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특성

Title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특성
Other Titles
The Draw-A-Story(DA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of Subway Drivers Experiencing an Accident
Authors
조윤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근무 중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DAS) 반응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AS가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 자아탄력성 수준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 30일부터 11월 4일까지 서울교통공사에 근무하는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를 대상으로 사건충격 척도(IES-R-K) 및 자아탄력성 척도(ERS)와 DAS를 희망자에 한해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6부를 제외하고 총 119부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DAS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은헌정 등(2005)이 제안한 사건충격 척도의 절단점을 사용하여 외상후 스트레스 고위험군과 정상군을 분류하였고, 자아탄력성 척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자아탄력성 상위군과 하위군으로 분류한 후 각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여 DAS 반응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험한 사고 유형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 DAS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고 유형별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고,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DAS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척도의 전체 및 하위 영역 모두를 변수로 하여 Pearson 상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DAS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DAS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극그림 유형별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의 정도와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사상사고를 경험한 집단 보다 다른 유형 집단(차량 고장, 운행 장애, 승객과의 마찰)이 유의미하진 않지만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가 더 높고, 자아탄력성이 낮으며, DAS의 자아상 및 정서내용이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사고 유형에 비해 차량고장을 경험한 집단의 DAS 자아상이 더 부정적이며, 승객과의 마찰을 경험한 집단의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가 더 높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의 자아탄력성 수준은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세 가지 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하위 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도 동일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DAS 자극그림 선택에 따라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중성적 아이’와 ‘면사포를 쓴 여인’을 선택한 응답자의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가 낮고, 자아탄력성이 높았으며,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양이’를 선택한 응답자는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고, 자아탄력성이 낮으며,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이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화산’, ‘공룡’을 선택한 응답자 또한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DAS 반응특성 차이와 상관관계가 어떠 한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DAS가 외상후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 DAS가 지하철 기관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평가하는 투사적 그림검사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더해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기관사들의 심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되어, 지하철 기관사들의 건강한 정신건강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raw-A-Story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status of subway drivers experiencing an accident while on duty and determine if DAS could be applied as an instrument to determine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of subway drivers. For this purpose,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s Scale-Revised (IES-R-K), the Ego-Resilience scale (ERS), and DAS were applied from September 30 to November 4, 2017 to subway drivers in Seoul Metro who had experienced an accident while on duty and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ith the exception of 6 copies with insincere answers, a total of 119 copie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Ver 25.0 program; the breakpoint of IES-R-K suggested by On et al. (2005) was used to determine variation in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by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and divide the respondents into the high-risk and normal groups in terms of posttraumatic stres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the ego-resilience scale was estimated to divide them into the high and low groups in terms of ego-resilience, followed by independent t-test for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variation in the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by accident typ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general scales and all of their sub-areas as variable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and DAS; and independent t-test based on stimulation picture type was performed to determine variation in posttraumatic stress, ego-resilience, and the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DAS stimulation picture selection.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tatus and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among subway drivers experiencing an accident. Second, the groups with other types of accidents (breakdown, operation trouble, conflict with a passenger) showed in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lower levels of ego-resilience, and more negative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than the group with a casualty accident. The group experiencing breakdown showed more negative ego-image in DAS, and the group experiencing conflict with a passeng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than those with other types of accidents. Third, the subway drivers experiencing an accident had the level of ego-resilienc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Fourth,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three scales. The sam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ir sub-areas. Fif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ttraumatic stress, ego-resilience, and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by DAS stimulation picture selection. The respondents choosing a 'neutral child' and a 'woman wearing a wedding veil' showed low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higher levels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Those choosing a 'cat' showed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lower levels of ego-resilience, and negative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Those choosing a 'volcano' and a 'dinosaur' showed negative ego-image and emotions in DAS.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tion in the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of subway drivers and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and confirmed that DA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dicated that DAS can be applied as a projective picture test to evaluate posttraumatic stress and ego-resilience of subway drivers and is expected to help them maintain good mental health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ir psychology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clinical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