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강윤주-
dc.creator강윤주-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34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34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9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9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675-
dc.description.abstractGray는 Grayness로서 모든 색에 물들 수 있다. 우리는 Gray를 일반적으로 밝기만 변화하는 무채색으로 정의하지만 실제 Grayness는 다양한 색상에 내재되어 나타날 수 있는 Gray의 속성이다. 고대학자들과 사회에서 Gray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었지만 최근 Grayness는 다채로운 색채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Nayatani는 Hering의 기본 6색의 중심축에 Gray가 기준색으로서 존재하고 있음을 주장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따라서 Gray가 모든 색의 필수적인 기준 색으로서 사람들이 색채를 인지하고 감성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색채 감성을 객관적이고 의미해석의 용이함을 위하여 Grayness를 변수로 채택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색채 감성 형용사에 대한 주관평가치와 Grayness, NCS 구성요소(Whiteness, Blackness, Chromaticness) 지각량의 정량적 관계로부터 응용할 수 있는 색채 감성의 예측식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Grayness가 대표하는 색채 감성을 제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Grayness의 색채 감성 이미지 스케일을 구축하고자 한다. 평가척도는 1차적으로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감성 형용사에서 Grayness와 관련이 있을 것 같은 좀 더 구체적인 형용사로서 세분화하여 2차 감성 형용사를 선정하였으며 20, 30, 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Grayness가 색채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rayness와 1차 감성 형용사 ‘Active-Passive’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보이나 전체적으로 Blackness가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차 감성 형용사는 색채 적합성 검사와 Grayness 연관 형용사로 선별한 것이므로 1차 감성 형용사보다 Grayness 및 NCS 구성요소((Whiteness, Blackness, Chromaticness) 지각량과 좀 더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유효한 예측식은 총 15쌍 중에 6쌍에 불과했다. 그 중 Grayness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감성 형용사 2쌍은 ‘선명한-칙칙한’과 ‘역동적인-차분한’으로 Grayness를 대표하는 색채 감성 모델로 제시할 수 있다. 그 특징들을 살펴보면 칙칙하면서 차분한 색채의 특징은 Grayness와 Blackness가 높고, Chromaticness가 가장 낮은 색들이 많았으며, 차분하면서 선명한 색채의 특징은 중간양의 Grayness와 Chromaticness와 Blackness가 가장 작은 색들로 구성돼 있었고, 선명하면서 역동적인 색들은 Grayness가 작고, Chromaticness가 가장 크고, Blackness가 중간양인 색채들로 분포돼 있었다. 마지막 역동적이면서 칙칙한 색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Yellow는 다른 색상에 비해 같은 Grayness양으로 색채 감성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Yellow가 가지는 고유의 색 속성 중 Lightness가 다른 색상에 비해 높은 것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색채 감성에 대한 판단의 기준으로서 사용된 적이 없던 Grayness를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평가척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Gray의 가치를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과 Grayness가 색채 감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추후 실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Gray is a Grayness and can be colored in all colors. We define Gray as an achromatic color that generally changes only in brightness, but actual grayness is a property of Gray that can appear in various colors. The perception of Gray in ancient scholars and society was negative, but recently Grayness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colors. Nayatani further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Hering 's basic six - color center axis, claiming Gray is the reference color. Therefore, Gray has started this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people can recognize colors and affect emotions as an essential reference color of all colors. This study adopts the grayness as a variable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color emotion and the easiness of the meaning description and it can be applied from the quantitativ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evaluation value and the grayness and NCS components (Whiteness, Blackness, Chromatic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rediction equation of color sensibility. We also present the color emotion that is represented by Grayness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Grayness's color emotion image scale. The evaluation scale is classified into more specific adjectives, which seem to be related to the grayness in the emotional adjectives tested in the first study, and are more influenced by personal memories or experiences. In the 20th, 30th, and 40th grad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Grayness on the color sensibilit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rayness and the first-order emotional adjective 'Active-Passive' seems to be highly correlated, but overall, Blackness has a greater influence. Second, since the second emotional adjective was selected as a color appropriateness test and a grayness association adjective, it was expected to be more related to the amount of grayness and NCS components (Whiteness, Blackness, Chromaticness) than the first emotional adjective, Of the total of 16 pairs, only 5 pairs. Among them, two pairs of emotional adjective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grayness can be presented as a color sensibility model representing Grayness with 'bright-dull' and 'dynamic-calm'.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gray color and darkness are high grayness and blackness, and colors with the lowest chromaticity. The characteristic of calm and clear color is composed of medium grayness, chromaticness and blackness of the smallest colors, While the dynamic colors were distributed in colors with small grayness, greatest chromaticness, and medium blackness. The last dynamic and grayish color does not exist. Finally, Yellow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ame grayness amount and has a great effect on color emoti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among the inherent color attributes of Yellow, the lightness is higher than other colo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Grayness, which has never been used as a criterion of color emo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can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value of Gray, which has not been noticed in the past, through the impact on the color sensitivity in that it can use as a basis in subsequent practice it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7 A. 색채에 대한 이해 7 1. 색채의 개념 7 2. 색채의 분류 8 3. Gray와 Grayness에 대한 이해 9 B. 색채 감성에 대한 이해 11 1. 색채 감성의 개념 11 2. Gray의 색채 감성 12 C. 심리 물리학적 색채 특성에 대한 이해 13 1. NCS 색체계 원리 13 2. NCS 색체계에서 Grayness의 속성 16 Ⅲ. 연구 설계 및 분석 방법 18 A. 연구 모형 18 B. 연구 대상 및 평가척도 20 1. 1차 감성 형용사에 대한 연구 20 2. 2차 감성 형용사에 대한 연구 21 C. 실험 도구 및 환경 23 D. 분석 도구 및 방법 26 1. 색채 분석 도구 및 방법 26 2. 통계 분석 도구 및 방법 27 Ⅳ. 색채 감성 원인 실험 분석 29 A. 1차 감성 형용사에 대한 실험 결과 29 1. Grayness의 영향을 받는 색채 감성 32 2. Grayness이외의 영향을 받는 색채 감성 37 3. 색채 감성 예측 모델 결과 45 B. 2차 감성 형용사에 대한 실험 결과 47 1. Grayness의 영향을 받는 색채 감성 49 2. Grayness이외의 영향을 받는 색채 감성 58 3. 색채 감성 예측 모델 결과 68 Ⅴ. Grayness가 영향을 미치는 색채 감성 특성 종합 70 A. Grayness의 색채 감성 해석 70 B. Grayness가 대표하는 색채 감성 모델 74 C. 가설에 대한 검증 77 Ⅵ. 결론 및 제언 79 참고문헌 85 부록1. NCS 색삼각형에서의 색 샘플 87 부록2. 1차 감성 형용사 설문지 88 부록3. 색채 감성 형용사 89 부록4. 2차 감성 형용사 설문지 91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0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GRAYNESS가 색채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Grayness on color Emotion-
dc.format.pagevii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