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희-
dc.contributor.author정도담-
dc.creator정도담-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46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4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8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8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74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low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ir job quality. In specific, it identified the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and how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ffect the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include education, years of service,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t include business size, business type, employment type according to working hours. For the analysis of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job quality was conceptualized as the sum of wage adequacy, employment stability, and social protection. Given that female care workers are unfavorably situated in various areas of job quality, this paper suggested the necessity for a holistic approach to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The 5th "Women and Family Panel Survey" was used as the research data,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wage adequacy, employment stability, and social protection of female care workers. Next, the employment quality index was constructed by combining wage adequacy, employment stability, and social protection. The sequent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index as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e influ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and labor market on the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among th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for the employment stability of female care workers. Also, in the regression models in which job quality is a dependent variable, the regression model in which th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were input together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are significant for their job quality. In the case of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s business size is larger, the possibility of social protection being guaranteed increase, and the wage adequacy and employment stability index are likely to be satisfied as a female care worker is in a full-time employment position. In addition, business size and employment type according to working hours affect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as business size is larger and a female care worker is in a full-time employment position, the likelihood of decent job quality incre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capital accumulation efforts of caring worker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their job quality in that th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per se do not affect their job quality. However, since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when the impacts of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human capital vary depending on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labor market structure in which human capital can affect job quality. Furthermore, given that the introduction of market principles,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consumer-centered supply of social services, and emphasis on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jobs in the process of social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led to the rise of the number of small-scale enterprises and part-time care workers in the caring labor market, it was confirmed that going beyond such trend is required.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changes such as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the introduction of management systems for care workers would increase non-small enterprises and reduce part-time care workers, thereby resulting in positive outcomes for improving job quality of care workers. ;본 논문은 여성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의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돌봄노동자의 낮은 일자리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탐구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이 어떠한지 확인하고, 인적자본특성과 노동시장특성이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인적자본특성으로 학력, 근속년수, 교육 및 직업훈련 경험을 고려하였으며 노동시장 특성으로는 사업체 규모, 사업체 종류, 근로시간에 따른 고용형태를 고려했다. 또한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을 분석함에 있어서 일자리 질을 임금적절성, 고용안정성, 사회보장성의 총체로 개념화하였다. 돌봄노동자들이 일자리 질의 다양한 영역에서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돌봄노동자들의 일자리 질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료로 「여성가족패널조사」의 5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돌봄노동자의 임금적절성, 고용안정성, 사회보장성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임금적절성, 고용안정성, 사회보장성을 조합하여 일자리 질 지표를 구성하고, 이를 종속변수로 하는 서열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대한 인적자본특성의 영향력과 노동시장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적자본특성 중 교육·직업훈련 경험 변수가 돌봄노동자의 고용안정성에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일자리 질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모델 중에서 인적자본특성과 노동시장특성이 함께 투입된 회귀모델에서 교육·직업훈련 경험 변수가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노동시장특성의 경우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사회보장성이 보장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전일제 고용형태인 돌봄노동자일수록 임금적절성과 고용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질과 관련해서는 사업체 규모와 근로시간에 따른 고용형태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 개선과 관련하여 인적자본특성이 단독적으로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서 여성 돌봄노동자 개인의 인적자본축적 노력이 일자리 질을 개선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노동시장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 교육·직업훈련 경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노동시장특성에 따라 개인의 인적자본의 영향력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인적자본이 일자리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동시장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에 대한 관리 및 통제의 강화,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대한 관리 제도의 도입 등의 변화를 통해 영세하지 않은 사업체를 증가시키고, 시간제 돌봄노동자를 줄임으로써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서비스업 발달과정에서 시장 원리 도입 및 경쟁심화, 수요자 중심의 사회서비스 공급, 일자리의 양적 증가에 대한 강조 등이 돌봄노동시장 내의 소규모의 영세업체를 증가시키고 시간제 돌봄노동자를 증가시켰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기조를 벗어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논문의 구성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A. 돌봄 노동자의 개념과 노동실태 5 1. 돌봄노동과 돌봄 노동자 5 2. 사회서비스와 돌봄일자리 7 3. 돌봄노동자의 노동실태 10 B. 돌봄 일자리와 일자리의 질 18 1. 일자리 질 패러다임과 괜찮은 일자리 18 2. 돌봄일자리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 21 3. 선행연구의 괜찮은 일자리 지표 활용 25 C.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대한 영향요인 34 1. 인적자본특성 34 2. 노동시장특성 37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2 A. 연구문제 42 B. 연구자료 43 C. 변수설정 45 1. 종속변수 45 2. 독립변수 48 3. 통제변수 51 D. 표본의 특성 52 1. 종속변수의 특성 52 2. 독립변수와 통제변수의 특성 56 E. 분석방법 59 Ⅳ. 연구결과 63 A. 일자리 질의 3가지 구성지표에 대한 분석 63 1. 특성별 일자리 질 구성지표의 차이 63 2. 일자리 질 구성지표의 영향요인 71 B. 일자리 질에 대한 분석 76 1. 특성별 일자리 질의 차이 76 2. 일자리 질의 영향요인 82 Ⅴ. 결론 및 논의 89 A. 연구결과 요약 89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 91 참고문헌 96 부록1. Singelman의 서비스산업 분류-여성가족패널 5차자료 연계표 103 부록2. ILO의 괜찮은 일자리 구조도 105 부록3. 4가지 서비스산업의 일자리 질 분포 107 부록4. 상관관계 회귀분석 결과표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37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여성 돌봄노동자의 일자리 질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Job Quality of Female Care Workers-
dc.creator.othernameJeong, Do Dam-
dc.format.pageviii, 111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선-
dc.contributor.examiner김민지-
dc.contributor.examiner이주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