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최윤경-
dc.creator최윤경-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48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4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5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59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758-
dc.description.abstractDrug abuse and side effects have long been problems that should be resolved. It would be very rare for customers to receive advice on precautions about the use or side effects of general pharmaceuticals when customers purchase drugs in the pharmacy. Despite social concerns about drug abuse and side effects, it is not easy to read the information labels on general pharmaceuticals due to the small font size and density of information, which hinders the users’ acquisition of information.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quire the labeling on general pharmaceuticals to follow regulations. However, their focus is on fulfilling the duty of describing the information rather than making the information user-friendly. Therefore, since most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described in the space of limited packaging,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font size, the spaces between the lines and letters, and the width. This significantly compromises the readability and makes it difficult for users to check the information when using the drugs. As a result, they are using the drugs without carefully checking the drug information on the label.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even though general pharmaceuticals have relatively low risk of addiction or side effects, they have direct effects on the human body and have high risk of abuse. Therefore, when using general pharmaceuticals, users should be better informed about the precautions and side effects as well as efficacy, directions, and dosage, which requires information labeling that reflects the users’ needs. Moreover, as Korean society is rapidly aging,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is also increasing. Thi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taking multiple drugs as well. Although more caution is needed in using medicine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find drug package designs that take the patients of chronic disease and the elderly into consideration. Pharmaceuticals are products that are not significantly restricted by age and gender. Thus, if the standard of information labeling is enhanced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who have weak vision and lower comprehension—many users will be able to acquire information easily, which will lead to correct medication behaviors. This study proposes improving information labeling guidelines, with a focus on fine chemicals and capsules, to alleviate the problem of drug abuse through correct medication behavior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methodology, including the design process for user-friendly information labeling. Second, the study reviews limitations of the current information labeling regulation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ird, it summarizes the status of domestic drug market,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pharmaceuticals packaging, and domestic and overseas drug information labeling. Fourth, it identifies problems by examining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including Stakeholders Map, Service Safaris, Costumer Journey Map, Story Board, and Persona. In addition, it conducts research on existing studies and questionnaires and incorporates them in the new guideline. Fifth, it checks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medicine and it observes the changes in the users’ medication behavi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solution to the information labeling on medication that considers user-friendliness and efficiency more than the current labels do. We hope this study will initiate further research on the issue of user-friendly food and drug information labeling. ;약물의 오·남용과 부작용 문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꾸준히 해결해야 할 시사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소비자가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시 약국에서 의약품의 효능·효과, 용법·용량에 대한 약사의 복약지도는 간혹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용에 대한 주의점이나 부작용 안내에 대한 지도를 받는 경험은 극히 드물 것이다. 의약품 오남용과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는 다르게 일반의약품 정보표시란은 작은 글자 사이즈와 빼곡한 정보로 인하여 가독성이 낮아 사용자의 정보 습득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일반의약품 정보표기는 약사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규정을 따르고 있으나 사용자를 배려한 정보 표기보다는 정보 기재에 대한 의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한정된 포장 규격 내 해당 의약품의 거의 모든 정보를 기재해야 하므로 글자 사이즈, 행간, 자간, 장평을 줄여 기재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독성이 현저히 낮아지면서 사용자가 의약품 사용 시 정보를 확인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지 않고 제약사와 약물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쉽게 의약품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의약품은 중독 및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적은 약물이라 할지라도, 인체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구매가 편리하여 그만큼 약물의 오·남용 우려도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의약품 사용 시 효능·효과, 용법·용량은 물론 사용상의 주의사항, 부작용 안내가 다른 어떤 제품보다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정보 표기 규정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는 급격하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함께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제복용의 위험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의약품 사용에 더욱 신중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의약품 패키지 내 만성질환자 및 고령자를 배려한 디자인은 찾아보기 어렵다. 의약품은 연령대와 성별이 크게 제한되지 않는 제품으로, 의약품 정보 표기의 기준이 약시자이자 이해 능력이 감퇴하는 고령자의 기준에 맞추어 개선된다면, 고령자를 포함한 많은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습득하고 올바른 복약 행동까지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의약품 정제·캡슐제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정보 습득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더 나아가 올바른 복약 행동으로 약물 오·남용의 문제를 줄일 수 있도록 추가적인 정보 표기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첫째, 사용자 중심의 정보 표기 개선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포함한 방법론을 알아본다. 둘째, 의약품의 개념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일반의약품의 정보 표기 규정 및 개정안을 살펴보고 표기 규정 문제점과 한계점을 확인한다. 셋째, 국내 의약품 시장 현황 및 일반의약품 패키지 특성 및 요소를 정리하고, 국내·외 의약품 정보 표기 현황을 분석한다. 넷째,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중 이해관계자 지도, 서비스 사파리, 고객 여정 지도, 스토리보드, 페르소나를 통하여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실질적인 문제점을 발견한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새로운 가이드라인에 적용한다. 다섯째, 가이드라인을 실제 일반의약품에 적용하여 실효성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복약 행동의 변화를 확인한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의약품 정보 전달 효율성을 고려한 정보 표기 개선방안을 연구하여, 그동안 꾸준히 언급되었던 의약품 정보 표기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안한다. 향후 본 연구를 시작으로 사용자 중심의 식약품 정보 표기의 시각적 해결 방안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연구방법과 대상 4 Ⅱ. 서비스 디자인의 이해 6 A. 서비스 디자인 개념 6 1. 서비스 디자인 정의 6 2. 서비스 디자인 속성 7 3. 서비스 디자인 사고 원칙 8 B. 서비스 디자인 방법 9 Ⅲ. 의약품의 이해 14 A. 의약품의 개념 14 1.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정의 14 2. 의약품 분류 15 B. 의약품 정보표기 규정 16 Ⅳ. 의약품 시장 및 패키지 디자인 현황 22 A. 국내 일반의약품 시장 현황 22 B. 일반의약품 패키지 특성 및 요소 25 C. 국내외 일반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현황 30 1. 한국 30 2. 미국 34 3. 영국 41 4. 일본 45 Ⅴ. 의약품 정보 표기 관련 사용자 조사 51 A. 선행연구 51 B. 일반의약품 정보 표가 관련 설문조사 56 C. 문제점 분석 및 정보 표기 개선의 필요성 60 Ⅵ. 의약품 정보표기 가이드라인 제안 64 A. 사용자의 의약품 구매사용 과정 64 B. 일반의약품 정보 표기 가이드라인 69 C. 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적용 사례 80 1. 한국얀센 타이레놀 500mg 80 2. 대웅제약 이지엔6 애니 84 3. 한미약품 소하자임 87 4. 광동제약 센스리베 91 Ⅶ.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2 부록1 105 부록2 109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1381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일반의약품 정보 전달 효율성을 위한 표기 개선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일반의약품 정제⋅캡슐제 패키지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Labelling On General Pharmaceuticals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 Focusing on Fine Chemicals and Capsules-
dc.format.pageix,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