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Title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현정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4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hree areas of psychological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 toward smart-phon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eing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Mplus7.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asurement variable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each variables. In order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we presum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ivided it into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Especially,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riticism. On the other h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impact 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correlative effe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 Among them,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ccusations of other people and the weak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s.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path from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o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the more maternal percep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creases and the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is increased.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influence on tendency of smart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provides both an empirical evidence to help understanding of child 's perspective approach method in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of smartphone overuse and basic data of parent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 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인지적 정서조절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통계 프로그램과 Mplus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하였고,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로 나누어서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특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요인 중 인신공격이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나누어 매개 효과를 각각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증가하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스마트폰 과다 사용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서 자녀측면에서의 접근 방법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