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부모와 보육사의 양육태도가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와 보육사의 양육태도가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care workers on group home children’s self-esteem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Authors
이민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홈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와 보육사의 양육태도, 우울불안과 공격성, 자아존중감 간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별, 연령, 그룹홈 거주기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그룹홈 운영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룹홈은 일반 가정과 유사한 환경에서 소수의 아동을 양육하기 때문에 가정위탁과 아동양육시설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룹홈은 다른 가정외보호 체계들에 비해 많이 주목받지 못했으며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그룹홈 아동을 위한 서비스 등 그룹홈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금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룹홈의 가장 큰 입소 원인인 학대와 방임에 주목하였다. 학대와 방임은 아동의 발달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며 그룹홈은 대리보호서비스로서 학대와 방임에 노출된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인 학대와 방임, 보육사의 긍정적 양육태도인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에 주목하여 그룹홈 아동의 우울불안, 공격성,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불안과 공격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성별, 연령, 그룹홈 거주기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그룹홈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중에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그룹홈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 4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기술통계, 평균비교,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한 매개효과와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고등학생보다, 그리고 그룹홈 거주기간이 3년 이상인 집단이 3년 미만인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방임은 그룹홈 아동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학대, 보육사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그룹홈 아동의 우울불안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공격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방임이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우울불안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 그룹홈 거주기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아동의 경우 전체 집단에서와 마찬가지로 방임이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우울불안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아동의 경우 모든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사의 양육태도가 양육행동으로 충분히 드러나 아동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보육사가 아동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더 많은 인력 투입, 보육사의 소진과 이직을 낮출 수 있도록 근로시간과 급여문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최초 배치 시 아동과 그룹홈의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배치계획 수립과 실천이 필요하다. 셋째, 방임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개선을 통해 방임의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외보호 체계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지 못하는 그룹홈 아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둘째, 긍정적 발달산물인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두어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하였다. 셋째, 학대와 방임은 아동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방임문제는 학대와 다르게 실천적·학문적 접근을 해야 함을 밝혔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홈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학대와 방임을 다루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학대와 방임에 대한 설문조사는 아동의 입소 전 기억에 의존하고 있어 조사시점과 시간간격이 있다. 배치된 시점부터 종단 연구를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적 연구로서 그룹홈 아동들에게 보육사의 양육이 어떤 의미와 맥락을 가지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추후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care workers and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in group home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assess the structura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duration of care; and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group homes. Group homes have advantages over foster and institutional care in that the care workers raise a few children in a family-like environment. However, little attention is paid to group homes compared to other types of out-of-home care.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group homes. The current study considers child abuse and neglect, the most frequent reasons for group-home placement. These are considered major threats to child development. Group home care helps boost development of children exposed to abuse and neglect. The current study adopted child abuse and neglect as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s care work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ssumed to influence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and self-esteem among group-home childre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are input as mediators to investigate effects on self-esteem in group-home children. Lastl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structural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care duration. Group-home survey data from 2014 were analyzed. Participants were 468 group-home children aged between 10 (4th grade) and 18 (12th grade). Th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mean comparison, correlation analysis, causality,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was higher in elementary than in high school students and in children with over three years’ car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self-esteem. Second, parental neglec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in group-home children. Parental abuse, affectionate parenting, and autonomous parenting showed no effects. Third, depression/anxiety affected self-esteem. Aggression, however, had no influence on self-esteem. Fourth, depression/anxie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self-esteem. Fifth, multi-group analyses showed no differences in age and care duration but some differences in gender. Among boy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neglect and depression/anxiety, neglect and aggression, and depression/anxiety and self-esteem. No significant causality was found among girl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conditions of care workers must be improved for parenting attitudes of care workers to lead to actual parenting behaviors. More staff should be employed to expand time for care work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In addition, working time and wage should be reformed to reduce care workers’ burnout and turnover. Second, a sophisticated placement plan should be primarily established considering traits of children and group homes. Third, public awareness of child neglect should be enhanced to prevent its occurrence. The significance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group homes, which have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among out-of-home care services. Second, the current study input self-esteem, a developmental outcome, as a dependent variable, differentiating it from previous studies. Third,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child neglect should be separated from child abuse because they have differential influences on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There wer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current study did not cover child abuse and neglect in group homes. Second, study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 about their experiences of abuse and neglect based on memory, reducing survey accuracy. To address the problem, a longitudinal study should be implemented from the point of placement. Third, adopting a quantitative study method, the current study is limited in suggesting what the care worker’s parenting means to group-home children. Thus, a qualitative study should be condu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