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장소 브랜드 디자인 연구

Title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장소 브랜드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tilizing Infographics for Place Branding Design : A Case Study on the Bosu Book Street, Busan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각종 매체가 발달하면서 책방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요즘, 대형 서점들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다양한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쫓아가지 못하는 서점들은 신간 서점이든 헌책방이든 도태될 수밖에 없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부산의 보수동 책방골목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 더욱 매력적인 장소가 될 수 있도록, 또 문화 체험이 가능하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머지않아 소통하는 문화 공간으로서 생활 깊숙이 들어와 더욱 친숙하고 즐거운 장소로 거듭날 것이다. 예전에 소통이라 함은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온라인 게시판이나 SNS 등을 통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며, 이러한 모든 행위는 데이터로 저장되고 있다. 사람들은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같은 데이터일지라도 정보 인지가 수월한 쪽을 택하기 마련이다. 감각 수용 방법으로 시각을 택해 수용하는 비중이 70%에 달하기에, 정보를 습득할 때 많은 부분을 시각적 자극에 의지한다. 따라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해 숨은 의미를 찾거나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책방골목이 소장하고 있던 콘텐츠뿐 아니라 책의 항목들과 보수동 책방골목의 관계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관심의 대상이 구체화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부산시 보수동 책방골목이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게 된 장소 브랜딩에 관심을 갖고 그 성격과 특성, 역사와 문화, 과거부터 현재까지 남아 있는 40개의 매장 정보를 분석해 시각화한 뒤 보수동 책방골목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개발해보고자 한다. 보수동 책방골목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곳으로,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보수동 사거리 입구 처마 밑에서 헌책을 팔던 노점상이 그 시초였다. 지금은 40개의 책방이 150미터가량 골목 양쪽에 죽 늘어서 있다. 책이라는 지식 상품이 유통되는 공간이지만, 현재의 일관되고 정체된 아이덴티티로는 정보를 얻고 이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연구자는 정보 시각화와 인포그래픽 개발을 통해 책방골목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얻는 것은 물론 이해를 도울 것으로 내다보고 보수동 책방골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보수동 책방골목의 인포그래픽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로 정보를 전달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인포그래픽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정보를 새롭게 전달함으로써 사람들과 더 가까이 소통하고 빠른 정보 확산을 위해 새롭게 다가가고자 한다. 또한 인포그래픽을 활용해 정보 인지 면에서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고, 소통과 문화 공간으로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따라서 먼저 장소 브랜딩과 인포그래픽에 대한 기존 연구와 문헌 및 유형 사례를 살펴보고, 보수동 책방골목의 현황 조사를 통해 인포그래픽의 필요성을 파악한 뒤 이에 맞는 방안을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빠른 정보 확산은 물론 활성화된 장소 브랜딩 이미지를 유연하게 표현한 보수동 책방골목 인포그래픽 시스템 디자인을 제안했다.;As the demand for physical books is dwindli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large-scale bookstores are working to meet the standards of today to become a venue where consumers can be exposed to various forms of culture. Bookstores that cannot catch up to this trend cannot survive the competition, be it a new publication store or a secondhand bookshop. Even the shops in Bosu Book Street, located in Bosu-dong, Busan, known for their love of tradition, are working to become a trendier, more attractive venue for consumers of culture. Soon enough, bookstores in the Bosu Book Street will be reevaluated as a cultural center of literary communication, deeply embedded in our daily lives. Back in the days, ‘communication’ was something traditionally limited to the exchange of conversation, but now, with sharing of opinions on online forums and the social media, all our communicative exchange is recorded in digital data form. In this act of communication, even the same form of data will be preferred to be consumed in a more easily recognizable and processable presentation. In terms of sensory processibility, 70% of consumers prefer to consume data in visual-oriented presentation, and when processing information, they rely heavily on visual stimuli. That is why many industries are relying on data processing and analyzing in order to see the hidden patterns behind data, or to visualize data. For these reason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specified to finding information relevant to how there is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contents under the possession of the Bosu Book Street, the items of books distributed there, and the venue itsel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fographics design for the Bosu Book Street by focusing on its place branding as the local area’s representative tourist venue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history, and culture,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data on 40 different shops that once was and still is operating in the Bosu Book Street. The Bosu Book Street is the oldest of its kind in South Korea, originating from a street vendor that sold used books under building eaves in the entrance to Bosu Street’s four-way intersection back in 1950, during the time of the Korean War. Despite the Bosu Book Street being a commercial space where product forms of intellect that we call ‘books’ are distributed, the monotonous and stationary identity of the venue makes it difficult for consumer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it. This research thus specifies its subject to the Bosu Book Street, the prospective of the data visua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fographics for the Bosu Book Street being: easier process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s well a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fographics design for the Bosu Book Street. The infographics design will not rely on the former method of text-reliant delivery of information; rather, it will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s in closer proximity as well as through a fresh approach by making available information in a novel form of presentation. Also, through infographics, the rather undeveloped consumers’ space for Bosu Book Street’s information will be improved, and the Bosu Book Street will be introduced an alternative method to be more active in promoting itself as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culture. Therefore, there will first be a literature review on previous research, references, and case studies on place branding and infographics, then a solution will be deducted from further study on the status quo of the Bosu Book Street and its need for infographics. Conclusively, this research proposes an infographics design that allows faster information distribution as well as flexible expression of Bosu Book Street’s place brand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