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Title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mediated by Grit and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Basic Needs in Early Adulthood
Authors
김유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In early adulthood as a developmental transition, individuals suffer distress in fulfilling double-charged developmental tasks. Also, because of social structural issues, it is not easy to study, work, marry, give birth. For these reasons, early adults' mental health has been treatened than any other time period, the educational and therahpeutic interventions for promo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re urgent. Sice human development is the result of the constant intera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individuals, it is desirable to discuss both the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n explaining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the positive state and subjective achievement, it is desirable to handle both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psychological basic needs and Grit which are internal factors for improving early adults' well-being. Although early adults just have been out of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past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retains a considerable influence throughout a whole lif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formed in the proces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sychological adaptation(문이정, 김종남, 2013; 최은희, 2002; Aquilino & Supple, 2001; Park, Crocker, & Mickelson, 2004; Manzeske & Stright, 2009). and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intervention to the improvement of early adults' well-being above all things, it is necessary to work on finding the individual internal factors that explain the path of perceived parenting style confirming the mediation effect of Grit and psychological basic needs and then those mediators are both therapeutic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points. Grit, the first explanatory variable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well-being, is a non-cognitive trait that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predictor of success in various field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Grit strongly predicted the achievement of social successes such as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and competition awards and etc. though, the earlier studies have less interests in personal and subjective achievements like well-being and positive affect. Futhermore, since the explore for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predict grit is only an early stage, under a judgement that additional explanation is required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Grit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basic needs is selected for the second mediator. The positive parenting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hracteristics that help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own lives and to satisfy psychological basic needs essential for human life. but in regar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impedes such a healthy development well-being(Ryan & Deci, 2000), the positive parenting predicted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Grit and satisfaction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For these reason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using Parental Attittude Scale,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Basic Psychological Scale, and short ver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349 persons(124 males, 225 females) were finally analyzed. As a firt step of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n, n order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ation effects of Grit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ositive and negatice parenting attitud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s, all direct and indirect paths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Gri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parenting supports the development of Grit, which leads to high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atisfaction with basic needs, otherwise negative parenting has the negative effects on both development of Grit and satisfaction of basic needs which lead to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early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both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ceeded at the same time to help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also to form positive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nd to help the development of Grit.;성인 초기는 발달적 과도기로서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발달과업을 이중으로 수행해야 하는 부담을 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해 학업, 취업, 결혼, 출산 등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성인 초기의 정신건강에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며(김민준, 유정인, 2017),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 증진을 위한 교육적‧치료적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발달은 환경과 개인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결과이므로, 성인 초기 심리적 안녕감이라는 긍정적 상태이자 주관적 성취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환경과 개인 특성을 함께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안녕감 증진을 위해 환경적 요인인 부모의 양육태도(Parenting Styles)와 개인내적 요인인 그릿(Grit) 및 기본심리욕구 만족(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Basic Needs)에 주목하였다. 성인 초기는 부모의 직접적인 영향력에서 벗어난 시기이지만, 과거 부모와의 관계는 다른 어떤 관계 유형보다도 전 생애에 걸쳐 여러 영역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그 과정에서 형성된 개인 내적 특성은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문이정, 김종남, 2013; 최은희, 2002; Aquilino & Supple, 2001; Park, Crocker, & Mickelson, 2004; Manzeske & Stright, 2009). 결과적으로 성인초기의 안녕감 증진에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에서 개인내적 특성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인 그릿은 끈기(perseverance of effort)과 열정(persistence of interest)으로 구성된 다양한 분야의 성공을 예측하는 비인지적 특성으로(Duckworth, 2007), 다른 성격적 특질과 마찬가지로 환경과 유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McGue, Rustichini, & Iacono, 2017; Rimfeld, Kovas, Dale, & Plomin, 2016; Wang, Davis, & Haworth, 2017; Wootton, Davis, & Haworth, 2017). 선행연구에 따르면, 그릿은 우수한 학업성과나 대회 수상 등 성공을 강하게 예측하였지만(Duckworth, 2007), 기존의 그릿 연구는 개인의 긍정정서나 안녕감과 같은 주관적 성공과 관련해서는 비교적 적게 수행되었고 나아가 그릿을 예측하는 환경적 변인 탐색은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그릿이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함에 있어서 추가적 설명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기본심리욕구만족을 두 번째 설명변인으로 선정하였다. 기본심리욕구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에 의해 직접적으로 충족되기도 하지만, 적응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자신의 정서‧행동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조절력(Self-control), 맡은 바에 최선을 다하는 성실성(Consciousness), 부정적인 상황을 직면하더라도 긍정적인 의미를 찾아내는 낙관성(Optimism), 더 큰 보상을 위해 만족을 지연하는 만족지연 능력(Delay of gratification) 등의 내적 특성 형성에 영향을 주어(정찬우, 2009) 그 긍정적 특성이 기본심리욕구 만족 가능성을 높인다. 성인기에 진입하면서부터는 부모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를 직접 만족시키기보다 자녀의 내적 특성이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자산이 되어 안녕감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Bowers et al., 2011; Lerner, Alberts, Jelicic, & Smith, 2006; Ryan & Deci, 2000). 대조적으로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자녀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으로 작용한다(Ryan & Deci, 2000). 위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이 목표한 바를 추구하는 데에 자녀가 오랜 시간 인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릿 특성을 형성하고, 그릿 특성이 높은 개인이 높은 수준의 안녕감을 보고하는 데엔 목표추구의 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를 충족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삼원 그릿 척도, 기본심리욕구 척도, 축약형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령 범위를 벗어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49명(남성 124명, 여성 225명)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의 첫 단계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후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 그릿, 기본심리욕구,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이중매개 모형의 모든 직‧간접적인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그릿 특성의 발달을 돕고 그릿은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통해 높은 심리적 안녕감 유지 및 증진시키는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그와 반대되는 결과를 예측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성인 초기 안녕감 증진을 위해서 안녕감의 기초가 되는 기본심리욕구를 만족시키는 방법을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하고 그릿과 같은 내적 자산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