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act of secretaries perceived career barrier factor on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Authors
윤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옥
Abstract
최근 경력 환경이 평생직장에서 평생경력 시대로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개인이 조직에 의존해 경력 목표를 이루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경력 방향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경력의 패러다임 변화는 경력성공의 기준도 변화시켰는데, 과거에는 경력성공을 판단할 때 임금이나 승진 등의 객관적 지표에 중점을 두었다면 오늘날에는 성취감, 자부심과 같은 개인의 가치관에 따른 심리적 만족과 경력 기회 등의 주관적 지표에 더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내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경력향상을 방해할 것으로 인식되는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인해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경력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러한 경력장애요인들은 개인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저해할 것이라 예측된다. 한편, 주관적 경력성공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자신의 경력에 있어 주도적이고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따르며 외재적 성공이 아닌 심리적 성공을 중시하는 태도로써 오늘날과 같은 경력 환경에서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직종 중에서 비서직에 초점을 두고 있다. 비서직은 개인차원의 경력관리 필요성이 높은 직종으로 객관적 경력성공 보다 주관적 경력성공의 의미가 크다. 하지만 기존의 비서학 분야에서 진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알아본 연구는 많으나 비서직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경력장애요인과의 관계에 대해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외부의 지원 측면에서 조절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있으나 개인의 자기주도적이며, 가치지향적인 경력태도를 다룬 연구는 저조하다. 이에 비서직 종사자가 개인의 내부 및 외부 환경에서 인식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내·외부에서 비롯한 경력장애를 개인특성장애, 직무특성장애, 상사특성장애, 조직특성장애, 사회특성장애로 분류하여 각 변인들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비서직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조직의 경영성과에 기여하기 위해 비서 개인과 조직 및 사회차원에서의 인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인천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비서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까지 약 2주간 인터넷 설문조사와 대면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수거한 172부의 설문응답지 중에서 연구 자료로 적합하지 않은 7부를 제외하고 총 165부의 설문응답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의 하위변인인 개인특성장애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의 하위변인인 조직특성장애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의 하위변인인 사회특성장애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인 고용가능성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은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사회특성장애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나머지 영향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의 인식수준은 사회특성장애, 조직특성장애, 직무특성장애, 상사특성장애, 개인특성장애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는 고용가능성, 경력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변수는 자기주도성이 가치지향성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비서직 종사자의 특성을 고려해 경력장애요인을 개인특성장애, 직무특성장애, 상사특성장애, 조직특성장애, 사회특성장애로 다각화한 후 비서직 종사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력 장애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 비서직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인식 수준이 높을지라도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키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나, 비서직 종사자 개인의 자기주도적이고 가치지향적인 경력 태도만으로 경력장애가 극복되지 않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따라서 조직과 사회 차원에서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 계발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해준다면, 그들 개인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더불어 조직의 성과 향상은 물론 이것이 여성의 경제 활동을 촉진시켜 사회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With the recent career environment drastically shifting from lifetime job to lifetime career era, it has become difficult for an individual to rely on the organization to achieve his/her career goal. In such new career environment, the ability for an individual to set and manage a certain direction of his/her career is significantly emerging. Such career paradigm shift also changed the success standard of one’s career; from the past standard focusing on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wage and promotion to the present standard increasingly concerning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stressing on the importance of on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such as sense of accomplishment or pride, as well as future career opportunity. However, there is difficulty in accomplishing a career goal as expected because of the various barrier factor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perceived to hinder one’s career improve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such career barrier factors will bring impediment to an individual’s subjective career success. Meanwhile, a ‘protean career attitude’ is drawing attention as a method to improve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s is a must-have career attitude in the present career environment in which the individual has a self-directed attitude in building a career, pursuing one’s own value, and laying emphasis on psychological success rather than on extrinsic success. Among the various occupational categor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cretarial position. The position requires a high need for a personal career management and has more significanc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an in objective career success. However, when investigating the studies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tudies, many have researched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positively affect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with studies that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 factors predicted to negatively affect secretaries’ subjective career success falling short. In addition, a study that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in terms of external support in such relationship exists, but there is little study that deals with self-directed and value-driven career attitude. Hence, the need for a study that analyzes the impact of career barrier factor perceived in the secretar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n his/her subjective career success, as well as the impa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is rai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cretary’s perceived internal/external career barrier was categorized into individual characteristic barrier, job characteristic barrier, superior characteristic barrier, organization characteristic barrier, and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making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each variable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s well as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with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its purpose in seeking a method to improve secretaries’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ggesting an implication for a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al aspect of the secretary for the contribution to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ternet survey and face-to-face investigation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to incumbent secretar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 for 2 weeks from October 18 to November 2, 2017. From the collected 172 copies, 165 excluding 7 copies that were inadequate for stud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was utilized with the following study results. Firs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barrier,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secretary’s perceived career barrier facto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ll sub-factor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ch are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Seco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barrier,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secretary’s perceived career barrier facto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the sub-factor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rd, the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which is the sub-factor of the secretary’s perceived career barrier facto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employability—the sub-factor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Fourth, the value-driven of protean career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retary’s perceived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and employability, with no moderating effect showing in the rest of the impact relationship. Fifth, the secretary’s perception level of career barrier factor was shown in the order of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barrier, job characteristic barrier, superior characteristic barrier,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barrier; dependent variabl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employ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Lastly, the control variable of the self-directed initiative was revealed in a higher-orient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unlike the precedent studies, the career barrier factors were diversified in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barrier, job characteristic barrier, superior characteristic barri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barrier, and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considering the secretaries’ characteristics,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factors that have negative impact on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Als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even if the secretary’s protean career attitude perception level is high, their career barrier factor is reveale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negative impact weakening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empirically verifying that an individual’s career barrier is not overcome with self-directed initiative and value-driven career attitude alone. Therefore, if full support for secretary career development is given from the organization and society,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improvement, and with that, the promotion of women’s economic activity all are considered to bring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