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의 제시가 성인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의 제시가 성인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rpus Examples on Korean Adult Learners’English Vocabulary Learning and Affective Domain
Authors
고주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is to achiev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vocabulary is seen as the base of language communication. While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has been acknowledged, learners are usually expected to increase their vocabulary knowledge on their own. Furthermore, it is common for Korean EFL learners to mostly acquire vocabulary by memorizing a list of words and meanings. Therefore, developing effective methods to learn vocabulary is necessary.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using corpus to facilitate vocabulary learning. One major benefit of corpus is that it provides teachers and learners with an abundance of authentic language examples. Thus, this study aims to make use of such naturally occurring corpus examples as contexts with rich contextual clues and information on vocabul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us examples on Korean adult learner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nd affective domai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7 adult learners with advanced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The control group learned vocabulary through a traditional method of memorizing vocabulary lists. On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both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and corpus examples at the same time.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learned vocabulary through a contextual approach in which the learners first had to guess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through corpus examples before being presented with the actual definition. After the experiment, two post tests were administerd: one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to assess their acquired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other two weeks later to assess the retention of the vocabulary knowledge. Moreover, survey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nd some learners from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asked for an in-depth interview.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regarding short-term memory. As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post-test scores compared to pre-test scores, it can be said that the three methods were effective in overall vocabulary learn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hen their post-test scores were compared. Also, all three groups showed similar short-term effects on the acquisition of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gards to long-term memory. In terms of overall learning, though each of the three groups showed a considerable long-term ret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the three groups’ long-term retention of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ere shown to be alike. Third, presenting corpus exampl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domains of students. While there were no meaningful changes in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corpus examples with vocabulary meaning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made guesses of the word with the corpus examples beforehand showed meaningful changes regarding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vocabulary learning. Furthermore, when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presented with corpus examples in advanc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regarding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presented with both meanings and corpus example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In addition, both experimental groups responded positively toward learning vocabulary with corpus examples.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ly, corpus examples should be used complementarily with preexisting vocabulary learning. While using word lists is an efficient way of learning vocabulary, the study suggests that corpus examples can lead to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affective domain and can bring about accompanying benefits such as learning words as collocation. Therefore, presenting corpus examples should complement traditional vocabulary learning. Secondly, more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presenting effective and authentic contexts through corpus. As the target words for this study were advanced words, the context of the target words had a tendency of becoming more complex.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should always be kept in mind when selecting corpus examples and there should be adjustments if necessary. Lastly, since vocabulary learning with corpus examples takes time, the use of corpus examples would be more useful for learners who a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in depth. Also, more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developing ways that learners could effectively use corpus examples by themselves. ;세계화가 이루어진 현대 사회에서 영어 교육은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기능의 통합적 발달을 강조한다. 