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송은-
dc.creator송은-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2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2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2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21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647-
dc.description.abstract언어발달지연아동은 초기 문해력의 발달이 일반 아동에 비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읽기 장애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호작용기술의 수행 능력이 일반 아동보다 낮아서 또래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면에서 학령전기의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조기 중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러한 어린 아동에게 가정에서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을 통한 중재는 아동이 친숙한 환경에서 부모와 함께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특히 부모와 아동의 함께 책 읽기 활동은 가정에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활동이며, 아동은 성인과 상호작용하면서 대화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나아가 대화를 통해 추론 ∙ 예측과 같은 상위언어기술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함께 책읽기에 대한 부모교육 혹은 교사교육의 효과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하여 중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연구의 목적이 주로 성인-아동의 대화식 책읽기를 통한 상호작용의 개선 혹은 아동으로 하여금 추론과 같은 상위언어기술에 노출되게 하는 것 두 가지로 양분되는 경향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책 읽기 중재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의 언어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첫째, 부모-아동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둘째, 아동을 추론과 같은 상위언어기술에 노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책 읽기를 통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그 중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2;2~6;6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그 부모 13쌍, 일반 아동과 그 부모 9쌍으로, 사전 평가에서는 부모-아동이 책 2권을 함께 읽도록 하여 책 읽기 시간과 대화차례 주고받기 횟수, 부모의 언어적 전략 사용 수, 추론적 발화의 수 및 아동의 발화 수, 평균낱말길이(MLU-w), 이야기 관련 대화개시 횟수에 대한 기초선 측정을 했다. 또한 책을 읽은 후, 연구자가 아동에게 질문하는 방식으로 사실적, 추론적 수준의 이야기 이해력 검사를 실시했다. 사전평가 이후 부모의 책 읽기 태도 개선을 통한 아동과의 상호작용적 측면, 아동의 언어적 측면의 긍정적 변화를 목적으로 주 1회, 매 회기 1시간~1시간 30분, 총 5회에 걸친 부모교육이 실시되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아동과 상호작용적 책 읽기 시작하기, 상호작용 유지하기, 주의집중 전략, 설명하기 전략, 반응유도하기 전략, 반응하기 전략, 아동과 추론적 대화하기, 이야기 문법에 맞는 질문하기로 구성되었다. 매 회기 연구자는 아동과의 시연 영상 및 ppt 자료, 직접 시연을 통해 부모의 이해를 도왔으며, 부모는 그날 배운 전략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책 읽기 활동을 한 후, 일주일 동안 전략일지를 작성하고 그 다음 회기에 연구자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5회의 부모교육이 종료된 후 사전 평가와 동일한 사후 평가를 통해 동일한 변수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졌으며, 분석 과정에서 중재 전후의 집단 별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부모교육 중재의 영향으로 언어발달지연 아동 그룹과 일반아동 그룹의 책 읽기 시간, 분당 대화차례 주고받기(turn-taking) 횟수, 부모의 분당 책 읽기 전략 사용 수, 추론적 발화 수, 아동의 분당 발화 수, 이야기 관련 개시 횟수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사후 검사에서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사실적 수준의 이야기 이해력 검사의 점수가 일반아동의 점수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에게서 평균 낱말길이(MLU-w), 추론적 수준의 이야기 이해력 검사 점수에 대한 중재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첫째, 상호작용적 책 읽기 부모교육이 부모가 책을 읽는 동안의 언어적 전략 사용이나 추론과 같은 상위언어기술을 사용하는데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교육의 효과로 부모와 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나 아동의 발화 수가 증가하는 등 부모-아동의 상호작용에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교육의 효과로 아동의 이야기관련 대화 개시횟수가 증가한 것을 볼 때, 아동이 소극적으로 부모에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행동에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교육 후 언어발달지연 아동 그룹의 사실적 수준의 이야기 이해력 점수가 사후 검사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큰 폭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볼 때, 부모-아동의 변화된 상호작용 및 대화가 아동의 이야기 이해력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작용적 책 읽기 부모교육이 언어발달지연아동과 그 부모의 상호작용 및 아동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된 것을 입증하고 있으며 상호작용적 책 읽기 프로그램을 부모교육을 통한 중재 뿐 아니라 추후 치료실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치료에 직접 활용할 수도 있다는 데에서 임상적 시사점이 있다.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have thought to go through delayed development of linguistic comprehension ability from the early age,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having reading disorder as with growth. In addition, due to their po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compared with those without the disorder, they seem to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sound peer relationship. In this respect, the early intervention is crucial for the preschool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refore intervention through parent-child interaction is being emphasized. Through reading activities with parents, children freely interact with the