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철옥-
dc.contributor.author강다현-
dc.creator강다현-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34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34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3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38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67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relationship is among the parental abuse & neglect, self-esteem, and somatization symptom during the adolescence, and the basic material for the adolescent and parent counseling would be provided. Under the assumption that 4 variables: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self-esteem, and somatization symptom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e hypothesis that the high abuse and neglect by parents would have a static effect on the somatization symptom and the self-esteem would act as a mediating variable among three variables was set. In order to verify the study hypothesis statistically,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2,061 middle school students not having the missing value for the main variable of study among 2,378 students who were the original samples extracted from the data of Korea Children Youth Panel,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by means of SPSS and Mplus. As a result of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neglect/abuse and the somatization symptom, both neglect and abuse by parents showed a static relationship with the somatization symptom. Also, it was shown that the self-esteem entirely mediated at the route that parental neglect influenced the somatization symptom, and it was shown that the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at the route that parental abuse affected the somatization symptom. To sum up, as verified by a majority of advanced studi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negative nurture method and the somatization symptom(Eunyeong Kim, 2016; Hyeongyun Shin, 2002; Gyesook Jung, 2009),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formation and the parental nurture method(Soyeon Jo, 2014),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and the somatization symptom(Jihye Kim, Jaewoo park, 2001; Misook Lee, Choi Yeong, Jisook Yoo, 2000; Yeongwook Lee, 2015) were confirmed. This study corresponds to the precedent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neglect as an independent variable by dividing from the abuse, and determined the parental nurture attitude such as neglect, negligence, and indifference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omatization symptom. Also, by confirming the self-esteem mediated the parental abuse, neglect and somatization symptom, it was possible to know the role of self-esteem wa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prevent the juvenile somatization symptom.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clients more effectively in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juvenile somatization problem in the education field related to the consultation wi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본 연구는 청소년기 부모의 학대와 방임, 자아존중감, 신체화 증상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 및 부모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학대와 방임, 자아존중감, 신체화 증상 네 변인이 각각 서로 상관을 가진다는 가정하에,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이 세 변인 사이에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에서 추출한 원표본 2,378명 중 연구의 주요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2,06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으며, SPSS와 Mplu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방임, 학대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부모의 방임, 학대 모두 신체화 증상과 정적인 관계성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의 방임이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대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신체화 증상의 정적관계(김은영, 2016; 신현균, 2002; 정계숙, 2009),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형성과 부모의 양육방식의 정적관계(조소연, 2014), 자아존중감과 신체화 증상의 부적관계(김지혜, 박재우, 2001; 이미숙, 최영, 유지숙, 2000; 이영욱, 2015)를 확인함으로서 선행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방임을 하나의 독립된 변수로 학대와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부모가 자녀의 성장에 있어 무관심하거나 소홀, 방치 하는 등의 양육태도 또한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학대와 방임, 신체화 증상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을 이해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자아존중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 부모 상담 및 교육현장에서 청소년의 신체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내담자를 조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및 연구모형 6 Ⅱ. 이론적 배경 7 A. 학대 및 방임 7 B. 신체화 증상 13 C. 자아존중감 18 D. 학대, 방임, 신체화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24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27 C. 연구 모형과 가설 31 D. 자료 분석 방법 32 Ⅳ. 연구결과 33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3 B. 측정모형을 통한 요인타당도 분석 35 C.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40 1. 매개모형 분석 40 2.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 42 Ⅴ. 결론 및 논의 43 A. 연구결과 요약 및 해석 4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6 참고문헌 50 부록 67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7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omatization Symptom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dc.creator.othernameKang, Da Hyun-
dc.format.pagev, 71 p.-
dc.contributor.examiner양수진-
dc.contributor.examiner이지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