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스마트워치 내 감정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스마트워치 내 감정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mo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Smart Watch : Focusing on Visualizing Color, Shape, Rhythm Elements
Authors
유수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The history of humans can be viewed as the history of communication. People’s yearning to share their emotions and information with each other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From the murals and fire beacons man has used in the past, mankind has made great advancements in communication. The recent invention of smart media and smartphones has played a revolutionary role i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they have changed how man communicates as much as the inven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development of smart media has changed how humans communicate, and it’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wherever and whenever without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through smartphones. Smartwatches go even further, making  it possible to exchange feelings and information with others even in situations where smartphones cannot be used. However, the use of smartwatches has been limited as a secondary device, subordinate to the smartphone, and is typically used just for checking messages and contacts. This is despite the fact that a smartwatch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even easier to access, and can be considered the most personalized device. This research is aimed to design a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only smartwatches can provide by overcoming their functional limitations. Communication through smartwatches was aimed to be developed by keeping emotional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s its main focus. This was because current devices that enable online communication emphasize providing the “experience of face-to-face communication.” The detailed method of expression is limited to non-verbal factors, but this is because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and paintings have a longer history and are more familiar to people than text-based method of communic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ervices provided by smart media—such as current smartphones and smartwatches —before designing the non-verbal emotion communication method specific for smartwatch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ervices currently being provided, it was found out that smart media production companies are investing a great deal of effort into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is as friendly as face-to-face communicati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smartwatches for these services was very passive compared to smartphones and PCs. The flow of non-verbal communic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non-verbal factors that could be applied in smartwatches was analyzed next in order to apply them to the visualization of emotion-centered communication. Detailed method of expressions was deduc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bstract art, emotional expression in animation, and other visualization cas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ethod of communication in smartwatche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users who have had experience using them. It was found out that the majority of smartwatch-based communication was followed by the use of the smartphone. They would only really use the smartwatch for contacting people who are nearby, checking messages that they have sent, or sending simple repli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roviding emotional communication services in smartwatches is needed. In order to design the smartwatch screen as an independent emotional communication device, 6 representative emotions were selected and visualized using non-verbal factors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pursues an emotional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non-verbal factors such as color, shape, and rhythm in designing the smartwatch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existing smartphones, many people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aster. However,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research is exclusive to smartwatches: it enables a communicative experience, which smartphones cannot provide, with those who are nearby. In the research that is to follow up, in-depth research regarding the design for a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can intricately express and exchange a variety of emotions will be carried out.;인간의 역사는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류는 타인과의 감정 또는 정보 공유에 대한 열망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과거 벽화에서 봉수제도를 거쳐 현재의 실시간 메시지 전송에 이르기까지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을 살펴봤을 때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통신기기의 발전은 최초의 무선통신 발명만큼이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혁명이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 미디어의 발전은 사람들의 의사소통 방식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는데 스마트폰을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언제 어디서든 타인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면 스마트워치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에서조차 타인과 감정 및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항상 닿아있는 가장 가깝고 가장 개인화된 기기라는 특징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의 보조적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기기로서의 스마트워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스마트워치만이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감정적 소통 중심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는데 현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면대면 소통의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표현 방식은 비언어적 요소로 한정 지었는데 이것은 텍스트 중심의 언어 소통보다 몸짓, 표정, 그림 등의 비언어적 소통이 그 역사가 더 길고 사람들에게 익숙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스마트워치 내 비언어적 감정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설계하기에 앞서 현재 스마트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미디어 제조 기업들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과 같은 친근감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려 노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이나 PC와 비교했을 때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발전이 소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감정 중심 커뮤니케이션의 시각화를 위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흐름과 스마트워치 내에 적용할 수 있는 비언어적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 표현법은 추상 미술 및 애니메이션 내 감정 표현 및 시각화 사례 조사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다. 그 후 사용자 조사를 통해서는 스마트워치 소통 방식의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스마트워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이어지며 가까운 사람과 스마트워치를 통해 소통을 할 때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간단한 답장을 보내는 정도에 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워치 내 감정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정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시각적 표현방식 설계를 위해 대표 감정 6가지를 선정 후 이론적 배경에서 정리한 비언어적 요소 및 표현 연구를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계하는 데 있어 비언어적 요소인 색채와 형태, 리듬을 통해 감정 표현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시각화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방법을 활용한다면 가까운 사람들과 정서적인 교감을 나누는 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단순 통화나 메시지를 통해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새로운 소통의 경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