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1 Download: 0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환경 교과서의 특성에 관한 비교・분석 연구

Title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환경 교과서의 특성에 관한 비교・분석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textbook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Korea
Authors
우신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석순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사용하는 환경교과서를 살펴보고 환경과학과 기술적 측면에서 교과서가 얼마나 잘 만들어졌는지, 환경교육의 비중만 높아진다면 환경교과서가 그 자체만으로도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 환경에 관련한 교육이 시작된 것은 1963년에 공해방지법이 제정되면서 부터라고 볼 수 있다. 이후, 1980년대 제 4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부터는 초・중・고교 단계별 교육과정에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기 시작 헸다. 현재의 환경 교과서와 비슷한 체계를 갖춘 것은 1992년 제6차 교육과정부터이다. 새로운 6차 교육과정이 개설되면서 환경 과목이 독립적으로 개설되었고, 교과서가 만들어졌다. 이를 기점으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인식되면서 대학에서는 환경관련학과가 설치된 대학이 급증하였고, 환경관련 민간단체도 그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환경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주는 자료이다. 해외의 경우처럼 수업보조 자료나 야외수업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의 여건상 과목의 성격과 적합한 수업환경에 맞춘 수업방법보다는 교과서에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배우는 학생들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도 교과서는 중요한 교구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교과서에 분포되어있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가 모두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 검・인정 환경교과서 중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과서 중에 특히 많이 사용되는 것을 각각 한 종씩 선정하여 참고자료와 사진・삽화, 탐구활동과 평가부분을 중심으로 자료의 배치형태와 수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고자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고자료와 사진・삽화의 경우 중학교의 참고자료의 수가 더 많았다. 이는 중학생의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교과서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탐구활동의 경우 고등학교 교과서에 그 수가 더 많고 탐구와 활동, 조사 등처럼 세분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등학생들의 인지 발달수준이 중학생보다 높고, 문제해결력을 비롯한 과제수행 능력이 높기 때문에 그를 더 발달시키는 부분으로 교과서를 구성한 것으로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평가(문제)영역의 수량을 비교했을 때는 고등학교 교과서의 평가(문제)의 수가 더 많다. 문제풀이 중심의 고등학교 교육의 전형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환경교과서가 교육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인지발달단계에 맞추어 적절하게 만들어져서 환경교육적 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재라고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의 교육이 더욱 발전하여 학교에서 적절한 환경교육활성화에 더욱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 또한 환경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인지적, 정의적으로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교육기회가 많이 생기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textbooks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o find out how well textbooks are made in term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inform that environmental textbook itself is an good educational material. Environmental education began in South Korea in 1963 when the National Pollution Prevention Act was enac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ourth curriculum in the 1980s, environmental contents have begun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Environmental textbooks had a similar curriculum in 1992, beginning with the sixth curriculum. As the new curriculum was introduced, environmental subjects became independent with their own form of textbooks. Since the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in Korea, Environmental textbooks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now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young students. Textbooks are an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s because of the high reliance on textbooks in the context of Korean secondary schools, which do not have many classroom aids or outdoor classrooms as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refore, all the components of textbooks are important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we selected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textbooks amo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rollment environmental textbooks in Korea, and analyzed the arrangement pattern,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data centered on reference materials, photographs, illustrations, inquiry activities and evaluation par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reference materials, and photographs,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and reference materials is higher. It can be seen that the textbook was made considering the stage of cognitiv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in the case of inquiry activities, the number of high school textbooks is more,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subdivided into inquiry, activity, investigation and so on. This is due to that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ability to perform tasks are high. Third,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evaluation (problem) areas, the number of evaluations (problems) in high school textbooks is higher. Problem solving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high school education centered on. Overall, the study indicates that Korean environmental textbooks are good materials that are appropriately tailored to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based on pedagogical the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