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0 Download: 0

그릿(Grit)은 어떻게 발달하고 발휘되는가?

Title
그릿(Grit)은 어떻게 발달하고 발휘되는가?
Other Titles
How Grit Develops and Shows : On the Relationship with Effort-Reward Imbalance, Pre-Task Trial, and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Authors
류영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성인진입기 대학생들은 학업·대인관계·진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변화를 경험하며, 인생 전반에 걸친 장기적인 정체성을 탐색한다. 그릿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지속하고 노력을 꾸준하게 이어갈 수 있는 성격 특성으로, 이 시기의 적응에 도움을 주는 변인이다. 그러나 그릿이 발달하는 배경과 실제 지속 행동으로 이어지는 기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릿(인내)을 환경적 경험으로 발달하는 특성으로 바라보고, 이를 위해 노력 대비 보상이 적절하게 주어지지 않는 환경에 대한 지각을 의미하는 노력-보상 불균형과 그릿(인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릿(인내)이 실제 역경 상황에서 재도전 행동으로 표현되는 기제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초기 경험이 이후의 과제 수행에 영향을 주며, 같은 성공 상황이어도 성공하기까지 들인 노력에 따라 과제에 대한 지각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선행 성공 경험을 매개변인으로 제안하였다. 선행 성공 경험은 풀리는 문제에서의 도전횟수, 즉 선행과제 도전횟수로 측정되었고, 역경에서의 재도전 행동은 풀리지 않는 문제에서 역경과제 재도전율로 측정되었다. 이때 개인마다 다른 과제수행능력을 통제하여 역경 상황에서의 의도적 노력을 보다 잘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순 재도전횟수가 아닌 ‘풀리는 문제에서의 도전횟수 대비 풀리지 않는 문제에서의 재도전횟수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참가자들이 보유한 서로 다른 목표를 통합하는 하나의 실험 과제를 제시하기 어렵고, 우리나라 문화에서는 그릿과 그릿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열정보다 인내의 설명력이 높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그릿의 두 하위요인인 열정과 인내 중 인내 요인을 중심으로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노력-보상 불균형과 역경과제 재도전율의 관계를 그릿(인내)과 선행과제 도전횟수가 매개하는 이중매개모형이 설정되었다.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진입기(만 18-25세) 남녀 7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노력-보상 불균형, 그릿, 과제흥미도)과 실험 과제(선 추적 과제)를 실시하였다. 우선 상관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이중매개모형을 검정하였다. 각 변인 간 직접효과를 확인한 후, 노력-보상 불균형과 역경과제 재도전율 간 관계에서 그릿(인내)과 선행과제 도전횟수의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 결과 노력-보상 불균형은 그릿(인내)과 부적인 상관이 유의미했으며, 그릿(인내)과 선행과제 도전횟수, 선행과제 도전횟수와 역경과제 재도전율 간에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PROCESS macro를 이용해 노력-보상 불균형과 역경과제 재도전율의 관계를 그릿(인내)과 선행과제 도전횟수가 이중매개하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열정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과제흥미도를 통제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재도전횟수가 기존의 지속시간 변인에 비해 의도적 노력을 보다 잘 측정하는 결과 변인임을 확인하기 위해 총 소요시간을 통제변인으로 사용하여, 통제 후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노력-보상 불균형과 그릿(인내), 그릿(인내)과 선행과제 도전횟수, 선행과제 도전횟수와 역경과제 재도전율 간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간접효과를 검정한 결과 과제흥미도와 총 소요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력-보상 불균형은 그릿(인내)과 선행과제 도전횟수를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역경과제 재도전율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두 매개변인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그릿(인내)은 비인지적인 특성이지만 인지적 판단과 동떨어진 개념이 아니다. 노력에 대한 보상이 적절히 주어지는 환경이 지속될 때 노력에 대한 유인이 형성되며, 이것이 그릿(인내)이라는 특성으로 내재화한다. 장기적으로 노력을 지속하는 그릿(인내)은 단기적인 상황에서도 발휘될 수 있으나, 초기의 경험을 통해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인지적 지각이 있을 때에만 실제 지속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발달하는 그릿(인내)의 기능적인 측면과, 현실적 판단 하에 노력을 지속하는 적응적인 그릿(인내)의 특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적절한 보상이 주어지는 환경에 대한 지각이 그릿(인내)의 발달에 영향을 주고, 이렇게 발달된 그릿(인내)이 선행 성공 경험을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행동으로 발휘되는 기제를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그릿(인내)과 실제 노력 행동 간 관계에서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으나 그 기제에 대해서는 탐색이 부족했는데,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상반된 결과가 초기의 손쉬운 성공 경험 여부를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실험적 방법을 사용해 그릿(인내)을 연구하였고, 그릿(인내)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재도전횟수와 재도전율을 새로운 결과변인으로 제안하였다. 그동안 그릿(인내)을 실험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적고, 재도전횟수와 재도전율이 기존의 수행점수와 지속시간에 비해 그릿(인내)의 중요한 특성인 의도적 노력을 더 잘 표현하는 변인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보상이 적절하게 주어지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그릿(인내)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여 그릿(인내)에 대한 개입이 환경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emerging adulthood experience various changes in wide range of life domains. Academically, interpersonally, and volitionally they explore goals which develop their long-term identity. Grit, a personality to keep long-term goals and maintain efforts for a long time despite adversity, is a key to adaptation in this period. However, less has been studied on how grit develops and how people show