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규성-
dc.contributor.author인현정-
dc.creator인현정-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26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2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5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5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6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담헌(湛軒) 홍대용의 정치철학과 과학에 대한 그의 생각을 ‘예(禮)’개념을 중심으로 밝히려는 데 있다. 18세기의 담헌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과학’ 개념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인들에게 ‘예’ 는 사람과 자연의 질서를 아우르는 개념이었다. 또한 성리학자들에게 ‘예’는 반드시 일[事]과 더불어 드러나는 가치이자 만물에 내재된 ‘인(仁)’을 드러내는 표현형식으로 기능했다. 홍대용은 혼천의(渾天儀)를 직접 만들 정도로 새로운 물학(物學)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었고, 「주해수용(籌解需用)」이란 산학서를 저술할 정도로 새로운 서학의 정보에도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치철학적 입장에 있어서 그는 『중용(中庸)』의 구절을 전통적 체용관이 아닌 분합의 구도로 해석하여 사물성과 인간성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을 하고 있었다. 여기서 본고는 담헌 철학의 근저에서 다음의 주요한 특징을 발견한다. 하나는 일원론적 세계관이 그의 사유를 관통하고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그 일원론적 철학이 가능케 하는 중요개념에 ‘예(禮)’가 놓여 있다는 점이다. 성리학자들에게 사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격물(格物) 과정은 생명의 원리를 이해하는 실질적인 학습으로 강조되었다. 담헌 역시 이러한 실용적 과정을 중시했다. 그런데 담헌은 ‘예’에 관해 논하는 한 편지에서, 격물로서 천문(天文)이나 산수(算數)를 공부하는 일이 개물성무(開物成務)의 대단(大端)이라고 말하며 ‘예’개념에 대한 확장적 인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인물성동(人物性同)의 전제하에 담헌이 궁구했던 사물의 질서와 구체적 소통 방식이 이른바 18세기 과학의 내용들을 ‘예’ 개념의 틀 안에서 이해했다는 것의 증거라 보고 이 과정을 보이고자 하였다. 근원적으로 하나로 소통할 수밖에 없는 만물은 서로가 표현하고 있는 질서의 형식[禮]들을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해야 할 책임을 갖는다. 물리적 질서를 정밀히 이해하는 방법과 인사에서 마땅히 드러나야 하는 정치적 질서의 표현 방식이 ‘예’가 가지고 있는 보편적 원리이해와 시중(時中)의 지혜 속에서 함께 궁구된다. 담헌의 예는 모든 사물과 사람을 동등하게 잇는 표현양식이자 추구해야 할 기준으로 물학과 정치철학을 매개하고 있었다. 담헌의 철학은 삶과 실천으로부터 유리되지 않았기에 기존 학문들을 수용하는 태도나 새로운 서양 학문을 접근하는 자세에 있어서도 열린 시선과 생도(生道)의 자취를 남기고 있다. 담헌은 자연세계의 질서에 인간의 정감적 가치를 부여해왔던 전통 유가들의 인식을 계승하면서도 서학의 명료한 측정방법들을 수용하여 상(象)과 수(數)의 원리로 접근했던 기존의 물학을 보완·발전시킨다. 예컨대 전통적 달력에 부여되었던 문화적 가치들은 존중되면서 정밀한 측정에 기반을 둔 신력의 합리성은 탐구된다. 기하지학(幾何之學)으로 소개되었던 서양 물리의 효율적 형식은 번다함을 지양했던 예지리(禮之理)와 만나, 일상의 용어가 지녔던 구체적 의미들과 유리되지 않으면서 적절한 변용의 절차를 밟는다. 또한 담헌은 묵자, 장자, 양명의 학문에 대한 폭넓은 사유를 통해 자신이 마주한 정치적 현실에 대해 객관적이고도 조망적인 시선을 도모하고자 했다. 그는 성인(聖人)의 예가 남겼던 가치 경쟁의 의미를 정치적 숙제로 껴안으면서도. 전통적 체용관이 지녔던 상하적 구도의 전 방위적 적용을 경계한다. 사물세계의 질서에 일관했던 인간중심의 관점은 분합의 구도가 보여줬던 수평적 질서를 통해 정리되어, 인성(人性)과 물성(物性), 나아가 토성(土性)이 모두 일원론적 세계관 속에서 각각 존중받고 또한 하나로 만나게 된다. 이 점에서 본 논문은 인물성동론 위에 정초된 담헌식 ‘예’ 개념의 개방적 성취야 말로 18세기의 다양성을 포섭해 나가는 담헌 고유의 새로운 지평이라 보고 그 실질성[實]의 가치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show Hong Dae-Yong’s thoughts about the political problem and the science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Li(禮)’. This concept of Li should be inevitably demanded in the present study by the fact that Hong Dae-Yong didn't have the concept of 'science' we have today. Li(禮) for East Asians has been a concept of order embracing both human beings and nature. And especially Li(禮) for Neo-confucianists was a value-concept which revealed itself necessarily according to circumstances, as well as a form which represented Jen(仁), the inherent nature in everything. Meanwhile, Hong Dae-Young not only designed by himself the Armillary spheres called Honcheonui(渾天儀) using new principles and various techniques from ‘the learning of Wu(物學)’ in the 18th century, but also wrote an arithmetic book named 《Juhaesuyong, 籌解需用》having highly interest in the laws of numbers and things. In addition, as a political philosopher, he claimed the theory of Inmulseongdong(人物性同, The natures of human beings and things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are originally the same.) by interpreting some phrases in 《Zhongyong, 中庸》not only with the traditional structure named substance-function(體用) but also with the structure of dividing-gathering (分合). I find, here, two key characteristics at the root of his philosophy. One is that monism penetrates through his manner of thinking, and the other is that Li(禮) is the pivotal concept making his thoughts monistic. Neo-confucianists emphasized the Learning of Wu(物學) as a way of practical learning on the principles of life. Hong Dae-Yong accentuated also such a practical process. He, however, extraordinary, explained in a letter that the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 involving astronomy