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6 Download: 0

가정 내 위험요인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 내 위험요인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on Child abuse
Authors
황정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선
Abstract
일종의 가정폭력인 아동학대는 2013년 두 건의 심각한 아동학대 사건을 계기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아동학대 피해자는 스스로 방어할 능력이 없는 아동이고 학대 후유증이 평생 지속될 수 있으며 가해자 대부분이 가족 구성원이라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특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가족은 아동에게 일차적 환경이며 가정 내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은 긴밀하기 때문에 이 상호작용이 학대일 경우 쉽게 은폐될 수 있고 특히 자녀를 부모의 소유물로 인식하고 훈육을 위한 체벌을 당연시하는 문화적 특수성으로 인해 가정 내 요인이 학대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정 내 아동학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2015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아동학대실태와 피학대아동보호법제를 위한 연구」를 위해 조사한 데이터 중 가정 내 실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 즉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결과만을 조사한 데이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를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한정하였다. 가정 내 위험요인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위험요인을 미시적, 중간적, 거시적 위험수준별로 유형화하고 수집한 데이터에서 가정 내 발생한 아동학대사건만을 대상으로 가해자 한 명 대 피해자 한 명인 250건의 케이스를 추출하여 가정 내 위험환경 전반과 아동학대에 대한 구체적 차이와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빈도분석의 결과, 가정 내 아동학대 발생결과와 가정 내 수준별 아동학대 위험요인의 구체적 총량과 비율을 통해 국내 가정의 아동양육문화가 여전히 가부장적인 악습을 답습하고 있으며 권위적이고 체벌을 용인하는 폭력적 문화를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가정 내 아동학대 위험요인과 학대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아동이 남아일 경우에는 정서적 학대에서 차이가 있었고 학대행위자가 남성인 경우에는 방임·유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복합학대에서는 아동이 신체장애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13세에서 18세 사이의 아동의 경우에는 반복학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가정 내 위험요인과 아동학대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부모연령, 적대적·통제적·과도한 훈육태도가 아동학대 총 후유증 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동학대 총 후유증 수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내 위험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는데 부모연령, 부모개인수입, 적대적·통제적·과도한 훈육태도가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후유증 총 수로 아동의 후유증의 경중을 논하기는 어려우나 가정 내 위험요인의 대략적인 심각성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으며 아동 개인특성보다는 부모개인특성과 문화적 특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아동학대를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유기로 구분하여 가정 내 위험요인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학대에는 부모성별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것은 어머니가 주 양육자로 자녀의 교육 및 훈육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며 부모의 신체장애 및 정신질환 여부와 한부모 가족도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거시적 요인 중 학대 전 언어적 갈등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대 전 물리적 갈등은 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신체적 학대에도 중간적 요인과 거시적 요인의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정서적 학대에는 아동성별 중 남아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중간요인으로는 부모의 신체장애 및 정신질환 여부가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아동연령과 아동행동특성이 부적인 영향을 미쳐 주로 아동개인특성인 미시적 요인이 영향을 주었다. 방임·유기는 모형적합도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성별 중 남성이 위험요인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복합학대와 반복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내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위험요인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복합학대에는 미시적 요인 중 아동연령과 아동행동특성여부가 부적으로, 아동신체장애 및 정신질환 여부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중간적 요인에서는 부모연령과 부모 혼인상태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거시적 요인에서는 적대적·통제적·과도한 훈육태도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대 전 물리적 갈등이 있는 경우에는 복합학대가 증가하였다. 반복학대도 복합학대와 마찬가지로 모든 수준의 위험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아동연령과 부모 음주여부, 아동의 사회적·지역적 고립여부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재혼 가정과 한부모 가족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내 위험요인은 전 수준에서 아동학대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지만 특히 중간적 요인 중 부모 및 가족의 특성과 거시적 요인인 문화적·사회적 특성이 아동학대에 있어 더 큰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학대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여야한다. 또한 체벌을 용인하는 문화를 지양하고 가정 내 아동학대 사건을 사적영역의 문제로만 국한하지 않고 사회적 개입과 지원을 통해 개선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가정 내 실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을 대상으로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과정과 결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지만 조사를 실시하기 전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획득에 어려움이 있어서 예측하지 못한 변수를 충분히 포함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사건의 가해자나 피해자의 구체적 진술을 확보하여 가정 내 위험요인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분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hild abuse, a form of domestic violence, has become a social problem following two serious cases of child abuse in 2013. Child abuse victims are children who can not defend themselves, and the aftermath of abuse can last a lifetime, and most perpetrators are family members, requiring special caution and attention. Because families are primary to children and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are so close that when it comes to abuse, it is easy to conceal this interaction. Especially family risk factors have strong influence on child abuse when it comes to the use of physical punishment to discipline children with the thought of their children as parents property and cultural uniqueness of taking corporal punishment for discipline for granted.