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0 Download: 0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Title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mid-old aged wage workers' life satisfaction
Authors
임근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중·고령 근로자는 근면한 노동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빠른 발전에 기여해 왔지만 외환위기 이후 불안정한 고용에 시달리며 자녀와 부모에 대한 이중부양의 부담을 겪고 있다. 게다가 막상 본인 스스로의 노후대비는 부족한 상태로 드러나 전반적인 삶의 질 악화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인을 다차원적으로, 포괄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개인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일자리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원 자료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 2014년 제 5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만 50세 이상 ~ 65세 미만에 해당하는 중·고령자 중 현재 주된 일자리가 임금노동에 해당하는 근로자 330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의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 중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 공적연금 가입여부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가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본 연구대상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임을 시사한다. 둘째, 개인 요인 중 신체적 건강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특히 중·고령의 연령에 해당하므로 신체적 노화에 염려하고 이를 대비하고자 하므로 삶의 만족감에 강력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일자리 요인 중 직무만족과 근로소득의 경우 삶의 만족감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요인을 함께 고려했을 때에는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이들이 현재 임금노동의 형태로 근로하고 있더라도, 일자리 요인 외에 다른 요인들에 의해 더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개인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이 일자리 요인에 비해서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넷째, 기존 연구와는 달리 개인 요인의 성별, 연령, 학력, 우울증 유무, 사회경제적 요인의 종교유무, 사회적 활동모임 참여빈도, 일자리 요인의 고용안정성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로 가족대상 프로그램이 많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의 대상인 중·고령층은 프로그램의 존재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수도권 외의 지역에서도 중·고령 세대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기본적으로 이러한 가족참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탄탄한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중·고령자까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내 접근성이 용이한 기관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시설 위주로 진행되는 현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중·고령자까지 확대해 이들이 지금의 건강수준을 유지하고 신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정기적인 건강검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이는 근로자의 현 건강수준을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근로자와 사업장 간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은퇴 이후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은퇴 후 기초연금을 수령하기까지 몇 년간의 공백기가 생길 뿐더러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포함하더라도 지급액이 많지 않아 소득대체율이 높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점진적으로 소득대체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고, 은퇴 후 노후빈곤에 처하지 않도록 이들의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중·고령자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직무만족, 근로소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이 일자리 참여를 통해 자립적인 사회구성원으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고령의 노동력을 노동시장에서 활성화시키는 데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들의 욕구에 부응해 일자리의 질적인 면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old aged wage workers comprehensively. For this analysis, personal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job factors have been examined in th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The original data used for this analysis was from 2014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sample is composed of 330 wage workers between 50 and 64. To analyze the results,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4.0. The summary of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below.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in the mid-old aged wage workers was reflected in socio-economic factor. In particular,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 and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have a strong influence. Second, the study found out that physical health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mong individual factors, since they are especially of middle and old aged and want to prepare for aging. Third, although it was found that among the job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work inco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no significance was found when the whole factor was considered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y are currently employed in the form of wage labor, they are more susceptible to other factors than job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ke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vive the family-friendly program. The programs are also likely to have wide regional gap, with most of it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ly,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outside Seoul area to improve the family relationships of the mid-old aged. Second, various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mid-old aged should be provided by institutions that have easy access to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workers need support for the regular health examin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ocial safety net since retirement.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increase the rate of income substitution and to strengthen their social safety net to avoid poverty after retirement. Fourth, It is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jobs for the mid-old aged wage worker. In particular, i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and work income and allow workers to engage as a independent member in society.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revitalizing the old aged labor force in the labor market, it will have to step i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ob in a long-term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