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5 Download: 0

스트라이프 패턴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분석

Title
스트라이프 패턴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Visual Image depending on Stripe Pattern
Authors
이경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패턴은 인간의 생활 속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며, 인간의 생활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패턴 중 스트라이프 패턴은 여러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또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패턴 중 하나이다. 스트라이프 패턴은 모던한 느낌과 깨끗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시각적 효과로 패션뿐만 아니라 건축 및 실내디자인과 같은 인테리어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트라이프의 형태가 갖는 조형적 특성으로 스트라이프는 시인성과 주목성을 위한 패턴으로도 사용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라이프의 줄무늬의 간격뿐만 아니라 색 그리고 조도 차이에 따라 사람들이 어떻게 스트라이프의 이미지를 느끼는지에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명도와 고채도의 색을 적용한 스트라이프 패턴을 적용하였을 때 어떠한 시각적 효과가 일어날 수 있는지, 시각적 요인을 바탕으로 구성한 이미지 형용사 평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3장에서는 스트라이프의 줄 간격, 방향, 색 그리고 적용 대상에 따라 느껴지는 시각적 부피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4장에서는 3장의 색에 따른 부피감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명도와 채도 대비가 큰 색의 스트라이프 샘플을 추가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3장의 시각적 평가 항목인 ‘시각적 부피감’을 포함하여 ‘경계가 선명한’, ‘입체적인’, ‘어지러운’, ‘잘 보이는’, ‘눈이 부신’의 6가지 이미지 형용사의 반대 어휘를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이미지 형용사에 따른 결과 값을 바탕으로 조도 변화에 대한 이미지 형용사 분석과 스트라이프의 간격에 대한 밝기 대비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라이프 줄의 간격이 커질수록 ‘눈이 편한’, ‘잘 보이는’, ‘경계가 선명한’, ‘부피감이 큰’으로 응답하였으며, 줄 간격이 작아질수록 반대로 나타났다. 중조도 환경에서 스트라이프 줄과의 대비를 더 크게 느꼈으며, 고채도의 Orange, Yellow green 샘플에 비해 명도가 더 높은 White 샘플을 더 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채도에 의한 영향보다는 명도에 의한 대비 효과를 더 크게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명도⋅고채도의 Orange가 Yellow green보다 덜 눈부시며, Orange가 더 잘 보이고, 경계가 선명하게 보인다고 하였으며 부피감은 Yellow green에서 부피감을 더 크게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스트라이프의 간격에 따른 밝기 대비 평가에서는 색의 스트라이프와 Black이 차지하는 간격의 대비가 2:1일 때, 스트라이프 색이 1:1 비율일 때보다 밝게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고명도⋅고채도의 스트라이프를 사용할 때 스트라이프를 구성하는 요소와 그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함에 있어 스트라이프 적용 목적과 대상에 따라 색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Patterns inevitably appear in human life and als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our life. Among various types of patterns, the stripe pattern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patterns and often seen around in many fields. Due to its visual effect which evokes modern and clean feeling, stripe pattern is not only used in fashion but also in interior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With its formative property, it is also used for a pattern for visibility and atten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how people perceive images of strip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olor and illuminance as well as the size of the interval between stripe patterns. Additionally, through the evaluation of image adjectives based on visual factors, we tried to find out what visual effects can be created by applying stripe pattern with color of high lightness and high chroma. In chapter Ⅲ of this paper, we evaluated the visual volumetric feelings of stripe pattern depending on the space between lines, direction, color, and subject of application. In chapter Ⅳ, we conducted a survey with the addition of stripe samples with large contrast of lightness and chroma, based on the result from chapter Ⅲ that there is not much of a difference in volumetric feeling on various colors. Including one of the visual evaluation criteria, ‘visual volumetric’, we chose six opposite adjectives ('visual sharpness', 'stereoscopic', 'dizziness', 'seen clearly', ‘dazzling’) in this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estimate values on each image adjective, we analyzed the image adjec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illumination and evaluation on the brightness contras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terval between stripes. As a result, as the spacing of stripe lines increased, the subjects felt ‘their eyes were comfortable', 'lines of boundary were clear', 'stripe lines were sharp edges' and 'highly volumetric'. The contrast of the striped lines was perceived greater in the mid illuminance environment and white sample appeared as if it had higher lightness than highly chromatic Orange and Yellow green samples, indicating that the brightness affect greater than chroma in perception. The answers(responds) included that the Orange color with high lightness and high chroma was less dazzling than Yellow green and shown better with clear boundaries while the volumetric felt more bulky in Yellow green. In the comparison of the lightness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strip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the stripe appears brighter when the color of the stripe and black is in a ratio of 2: 1 than 1:1. The results showed the elements of stripe and the visual image of stripe patterns when using high lightness and high chroma color of stripes accordingly. In using the stripe patterns, we hope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ing stripes and visual effects of the stripe colors based on the subject of appl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