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 of undergraduat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Worry and Perceived Control
Authors
현정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이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의 결핍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 사이에서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교 20여 곳의 남녀 대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뒤,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의 관계에서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한 후, 성차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 불안정 성인애착, 걱정, 지각된 통제감의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 불안정 성인애착, 걱정 간에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지각된 통제감은 다른 세 변인들과 모두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잠재변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여자집단은 남자집단보다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 불안정 성인애착, 걱정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남자집단은 여자집단보다 지각된 통제감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 간의 관계를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걱정에서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의 관계에서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지각된 통제감을 거쳐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다섯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의 관계를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집단에서는 불안정 성인애착에서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집단에서는 불안정 성인애착에서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가는 경로와 걱정에서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은 걱정 수준을 높이고, 높은 걱정이 지각된 통제감을 낮춰 결국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집행기능 결핍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 중 환경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이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즉,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이 환경적 요인인 애착에 의한 결과로써 경험되는 부분임을 확인함과 더불어,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이라는 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도 밝혔다. 따라서 어릴 적부터 누적되어온 애착의 영향이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으로 가는 구체적인 경로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차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이 다각적 측면에서 영향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정서, 인지적 문제가 성인기까지 지속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걱정과 지각된 통제감의 이중매개효과를 밝혔다. 성인의 애착유형을 변화시켜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을 완화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임을 고려하였을 때, 이중매개효과는 치료자들에게 실질적인 개입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즉, 비교적 개입의 여지가 있는 심리적 부적응과 통제감에 대한 개입을 통해, 일상적 집행기능 활용 결핍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insecure adult attachment, Executive Function(EF) deficit, worry and perceived control. The study participants(30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6.1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secure adult attachment, EF deficit, worry, while perceived control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three variables. Second, as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test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that every latent variable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EF deficit,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worry than men, and men showed higher level of perceived control over women. Thir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path from worry to EF deficit. Fourt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F defic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dual-mediating effect of worry and perceived control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F deficit was also significant. Fifth, one conducted a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F deficit mediated by worry and perceived control. As a result, me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every path except the path from insecure adult attachment to EF deficit, while wome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every path except the ones from insecure adult attachment to EF deficit, and the one from worry to EF deficit. To summarize the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university students’ insecure adult attachment can increase the level of worry, and such high level of worry can decrease perceived control, leading to EF deficit. Out of the various factors that cause EF deficit, this research confirmed the connecting path from environmental factor and cognitive factor to EF deficit. This confirms that EF deficit is an experienced result of attachment, an environmental factor, along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worry and perceived control, an cognitive factor.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cumulative attachment from young age can specifically affect the passage to EF deficit. Also, by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as well, not only it shows that EF deficit can be affected in various aspects, but also shows that emotional and cognitive problems due to insecure attachment can last to adulthood. Lastly, this research confirms the dual mediating effect in worry and perceived control.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transforming adult attachment style in order to alleviate EF deficit, the dual mediating effect can help therapists plan an actual interventive strategy. In conclusion, one expects EF deficit to be alleviat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approachabl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ense of contr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