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 체험연구

Title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 체험연구
Other Titles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n Lived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who were not art majors
Authors
차혜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은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석사학위과정에서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의미와 본질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함으로써,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이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적응을 돕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미술치료 교육과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을 체험의 본질에 대한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를 밟아 탐색함으로써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을 대상으로, 4, 5학기 재학생과 5개월 이내의 수료생 총 10명을 선정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개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회에서 2회의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인터뷰 시간은 60분에서 120분이 소요되었다. 연구하고자 하는 상황과 맥락에서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자료의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참여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분석한 결과, 총 9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 체험연구의 본질적 주제는 <행복했던 미술에 대한 기억으로 정체되어 있는 나의 삶을 벗어나 미술치료에 관심을 갖게 됨>, <잘못 알고 있던 미술치료에 대한 생각이 깨지고 전공생으로의 삶이 새롭게 시작됨>, <내가 모르던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것이 기쁨>, <수업에서의 미술작업을 통해 나의 감정을 마주보게 됨>, <미술치료사로서 내담자를 그대로 이해하고 마주보며 그들을 위해 노력함>, <내담자를 제대로 도와주기 위해서는 우선 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낌>,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을 이해하고 표현하고 싶은 열망이 생김>, <부족함에 연연하지 않고 미술치료 전공생으로서 성장하고 있는 나를 발견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들은 석사학위과정을 통해 자신의 학사전공과 완전히 다른 미술치료를 배우면서 알지 못했던 새로운 배움에 기쁨을 경험한다. 둘째,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은 미술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자신이 배우지 않은 미술 지식에 부족함을 느끼고 그 부족함을 채우기 노력을 한다. 또한 미술치료사로서 표현하는 미술을 배우고 싶은 열망이 생기게 된다. 미술치료에서 미술은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영역이며, 미술치료사로서 미술은 능숙하게 다루고 익숙해져야 하는 부분임을 인식하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내담자를 도와주기 위해서는 자기작업을 통해 자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알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을 하게 된다. 넷째,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은 석사학위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에 대해 잘 아는 것과 더불어, 심리학적 기반과 임상 경험을 고루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고 미술치료 석사학위과정에 진학하고자 하는 이에게 미술치료에 대해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며, 진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만이 아닌, 미술에 대해 혼란스러움을 겪고 있는 모든 초기 석사학위 과정생들에게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해나가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에 대한 의미를 재점검 해보고, 예술로서의 미술, 미술교육으로서의 미술, 미술치료로서의 미술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제언과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인터뷰과정에서 미술 입시 경험이 있는 참여자, 미술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는 참여자 등 미술에 대한 각기 다른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석사학위과정에서의 경험 또한 조금씩 달랐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미술에 익숙하지 않아 미술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미술치료 전공생으로 범위를 좁혀 연구해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전반적인 석사학위과정에 대해 다뤘으나 인터뷰과정에서 미술에 관한 다양한 경험들이 많이 나왔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미술작업에 대한 자기인식, 자기 돌봄 등 미술작업과 관련된 세부적인 경험에 대해 연구해볼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자는 미술학사를 졸업하여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을 직접 체험해 보지 않은 간접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연구자의 선 이해를 판단 중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연구자의 의도와 달리 선 이해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제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experiences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had during the master's course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their meanings and essence, help them adapt themselves to the course of becoming an art therapist,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needed to establish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easily, and give data that could be useful in an art therapy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apply Max van Manen's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t a total of 11 stages, including focusing on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empirical research, reflection on hermeneutical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writing, with the objective of gett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A total of 10 students in a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students in the fourth- and fifth-terms and those having finished the course less than five months before―who were not art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personal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7; one or two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each one lasting 60-120 minute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until data saturation where it was considered that no new data could be obtained, taking the situation and context into account. W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 total of 9 essential themes and 23 sub-themes were extracted. The essential themes for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included 'have got out of my life stagnant with the memory of happy time for art and taken interest in art therapy,' 'have broken wrong ideas about art therapy and started a new life as a major,' 'feel joy in knowing things new to me,' 'encounter with my feelings through art-making in classes,' 'try to be a therapist who understands and faces clients as they are and makes efforts for them,' 'feel the need to understand myself with the aim of helping clients well,' 'have a desire to understand and express art in art therapy,' and 'find myself grow as an art therapy major, instead of clinging to weaknesses.'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tudents taking the mater's course in art therapy, who are not art majors, may feel joy in learning new art therapy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ir undergraduate major through the course. Second,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ma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rt, feel they lack knowledge about art of which they have no learning, and make efforts to make up for the lack. They may have a desire to learn art in pursuit of expression as an art therapist. They may understand that in art therapy, art is an inevitable area with which they need to get familiar as an art therapist. Third, they may feel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knowing themselves through self-work with the aim of helping clients ultimately during the process of becoming an art therapist. Fourth,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may understand the need to have a psychological basis and clinical experiences in addition to full knowledge about art in art therapy through the master's course. These conclusions may make the following contributions to art therapy: Firs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direct experiences to those who are not art majors but want to enter the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and help them choose their career. Second, this study may help all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of the master's course who feel confused in relation to art as well as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during the course of growing to be an art therapist. Third, this study gave chances to check the meanings of art in art therapy again and reconsider art as an art, as art education, and as art therap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However, the interview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had different experiences in art―some took exams in art and others had no experience in art―and that they had somewhat different experiences during the master's cours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a narrower scope of art therapy majors having difficulty with art expression because of unfamiliarity to ar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tir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but found lots of experiences in art through interview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detailed experiences in art-making, which involves self-awareness and self-care in relation to art-making―for art therapy majors who are not art majors. Thir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ndirect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who majored in art as an undergraduate, in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majors who were not art majors. The researcher tried to have no prior understanding; however, the possibility of a prior understanding to have intervened, contrary to the intention, cannot be exclu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