their grit in actual adversity. On this study, I hypothesized that grit(perseverance) is a functional variable, and it develops by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Especially I expected a perception of reward fairness in one’s environment will be related to grit(perseverance). Moreover, according to prior studies, how easy one successes initially can influence his or her post cognition and behavior. Therefore I suggested pre-task trial as a mediator between the relationship of grit(perseverance) and actual persist behavior in adversity. To study this relationship the experimental design was developed. Pre-task trial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trials that took to solve the solvable tasks, provided beforehand. Persist behavior in adversity was measured by re-challange in unsolvable task, which is the ratio of number of trials at solvable tasks to unsolvable task. In intention to measure deliberate effort while controlling diverse task performance ability among people, ratio not number of trials was measured. Between two constructs of grit, passion and perseverance, only perseverance was the focus of this study. This was because no one task exists that combine all the different superordinate goals each participant have. Also, there’s a doubt in the explanation power of passion in Korean culture. Consequently, serial mediation model was set, study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perseverance) and pre-task trial on the relationship of effort-reward imbalance and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7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sever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and trace line task. For the collected dat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grit(perseverance) and pre-task trial among the relationship of effort-reward imbalance and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multiple mediation model was analyzed by Process macro(Hayes, 2013). First direct effects between all variables were analyzed, following the examination of indirect effects of grit(perseverance) and pre-task trial.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effort-reward imbalance and grit(perseverance), grit(perseverance) and pre-task trial, pre-task trial and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Second, the evaluation of multiple mediation model showed significant direct association between effort-reward imbalance and grit(perseverance), grit(perseverance) and pre-task trial, pre-task trial and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To exclude the effect of passion, task interest was controlled. Total time was also controlled in purpose to emphasize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as a better measurement of intentional effort. Third, there was significant serial indirect effect in effort-reward imbalance, grit(perseverance), pre-task trial, and re-challenge in unsolvable task. Results suggests that despite grit(perseverance) is an noncognitive skill, it does not mean it’s completely away from cognitive appraisal. If one perceive that their effort is paid appropriately, this lead people throw into effort, which in long run internalizes as grit(perseverance). Grit(perseverance), although show up in long-term, still shows effect in short-term persistence too. However, this is true only when the possibility of success is perceived by pre-task experience. Such results stress the functional, adaptive characteristics of grit(perseverance). On this study I examined the mechanism how grit(perseverance) shows in real circumstance. It turned out that perception of effort-reward imbalance in one’s environment have effects on development of grit(perseverance), subsequently leading to actual effort in adversity through an experience of pre-task. Previous studies showed inconsistent relationship among grit(perseverance) and actual effort, but there was no close look on it’s mechanism. By this study it could be explained.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grit(perseverance) using experimental method and suggested new variables(pre-task trial, re-challenge) to measure the effect of grit(perseverance). It’s meaningful as less study has been conducted experimentally, and new variables express deliberate effort better than previous variables such as performance or persistence time. Finally, this study shows environmental intervention can be important in developing grit(perseverance), implying the need of macroscopic view on grit(persever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