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법률비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법률비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 Focused on Legal Secretaries at a Law Firm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경
Abstract
법률시장 개방과 더불어 매년 배출되는 변호사 수의 증가로 인하여 로펌들은 규모를 확장하고 있으며, 로펌이 대형화, 전문화 됨에 따라 지원 인력에 대한 수요도 많아 지고 있다. 법률비서도 조직의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조직 구성원으로서 개인의 역량 향상과 경력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승진의 기회가 줄어들고 조직 구성원들간의 경쟁도 치열해 짐에 따라 경력정체현상이 증가하고 있다(박병길, 2001). 조직에서 경력정체 지각은 직무불만족이나 직무에 대한 동기부여 감소를 야기하며 직무성과를 낮추고(Feldman & Weitz, 1988), 구성원의 조직몰입 등 조직태도뿐만 아니라 이직의도 등 경력태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개인과 조직 모두 중요한 문제로 볼 수 있다(박근수, 유태용, 2005). 법률비서의 경력정체 지각도 로펌이 추구하는 조직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들간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법률비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률비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법률비서의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10월 17일부터 11월 10일까지 A로펌에 재직중인 법률비서 120명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하여 연구에 대해 안내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거나 인터넷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21.0(Ver.)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률비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법률비서의 구조적 경력정체는 조직효과성의 하위 요소인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비서의 내용적 경력정체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원은 법률비서의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을 조직, 상사, 동료 지원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조직지원은 조절효과가 없고, 상사와 동료 지원은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법률비서의 경력정체에 대한 초기 연구라는 점이다. 경력정체는 비서학 분야에서는 아직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변수인데, 본 연구를 통하여 법률비서의 경력정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부정적 결과를 제거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조절변인에 관한 근거를 마련 할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중 특히 동료지원이 조직지원이나 상사지원보다 가설이 많이 채택 되면서 이러한 측면에서 법률비서의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동료지원의 조절효과 근거를 도출한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법률비서들도 다른 직업군의 종사자처럼 경력정체를 경험하고 있고 이들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넷째, 법률비서의 동료지원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조직차원에서 동료지원을 활용하여 법률비서의 경력정체를 해소하고,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로펌의 체계적인 관리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로펌에 재직중인 법률비서 120명을 대상으로 표본 수를 확보하여 진행한 연구로 연구 결과를 전체 모든 법률비서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지원 중 어떠한 부분이 법률비서의 경력정체를 완화시키고 조직효과성을 높여 주는지와 경력정체의 선행요인은 무엇인지에 관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Law firms are expanding their scale and becoming increasingly larger and specialized every year due to legal service market liberalization and the growing number of legal professionals. For the organizational changes, legal secretaries are focusing on improving their ability and developing their career as an organization member. The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law firms emphasize seri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o achieve this study goal,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es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earch question 2: Does social suppor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7th to November 10th to 120 legal secretaries currently working at a law firm. The data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with SPSS 21.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had significant influenc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artially. Specifically, legal secretary’s structural career plateau did no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Legal secretary’s content career plateau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art. There is no significant indication on organizational support. However, supervisory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were partially moderated between the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the basic study of the legal background of a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Career plateau is a variable that is not yet addressed in the secretarial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can lead to a fundamental study of the various moderating variables that can be found to resolve the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and eliminate or mitigate negative consequences. Second, particularly among social support effects, coworker support is more likely to affec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organizational and supervisory support in this study. In this regard, it is a significant study in regard to the fact that a coworker supports the role of practic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experience of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nega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it is necessary for management and efforts of law firms to manage the legal secretary's career plateau that can eliminate negative effects and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though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because the data is from the limited respondents who work for a specific law firm. In addition, further follow-up studies have to confirm whether or not other variables will mitigate the career plateau of the legal secretary and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