그러나 언어의 기본적인 바탕이 되는 어휘는 주로 학습자 개개인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특히 영어 능숙도가 높아질수록 어휘는 스스로 학습하도록 하며 정기적인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성인 학습자들은 자발적으로 어휘 학습을 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자들이 주로 어휘 목록을 통하여 어휘를 기계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두 가지의 대표적인 어휘 지도법 중 하나인 정의 중심 어휘 지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어휘 지도법은 문맥 중심 어휘 지도로 문맥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어휘의 의미를 추측해보도록 하는 방법이다. 한편,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자연적으로 발생한 실제적 언어(authentic language) 모음인 코퍼스가 영어 교육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코퍼스의 실제적 언어 예문들은 학습자에게 어휘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풍부한 문맥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코퍼스를 교육현장에 활용한 연구보다는 코퍼스 기반 분석 연구가 많으며 대학생 이상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체로 코퍼스를 쓰기나 문법, 유의어, 연어 학습에 활용하였다. 또한 코퍼스를 활용한 외국어 학습은 코퍼스 자료를 먼저 제시하고 이로부터 언어의 사용이나 규칙을 파악하도록 하는 귀납적 방식으로 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퍼스가 제공하는 실제적 예문의 가치에 주목하여 이를 성인 학습자의 개별 어휘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의 제시 유무와 제시 순서의 차이가 성인 학습자의 어휘 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7명의 성인 학습자들을 통제 집단과 두 실험 집단,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6주에 걸쳐 실험을 하였다. 집단마다 총 4차시 이루어진 실험 수업에서 통제 집단에게는 전통적 어휘 목록과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하도록 하였고 실험 집단 A에게는 어휘의 의미와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을 함께 제시하였으며 실험 집단 B에게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을 먼저 제시하여 어휘의 의미를 학습자 스스로 추측해보도록 한 후에 정확한 의미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험 수업은 한 차시 당 약 45분 간 진행되었다. 실험 수업을 모두 마친 후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로부터 2주 후에 지연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각 집단의 단기 및 장기 어휘 학습 효과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비교하여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의 제시가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두 실험 집단에게는 사후 심화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코퍼스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정의적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어휘 목록을 사용한 통제 집단과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을 어휘의 의미와 함께 준 실험 집단 A와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을 먼저 제시하여 추측을 한 후 의미를 제시한 실험 집단 B는 단기적 어휘 학습 효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집단 모두 사전 어휘 평가에 비해 사후 어휘 평가에서 높은 향상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전반적 어휘와 수용적 및 생산적 어휘에 있어 서로 비슷한 사후 어휘 평가 결과를 보여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어휘의 장기 기억에 있어서도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어휘 평가와 지연 어휘 평가를 비교하였을 때 뚜렷한 향상이 있어 각 집단의 어휘 학습 방법이 장기적으로 어휘를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간 지연 어휘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 어휘와 수용적 및 생산적 어휘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 효과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의 제시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전과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코퍼스 활용 문맥을 먼저 제시하여 의미를 추측해보도록 한 후 정확한 의미를 제시한 실험 집단 B에서만 유의마한 변화가 있었다.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A에서는 유의한 태도 변화가 안 나타났고 실험 집단 B는 ‘어휘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어휘학습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또한 집단 간 사후 설문을 비교한 결과 ‘어휘학습에 대한 흥미도’에 있어서 실험 집단 B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어휘학습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실험집단 A와 실험집단 B가 각각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두 실험 집단에게는 사후 심화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코퍼스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정의적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실험 집단 모두 코퍼스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도, 효용도, 향후 이용 의지에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난이도도 대체로 어렵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실험 집단 A는 의미와 함께 코퍼스 문맥을 제시받은 어휘 학습의 장점으로 어휘의 용례를 알 수 있었다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코퍼스 활용 문맥을 먼저 제시받고 추측 후 의미를 나중에 제시받은 실험 집단 B는 어휘가 기억에 더 잘 남는다는 점을 장점으로 많이 꼽았다. 그러나 두 실험 집단 모두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심층 인터뷰에서 실험 참여자들은 코퍼스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단순 암기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려 시험을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을 것 같지만 학습자가 스스로 영어 실력을 높이고 싶거나 영어를 심도 있게 학습하고 싶은 경우 좋을 것 같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을 제시하는 것이 전통적 어휘 학습과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코퍼스 문맥을 제시 하는 것이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수적인 학습 효과들이 있으므로 전통적 어휘 목록과 코퍼스를 활용한 문맥을 함께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코퍼스를 활용하여 진정성이 있으면서도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를 고려한 효과적인 문맥 제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코퍼스는 실제적 언어를 모은 것이므로 진정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학습자가 어려움과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코퍼스를 활용하여 문맥을 선정할 때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코퍼스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은 전통적 어휘 학습 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시험을 위해 학습할 때 보다는 영어 실력을 높이거나 영어를 심도 있게 학습하고자 할 때 더 효용도가 높을 것이다. 또한 시간적 제약이 있는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것 보다 학습자들이 개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어휘 학습 자료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