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관리목적에 따른 금융상품 보유실태에 관한 연구

Title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관리목적에 따른 금융상품 보유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2nd baby-boom generation’s financial portfolio on the purpose of their financial management
Authors
조경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과정에서 중요 역할을 하고, 인구의 14.2% 정도를 차지하는 1차 베이비붐 세대의 미처 아직 준비되지 않은 은퇴가 시작 되며, 1968년~1974년 출생자들인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가져올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논의되기 시작하고 이들 세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2차 베이비붐 세대는 현재 44~50세에 해당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행사하고 있는 집단이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객관적인 기초자료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차 베이비붐세대의 금융소비행동을 기반으로 한 재무관리실태를 파악함에 있어 이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관리행동 실태를 살펴보고 재무관리 목적에 따른 재무관리행동에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재무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심리적 요인인 조절초점성향을 이용하여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관리목적과 재무관리행동이 해당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실증연구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재무관리행동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응답자들의 주거래 금융기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제 1금융권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으로는 보통예금 상품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 뒤를 정기예적금, 개인연금, 저축성보험, 주식이 이었으며 선물옵션과 채권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응답자의 수가 각각 8명과 12명으로 매우 적었다. 해당 금융상품의 선택이유를 이용하여 금융상품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보통예금을 제외한 나머지 9가지 금융상품들을 원금보장성 상품, 낮은 투자위험성 상품, 높은 수익률 상품 세가지 유형으로 묶어볼 수 있었다. 응답자들은 최저 1개부터 최고 7개까지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87.9%의 사람들이 4가지 이하의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이 실제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에 한 해, 금융상품의 보유목적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보통예금의 경우 생활비 입출금용으로 운용하는 응답자들이 많았고, 정기예적금은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자녀관련 자금마련을 위해, 저축성 보험상품과 개인연금의 경우 노후대비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응답자의 수가 가장 많았다. 채권, 채권형펀드, 주식, 주식형펀드, 선물옵션, ELS/ELD/ELF 상품의 경우 그 외 여유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재무관리 목적에 따른 재무관리 행동을 살펴본 결과, 원금보장성 유형과 높은 수익률 유형의 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응답자들은 자녀양육대비와 노후대비를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품을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재무관리 목적집단 별 보유개수 평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노후대비와 자녀양육대비 두 가지 목적 모두를 위해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집단들이 가장 다양한 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대비만 하는 사람보다는 노후대비만 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상품을 보유하고 있었다. 넷째, 금융상품의 보유개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대비행동을 하나라도 하고 있는 집단들의 금융상품 보유개수가 많았으며, 소득이 400만원이상 600만원 미만인 집단에 비해 2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의 소득을 보유한 응답자들이 더 적은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800만원 이상의 소득을 보유한 사람들과 자산이 6천만원 이하보다 5억 이상의 자산을 가진 응답자들이 더 다양한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성향이 상품보유개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절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초점성향은 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응답자들이 금융상품을 보유함에 있어 조절초점성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금융소비행동과 관련된 재무관리실태를 연구하여 이들 세대에 대한 기초 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first baby-boom generation, accounting for 14.2% of the total popul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in Korea. As their unprepared retirement begins, it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lso the socio-economic impact of retirement from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born between 1968 and 1974, has begun to be discussed and interest for these generations is increasing.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is in the age-group of 44 to 50, and it is a group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all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tc. However, studies on these subjects have not been conducted in Korea and objective basic data is not availabl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financial management based on financial consumption behavior of second baby-boom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and analyz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financial management. Next, using a psychological factor in regulatory focus which is predicted to have an impact on financial management, this study looked at the financial management objectives a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as affected by these factors.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result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main financial institution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using the banking sector,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financial products were ordinary deposit products. The next was regular accounts, personal pensions, savings insurance, and stocks. The number of respondents holding futures options and bonds was very low. Using the reasons of selection of the financial products, the nine financial products excluding ordinary deposi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rincipal guarantee products, low investment risk products, and high yield products. Respondents have financial products 1 to 7. Second, the results of the purpose of holding financial products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deposit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used the funds for the payment of living expenses, the installment savings is for their children, and someone who has savings insurance products or private pensions are employing their funds for retirement purposes. Bonds, bond funds, stocks, stock funds, futures options, and ELS / ELD / ELF products is used to raise extra cash. Third, examination of looking at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financial management purpose, respondents who want to save child care expense or provision for old age are operating principal guarantee and high yield products. Next, the result of examination for mean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holdings products, someone who wants to save for both purposes, has most various kind of financial products. In addition, those who are prepared for retirement rather than those who are prepared for their children have a relatively wide variety of products. Fourth, in the consequenc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me variables affecting the number of products holdings are emerged as influenced factors; provision behavior, income, asset. The group with income 4~6 million won respondents comparing the group with income 2~4 million won had more and they have fewer financial products comparing the group with income more than 8 million won. Respondents who earn more than 500 million assets have more financial products than 60 million won. Also, regulatory focus on financial instruments does not affected on the number of products ho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financial management related to the financial consumption behavior of the second baby boomer gener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se generations. This will be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inancial asset portfolio of the second baby-boom gen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