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양육참여의 관계

Title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양육참여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Role Belief and Parenting Participa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Authors
오로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양육참여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지, 혹은 완전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주요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유추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한 뒤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명 이상의 자녀가 있고 그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자녀가 6세 이하인 전국의 일하는 아버지 213명을 대상으로 리서치 회사를 통해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한국적 부모역할신념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양육참여 척도,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척도 및 그 외 인구통계학적 설문을 포함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변수들의 특성 및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구조방정식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역할신념은 양육효능감, 양육참여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양육효능감은 양육참여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부모역할신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양육효능감, 양육참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역할신념과 양육참여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완전매개모형임이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친화적조직분위기는 부모역할신념과 양육효능감 간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조절효과가 모형 내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부모역할신념과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간 상호작용 변수는 양육효능감을 거쳐 양육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 양육효능감 등 인지, 정서적 요인이 양육참여와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관련을 맺는지 밝힘으로써 주로 어머니를 양육의 주체로 설정하고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기존 연구를 보완하였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양육참여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진보적이더라도 아버지가 적절한 수준의 양육효능감을 지니고 있지 않다면 양육참여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혔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직장 내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할신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더 커진다는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의 제고가 선행되어야 함을 고려할 수 있다. 또 앞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단순한 정책 제시가 아닌 기업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직장 문화로서, 자사가 근로자의 일-가정 균형을 지원하고 중시한다는 가정이나 신념, 가치관, 기대 등을 의미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aternal role belief,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participation and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A sample of 213 fa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6 years-old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elf-report survey measured fathers’ paternal role belief, parenting participation, parenting self-efficacy,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ternal role belief,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participation. Second, to examine how parenting self-efficacy mediate the paternal role belief on parenting participation, AMOS 18.0 were used. Result indicated that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elf-efficacy between parental role belief and parenting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paternal role belief on parenting participation through parenting self-efficacy was moderated by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moderated mediation tes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the level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the organization would be boosted. Also, the guidelines and role-models fo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