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라반의 공간 개념을 통한 비디오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연구

Title
라반의 공간 개념을 통한 비디오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deo-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 by space concept of Laban : Focused on
Authors
양윤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본 연구는 비디오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video 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 작품의 스크린이라는 시각적 요소, 사운드의 청각적 요소와 같은 감각적 요소들이 어떠한 레이아웃으로 작품의 물리적 공간 안에 구성되어 있는지 논의한다. 또한, 그 요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작용 하는지, 이 상호작용 안에서 관객은 어떠한 움직임을 통해 하나의 구성 장치로 존재하는지 공간 개념을 통해 고찰한다. 이는 비디오 작품으로서 서사적인 영상의 내용에 초점을 둔 연구가 아니라, 전시 공간 내에서 관객들이 작품을 감각할 수 있는 표면적인 요소들, 즉, 주관적일 수 있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각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분석으로 작품에 대한 새로운 시선으로써의 관찰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먼저, 비디오 아트를 포함한 비디오 설치 작업의 역사의 전반적 흐름을 살핀다. 단순히 하나의 스크린으로 비디오 영상을 보여주는 영화에가까운 비디오 아트 작업은 1960년대부터 점차 다양한 형식의 설치 작업으로 나타났다. 비디오 설치의 방식으로, 멀티 스크린의 사용과 스크린의 배치 방식, 거울과 폐쇄회로 TV의 사용 등이 흔해지면서 비디오 설치 작업은 점점 개념적인 설치미술에 가까워져 갔다. 이러한 비디오 설치 작업은 스크린을 포함한 다양한 구성장치들을 사용하여, 평면적인 스크린 앞에 서서 비디오 감상만 하는 수동적인 관객이 아닌 능동적인 관객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최근에는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이 성행하면서 관객은 작품을 더욱 능동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러한 작품에서 관객과 작품의 상호작용은 작품 공간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었다.더불어, 비디오 기반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도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비디오 설치 작품의 공간적 맥락은 점차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인터랙티브 설치 작업의 작품 설계에 있어서 인간의 감각과 움직임이 비디오 설치 작품에 비해 더욱 중요한 디자인적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무용이론가 라반의 움직임 이론과 공간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라반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인터랙티브 아트 분야의 선행연구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비디오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의 감각적 공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라반의 움직임 이론의 공간 개념을 다시 정의한다. 본 논문에는 기존에 전시된 본인의 비디오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를 소개하고,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본 감각적 공간과 라반의 움직임 이론의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작품의 공간을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이를 토대로, 설치 작품 공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더욱 밀도있는 작품을 기획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이론에서 공간에 대한 개념 중 아직 응용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세부적인 개념을 택하여, 이를 통해 비디오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의 공간 개념에 적용한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본다면, 본 논문은 다학제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This study discusses how visual elements such as the screen of a video-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 work and the auditory elements of sound are arranged in the physical space of the work in any layout. It also explores how the elem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in which the audiences are present as a constituent element through their movements. This is not a study focusing on the narrative content as a video work, but rather a study of the surface factors which audiences can perceive by coming across the work in the exhibition space, that is to say the analysis when it comes to things, subjective and invisible but perceptible. This is an observation as a new perspective on the work. For this analysis, the paper first look at the overall historical flow of the video installation work, including video art. Video art work close to the movie, which simply shows video images on one screen, has gradually appeared in various forms of installation since the 1960s. With video installation, the use of multi-screens, the layout of screens, and the use of mirrors and closed-circuit TV have become common, and video installations have become increasingly conceptual installation art. This video installation uses a variety of components, including screens, to induce the audience in front of a flat screen to become an active audience, rather than a passive audience for video. In recent years, interactive art works have become popular, and the audience has accepted them in a more active manner. In this work, the interaction of the audience with the work becam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work space. In addition, video-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s have appeared. As a result, the spatial context of video installation works is gradually expanded. In the work design of the interactive installation work, human sense and movement are more important design element than the video installation work.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sider a dance theorist, Laban's movement theory and space concept, and examine previous researches on interactive art based on Laban's theory. This redefines the space concept of Laban's movement theory to discuss the sensory space of a video-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author’s video-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 , and reinterprets the space of the installation work in a new perspective, based on the sensory space and the space concept of Laban's movement theory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On the basis of all reinterpret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pace of the work more specifically and suggests ways to plan more elaborate work. This study selects the detailed concepts which has not been applied yet a lot on the previous researches among the concept of space in Laban's movement theory, and then applies them to the space concept of the video-based interactive install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has significance as a multidisciplinary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