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박채리-
dc.creator박채리-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30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3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5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52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6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 이외 세대인 청년층과 중년층이 노인에 대해 갖는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노인이 단지 연령을 이유로 낙인의 대상이 되어 차별받는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노인차별이라는 사회적 문제에 관하여 ‘낙인’ 개념에서 원인을 찾았으며 낙인 대상인 노인이 아니라 낙인 주체인 노인 이외 세대를 연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2017년 3월에 실시한「2017 연령통합 설문조사」의 조사도구 및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8~44세의 청년층 480명과 45~64세의 중년층 374명으로서 총 854명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네 개의 독립변수는 이들이 각각 ‘미디어 노인차별, 지역사회 노인대우, 연령유연성 및 연령다양성’에 대해 갖는 인식이다. 이 변수들이 노인에 대한 낙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나타나는 영향력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과 중년층이 노인에 대해 갖는 낙인은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두 연령집단 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둘째,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모두 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미디어 노인차별과 연령유연성 인식이었다. 미디어 노인차별이 심하다고 느낄수록, 연령유연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낙인을 보였다. 셋째, 청년층에서는 성별과 월 평균소득, 지역사회 노인대우, 중년층에서는 거주지역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낙인 주체의 인구사회학적 요인도 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청년층은 자신이 소속된 지역사회의 노인대우가 나쁘다고 느낄수록 노인에 대해 더 높은 낙인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노인차별이 노인에 대한 낙인을 심화하므로, 노인의 긍정적 측면을 반영하는 프로그램을 늘리거나 기존 프로그램에서 노인의 비중을 늘리면 노인에 대한 낙인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두 연령집단에서 연령유연성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낙인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연령유연성이 실현된 연령통합 사회가 노인 뿐 아니라 모든 연령층에게 긍정적이라는 점을 알리도록 해야 한다. 즉, 연령의 장벽이 철폐되더라도 이것이 노인에 대한 낙인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노력과 인식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청년층이 갖는 노인에 대한 낙인이 지역사회의 노인대우로부터 영향을 받는 점을 고려하여 노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지역사회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형성해나가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young and middle-aged people’s stigma against older adult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e situations in which older adults are stigmatized and discriminated because of their age can be changed. This study finds stigma a cause for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and focuses on the stigmatizing subject, not the stigmatized. For this study, data from ‘2017 Age Integration Survey’ sponsor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collected on March 2017 were used. Subjects of this study are 854 survey participants residing in 15 districts of South Korea. They are 480 young people aged from 18 to 44 and 374 middle-aged people aged from 45 to 64. Four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the subjects' opinion on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in media, how people trea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age flexibility and age divers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ir stigma against older adults and to compare the young with middle-aged people. The results are below. Firstly, both young and middle-aged people have a similarly high level of stigma against older adults. Secondly, Two common variables affecting stigma against older adults in young and middle-aged people are the opinion on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in media and age flexibility. This means that the better they recognize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adults in media and what an age flexible society is like, the stronger stigma against older adults they tend to have. Thirdly, sex,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opinion on how people trea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only for the young people. On the other hand, living district is a significant variable only for the middle-aged people. This implies that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conditions also affect their stigma against older adults. And for the young people, the more they feel that people in their community treat older adults badly, the stronger stigma they tend to have. There are some suggestions drawn from these results. Firstl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showing older characters and focusing on their positive characteristics on TV programs will be effective in lowering stigma against older adults. Secondly, posi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opinion on age flexibility and stigma against older adults in both age groups. Therefore, awareness should be increased about the advantages that age flexibility can brings for every age group. That is, lowered age barrier in the society should not cause stigma against older adults by increasing awareness and improving related policies. Finally, social trust for older adults should be strengthened by making communities more supportive and considerate for older adults, considering the fact that young people's stigma against older adults are affected by how others in the community treat older adul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선행연구 고찰 6 A. 낙인의 정의 및 노인에 대한 낙인 6 1. 낙인의 정의 9 2. 노인에 대한 낙인 9 B. 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1. 미디어 노인차별 인식 11 2. 지역사회 노인대우 인식 13 3. 연령유연성 및 연령다양성 인식 14 4. 인구사회학적 요인 15 C. 연구모형 17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8 B. 측정도구 19 1. 종속변수: 노인에 대한 낙인 19 2. 독립변수 20 3. 통제변수 22 C. 자료분석 22 Ⅳ. 연구 결과 24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B. 주요변수에 대한 연령집단 간 차이 27 C.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28 D. 연령집단별 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 Ⅴ. 결론 및 제언 32 A. 결과 요약 32 B. 제언 34 C. 연구의 한계점 38 참고문헌 39 부록1. 설문지 52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69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연령집단별 비교-
dc.title.translatedFactors Affecting Stigma against Older Adults : Comparison between Two Age Groups-
dc.format.pagevi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