 격차를 상호작용 시켜본 결과는 이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이 중 TV신뢰, 라디오 신뢰, 종편의 경우 대중호소전략에 양의 영향을, 신문과 SNS의 경우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