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5 Download: 0

임신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Title
임신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PAT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regnant Women
Authors
강혜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임신 중 느낄 수 있는 우울과, 우울에 주요한 개인 내 변인으로 보고되는 자아존중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신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확인하여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임신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본 그림검사가 임신부들의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 진단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시에 소재하는 4개의 보건소 내 모자-보건실에 방문한 임신부 또는 출산준비교실에 참석한 임신부 105명을 대상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하고 PPAT 그림검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임신부 표본집단을 우울척도 점수가 10점 이상인 임신부를 우울집단, 9점 이하인 임신부를 비우울집단으로 분류하고, 자아존중감 척도점수의 평균을 이용하여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과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독립표본 t-test와 χ2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PPAT 그림검사 반응 특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값이 0.05미만일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부들의 우울 유무에 따른 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중 FEATS(형식척도) 중에서는 ‘색 적절성’, ‘함축된 에너지’, ‘공간’, ‘통합성’, ‘대상과 환경의 세부묘사’, ‘사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Contents Scale(내용척도)에서는 ‘전체 그림에 사용된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임신부들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에서는 FEATS(형식척도) 중 ‘색 적절성’, ‘공간’, ‘논리성’, ‘사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임신부의 우울 유무에 따라 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에는 차이가 있었고, 이는 PPAT 그림검사가 임신부들의 산전 우울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에서는 일부 유의미한 항목이 있었지만 그 수가 적어 PPAT 그림검사에서 나타난 결과만으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되기에는 부족하며, 의미 있는 항목을 중심으로 제한적 이해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PPAT 그림검사 도구를 통해 임신 중 우울을 변별함으로써 우울로 인한 2차적인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고, 임신부들의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심리치료적 개입에 대한 판단의 배경이 되는 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whether PPAT(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can be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regnant women. This study included 105 pregnant women who visited four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who underwent the PPAT assessment. EPDS(Edinburg Postnatal Depression Scale) and SES(Self-esteem Scale) were performed in the pregnant women.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depressed group and non-depressed group and were categorized into high self-esteem group and low self-esteem group according to the score of EPDS and SES, respectively. The FEATS and Contents Scale of the PPAT assessment between the aforementioned groups were compar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for numerical variables and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Data were assess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P-value < 0.05 was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rst, the following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pressed group and non-depressed group: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Integration’. ‘Details of object & environment’, and ‘Person’ on FEATS; ‘The number of colors used in drawing’ on Contents Scale. Second, the following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self-esteem group and low self-esteem group: ‘Color fit’, ‘Space’, ‘Logic’, and ‘Person’ on FEATS on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PAT assessment could be useful for measuring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Meanwhile, a limited application of the PPAT assessment in evaluation of self-esteem level in the same population would be required. Therefore, prevention of secondary problem due to depression can be expected by screening depression during pregnancy using the PPAT assessment. In addition, the PPAT assessment may be used as a basis for making a decision of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for mental health care of pregnant women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