and mathematics is a big clue to understand Li(禮) and its accompanying Kaiwuchengwu(開物成務, To accomplish the perfection of the whole completely by opening up the principle and the meaning of everything). Hong Dae-Yong have studied the order of things and the concrete wa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premise the theory of Inmulseongdong. Thus, this thesis try to demonstrate that the contents of the so-called ‘science’ have been figured out in the framework of the concept of Li(禮). Essentially, things that can not but be interlinked with one another have the responsibility to better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forms of order that each represents.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physical order and expressing the political order are studied thoroughly in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principles and wisdom of the propriety. Hong Dae-Yong’s Li(禮) is a vehicl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learning of Wu’ and the political philosophy, as not only a form of expression to connect all things and human beings equally but also a standard to be pursued. He could achieve his own view on the traditional studies and open mind to the new Western Studies thanks to reconciling theory and practice in real life. He complemented and developed the Science of Xiangshuxue(象數易學) adopting the rational methods from Western Science, at the same time continued the Science of Yi-li(義理易學), bestowing human emotional value on the order of the natural world. For example, respecting the values of the traditional calendar, he accepted the way of accurate measurement of the Western Calendar. Without deviating from the concrete meaning of daily expressions, he borrowed a simple form of the Western geometry resembled the uncomplicated principle of Li, and then applied it to the actual mathematics through a proper variation. Above all, as he focu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 without making any border, he could gain objective perspective on the political reality he faced through the wide range of thinking for the study of Mojia(墨子) or Zhuangzi(莊子) to Wang Yang-ming(王陽明). He regarded the competition of values in Li and it meaning as political assignments, but he criticized that the vertical structure named substance-function(體用) applies to all areas. He reconfigured the human-centered view horizontally through the structure of dividing-gathering(分合). And then he insisted that the nature of human beings,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nature of circumstances all can be respected with each other in one nature having monistic view. In this regard, this thesis trie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that Hong Dae-Yong broke through the 18th-century’s predicaments of politics and sciences with the extended concept of Li (禮), and that permits a meaningful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sincere mind(實心) and a new horizon in considering his philosophy as Silhak(實學).-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오늘의 담헌 철학을 위한 문제제기 1 Ⅱ. 본론 : 7 A. 담헌의 정치철학 7 1. 정치사상으로서 인성론(人性論) 7 가. 성리학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8 나. 조선 인물성동이론의 사상적정치적 배경 및 여파 16 2. 담헌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16 가. 중화관과 인물성동이론 16 나. 탕평책과 인물성동이론 26 다. 성인론과 인물성동이론 31 B. 표현의 문제로서 예(禮) 56 1. 성리학의 정치철학적 문제들 56 가.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성인론 57 나. 조망적 사고를 통한 현실비판과 대안적 평등 재고 63 2. 예(禮) 개념의 발전과 변용 65 가. 기(氣)로서의 예 66 나. 리(理)로서의 예 69 (1) 정치적 표현문제, 예 72 (2) 일원론(一元論)의 예 76 다. 예와 정치철학의 새로운 문제들 78 (1) 일원론과 리, 기, 그리고 예 80 (2) 예의 주요한 특성들 83 (3) 담헌의 실(實)과 예(禮) 94 3. 예와 격물(格物) 198 가. 예와 실학 98 나. 담헌의 격물학 103 C. 예와 18세기 과학의 만남 107 1. 격물에서 신(新) 격물학으로 108 가. 개방적 학문관으로부터 108 (1) 신유학의 문제 그리고 묵자와 장자 109 (2) 반주자학의 문제 그리고 예학 118 나. 담헌의 신학문[科學] 수용 130 (1) 시간의 개조, 달력 131 (2) 공간의 변화, 천문학과 서학 138 (3) 기하학의 미제 145 2. 예학의 근대적 변용 164 가. 담헌의 물학 이해로부터 근대적 정치 표현의 문제로 165 나. 18세기 격물학의 실(實)로부터 시간 의식의 새로운 지평으로 173 다. 예의 발전적 이해와 일원론적 과학의 가능성 179 Ⅲ. 결론 : 담헌 철학과 18세기 일원론적 과학이해의 의의 185 참고문헌 190 ABSTRACT 2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924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홍대용의 정치철학과 물학(物學)의 관계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 Dae-Yong’s Political Philosophy and the Learning of ‘Wu’-
dc.format.pagevi, 20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