adult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through which they may be exposed to higher level of linguistic skills such as inferencing and predicting. For this reason, the intervention of parent training through reading activities is being conducted nowadays, however, rather than focusing on two aspects – interaction and high level of linguistic skills - it tends to focus on one aspect only. In Korea, moreover, parent training through reading activities is not widely carried out ye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f parent training through reading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argeting 2;2~6;6 year old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13 couples of the parents and nine children without the disorder and their parents, given two reading books, pre-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counting and measuring the baseline of the number of interactive reading time, alternation of conversation, parents’ linguistic strategy, use of inferred speech, children’s speech and the average length of vocabulary(MLU-w) and lastly initiation of story-related conversation. After reading, the tester asked questions to children to test comprehensibility of literal and inferential contents of knowledge. Five rounds of parent training– once a week, 60~90 minutes of activities of reading, interacting, concentrating, explaining, response-inducing, inferencing, questioning grammar - followed pre-evaluation. Every session, the tester demonstrated herself or showed video reference helping parents’ understanding. Accordingly, parents completed strategy journal every week and received feedback every session from the tester. After the five rounds of coaching program, parent-child interactive reading activity was evaluated in the same form of pre-evaluation. In process of analysis, Two-way mixed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parents trai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 both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hose with not, time consumed for reading, the number of turn-taking per minute, parents’ using reading strategy, inferred speech and the children’s speech per minute and initiating story related conversation have shown to have increased. In post-evaluation, the score of comprehensibility on literal information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ithout disorder. However, for both groups, the effectiveness MLU-w did not increase. As the result of analysis, first, parent training through reading activities is effective in using language strategies and high level of linguistic ability such as inferencing.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ve changed in positive aspect such as alternation of speech and the increase of children’s speech.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ediation of parent training through reading activities has clinical significance on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1. 발화 수 6 2. 상호작용 기술 6 3. 텍스트 외 부모 발화 7 4. 부모의 책 읽기 중재 전략 7 5. 텍스트 외 부모 발화의 추상 정도에 따른 분류 7 II. 이론적 배경 8 A.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부모교육 중재 8 B.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책 읽기 특성 8 C. 책 읽기 상호작용을 통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중재 9 III. 연구방법 12 A. 연구대상 12 B. 연구도구 및 과제 13 1. 부모교육 프로그램 13 2. 사전-사후 검사에 사용될 책의 선정 15 3. 부모교육에 사용될 책의 선정 16 C. 연구절차 17 1. 사전 검사 18 2. 예비 실험 19 3. 부모교육 실시 19 4. 사후 검사 20 D. 자료분석 21 1. 부모의 전략적 발화의 분석 21 2. 아동 발화의 분석 25 3. 부모 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분석 25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26 F. 신뢰도 26 1. 검사자 내 신뢰도 26 2. 검사자 간 신뢰도 27 G. 중재 충실도 27 H. 중재 만족도 28 IV. 연구 결과 30 A. 중재에 따른 집단별 부모아동의 책 읽기 시간 및 분당 대화차례 주고받기 횟수 비교 30 B. 중재에 따른 집단별 부모의 분당 책 읽기 전략 사용 횟수 및 추론적 발화 수 비교 33 C. 중재에 따른 집단별 아동의 분당 발화 수, 이야기 관련 개시횟수, 평균낱말길이(MLU-w)의 비교 36 D. 중재에 따른 집단 간 아동의 이야기 이해력 점수의 변화 40 V. 결론 및 논의 43 A. 결론 및 논의 43 1.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부모-아동 상호작용적 측면의 변화 43 2.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부모의 전략적 발화의 변화 44 3.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아동의 언어적 측면의 변화 4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6 참 고 문 헌 49 부록 1 발화 분석 기준 57 부록 2 상호작용 기술 분석 기준 58 부록 3 사전-사후 검사 책의 친숙도에 대한 설문지 59 부록 4 이야기 이해력 검사지 60 부록 5 부모교육 회기 수업자료 예시 63 부록 6 중재 충실도 평가지 70 부록 7 중재 만족도 조사 71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735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부모교육을 통한 상호작용적 책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발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during storybook reading on utterances and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ir parents.-
dc.format.pagexi, 73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