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child abuse in the family are protection factors and risks, and i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risk factors affecting child abuse because it used the data for the Korean Institute for Criminology and Criminology's Investigation of Children Abuse Research, "Research on Children's Abuse Effects and Child Protection" published in 2015. The risk factors were subdivided into micro, meso, and macro-risk-level categories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risk factors on child abuse, lea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ases in the family and on the data collected. After this, extracted 250 cases with one perpetrator versus one victim of child abuse cases only occurred on the family to assess specific differences on the child abuse in the family. First of all,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culture of child rearing still accepts patriarchal habits of discipline through the specific sum and proportion of the specific risk factors for child abuse. Second, the results of a cross-analysis check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a child's abuse risk factor and child abuse in the family, the boy was identified as different from emotional abuse, if the abuser is male, it was different from neglect and abandonment. So it was identified children and parents were risk factors for abuse depending on gender roles on the family. Combined abuse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s when children had physical or mental disorders, and in cases of children aged 13 to 18, repeated abuse had significant effects. Thir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factors in the family and child abuse showed that the age of the parents, hostile, controlled, and excessive discipline attitudes were correlated with the total number of child abuse symptoms. Risk factors in the home impacting the total number of child abuse cases have been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arental age, parental personal income and hostile, controlled, and excessive disciplinary attitudes had a significantly more static effect. Children's Sequela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child's after-effect,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e approximate seriousness of the risk factors in the family, parents' pers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d child abuse as a risk. Fourth, we have divided child abuse into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neglect, and abandonment, and looked at its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risk factors in the family, the parent’s gender gave it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abuse. This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mothers were the main childcare giver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and discipline of their children, and confirmed that their parent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and their one-parent families, were a risk factor. Of the macro factors, pre-abuse verbal conflict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hysical abuse, whereas pre-abuse physical conflicts acted as static factors, proving the influence of meso and macro factors on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was affected statically by a male child, by a parent'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as an meso factor, the influence of children’s age and child behavior was negati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micro-factor, usually a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 influences emotional abuse. Neglect and abandonmen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model fit, but it was confirmed that males of the gender of the parent were an influence as a risk factor. Finally, when examining the risk factors in the assumptions that affect combined and repeated abuse,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t all levels of risk. Combined abuse was affected by negative effects of children’s age and whether children were characteristic for their behavior, and by static effects of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in the meso category, by parent age and marriage. Macro risk factor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erson with hostile, controlled, or excessive discipline ; however, combined abuse increased in the case of physical conflict before abuse. Repetitive abuse, like combined abuse, was affected by all levels of risk, including children's age, parents' drinking, and whether children were socially and locally isolated and the second family and the one-parent famil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repeated abuse. As a result, risk factors in family that affect child abuse increase the risk of child abuse at all levels, but in particular,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qualities of parents and family among the meso risk factors, pose a greater risk in child abuse. Therefore, to reduce the risk of child abuse, parents should improve the parenting environment, enhance awareness of child abuse, reject cultures that only accept corporal punishment, and the cases of child abuse in family should be improved through social involvement and support, not confined to private areas. This paper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s risk factors and provides specific processes and results for actual cases of child abuse in the family. However, there is the limit that prior to the investigation, specific information on child abuse events was difficult to obtain and therefore not sufficiently contained unexpected variables.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need to obtain a specific statement from the perpetrators or victims of the child abuse case to consider a more in-depth analysis of the family risk factors on child abu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