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유산가 · 제비가 · 소춘향가 · 십장가 창법 연구

Title
유산가 · 제비가 · 소춘향가 · 십장가 창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inging methods on , , and : Based on the musical aspects of Gaedong Yoo, Soontae Kim, and Bichoe An
Authors
강효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Gyeonggi 12-japga had been passed down primarily as a male singer focused environment but after it was selec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rt, its public awareness shifted to being a voice of the female. Moreover, the emphasis of the research on 12-japga has been around a particular piece of music to show its musical aspects or comparison between singers, so differences and changes in musical aspects have not been discussed. Therefore for these reasons above, the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individual singer’s japga by comparing their melodies and singing methods from four of japga songs , , , and . Firstly, the second chapter analyz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yeonggi 12-japga and examined its heritage after being selec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rt. And the emphasis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heritage between Gyeonggi 12-japga and Seonsori-taryeong (Folk tune). It was identified that one particular singer influenced the heritage of various genres including Gyeonggi 12-japga and Seonsori-taryeong, not because their heritages were outright different. On another note, contents and musical structures of the Gyeonggi 12-japga were summarized, and concepts and contents of various aspects of breathing/posture, vocalization/pronunciation, vibrato and etc. were examined and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nalysis. The third chapt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melodies of , , and .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from analyzing each singers’ melodies: Gaedong Yoo’s embellishment notes were simple method of adding one or two notes according to , and showed the aspects of how he embellished note A with B. was identified to end with one single note, but was often ended with a conclusion of notes A to C to A. Soontae Kim’s usage of embellishment notes showed how he often used note B and Bb. In note B was used to embellish A as well as an individual note, but it was analyzed that Soontae Kim lowered the note C to B which is a half step down because Bichoe An was using the note C at the point where Soontae Kim was using B as an individual note. Also in , Bb was not only used as an embellishment note for A but also as an individual note. The usage of Bb was same as so it is supposed that Soontae Kim lowered C to B which is a half step down. Especially in , Soontae Kim used F as Bb. Therefore lowering C to Bb and raising E to F can be observed as characteristics of Soontae Kim’s melodies. Bichoe An’s frequent use of embellishment and addition of notes were noticeably higher compared to Gaedong Yoo and Soontae Kim. Bichoe An showed characteristics of subsequently lowering and raising dynamics by adding embellishment notes in various ways. Especially it was often shown how he added the note C to embellish A. In his characteristic of gradually ending the song by adding embellishment notes was shown, and showed how he gradually inclined from A to C or declining from C to A. Bichoe An’s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melodies around the main melody and frequent declination and inclination were interpreted to b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of Gyeonggi. The fourth chapter compared singing methods by each songs from , , , and , and draw conclusion on aspects of their singing methods. Firstly, by comparing singing methods from each songs, it was identified that each singers used different singing methods even for the same song. in Gaedong Yoo used natural vibrato while Bichoe An often used throat vibrato on a single note, and in Gaedong Yoo used curved neck while Bichoe An often used throat vibrato on a single note. In Soontae Kim used straight neck while Bichoe An often used slipping neck, and in Soontae Kim used slipping neck while Bichoe An often used straight neck. By examining sing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gi 12-japga from the followings above, throat vibrato was indicated to be used often as the characteristic singing method used in various ways, and wrapping, dropping, and straight neck were shown to be frequently used singing methods. Gaedong Yoo showed how he used single throat vibrato and natural vibrato to express a delicate yet strong feeling, Soontae Kim frequently used wrapping, slipping, and straight neck, and Bichoe An’s various usage of throat vibrat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inging methods. As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musical aspects of japga on Gaedong Yoo, Soontae Kim, and Bichoe An, we were able to identify how the 'Voice of males’ from observing Gaedong Yoo and Soontae Kim, and ‘Voice of females’ from observing Bichoe An contrasts. Female japga appears to be more subtle compared to the male japga, which supposedly contributed to the overall tempo of japga. After the designation of Gyeonggi folk tunes int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rt, not only the heritage of japga shifted from males to females but also the process of heritage became more professional and standardized. Therefore it was a crucial process to compare the Gyeonggi 12-japga passed down by males and the current Gyeonggi 12-japga passing down by females to understand the diachronic changes of Gyeonggi 12-japga. From examining the prerequisite materials from the start of the study,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not enough sheet music materials of Gaedong Yoo and Soontae Kim, and so we realized how precious and valuable the music materials of Bichoe An are,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und of Gyeonggi as a holder of the Gyeonggi folk tunes. Therefore out of all the possible outcomes of this study, we hope the sheet music materials of the three famous singer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oundation and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as the successor of Bichoe An we hope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Gyeonggi 12-japga but also hope to be used for preservation, heritage, and other meaningful things.;경기12잡가는 남성 가창자 주도로 전승되던 환경에서 20세기 후반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여성 중심의 소리라는 인식이 확대되었다. 게다가 12잡가에 대한 연구가 특정 악곡을 중심으로 음악적 특징을 밝히거나 가창자 간의 선율 비교 연구가 주로 진행되면서 음악적 차이나 변화양상은 거의 논의되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12잡가 중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 4곡을 중심으로 선율과 창법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가창자에 따라 잡가가 갖는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경기12잡가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파악하고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전승 계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중요하게 다루고자 하는 것으로서 경기12잡가와 선소리산타령 전승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경기12잡가와 선소리산타령은 본래 그 전승의 주체가 구분되었던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창자가 경기12잡가와 선소리산타령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각 장르의 전승에 기여하였던 정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경기12잡가의 내용과 음악적 구조를 개괄하고, 호흡과 자세, 발성 및 발음, 시김새 등 창법에 속하는 다양한 요소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여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3장에서는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의 선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가창자별로 선율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드러났다. 유개동은 꾸밈음 사용에서 <제비가>의 경우 한 두 음을 추가하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였으며, <소춘향가>의 경우 b음으로 a음을 꾸며주는 양상이 보였다. 사설 끝 처리에서는 <제비가>의 경우 한 음으로 끝내는 양상을 보였으나, <소춘향가>에서는 a→c′→a로 마디의 끝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순태는 꾸밈음 사용에서 b음 혹은 b♭음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유산가>에서는 b음이 a음을 꾸며주는 역할과 더불어 독립음으로도 쓰였는데, b음을 독립음으로 사용하는 지점에서 안비취가 c′음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김순태가 c′음을 반음 낮은 b음으로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십장가>에서는 b♭음이 a음을 꾸며주는 역할과 더불어 독립음으로 쓰였다. b♭음의 활용 양상은 <유산가>와 동일하였기 때문에 김순태가 c′음을 반음 낮은 b음으로 처리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김순태는 <십장가>에서 f음도 b♭음처럼 활용하고 있었다. 이로 보건대 c′음은 b♭음으로 낮춰 부르고 e음은 f음으로 높여 부르는 점은 김순태의 선율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안비취는 유개동과 김순태에 비해 음을 추가하거나 꾸밈음을 사용하는 빈도가 현저하게 높았다. 꾸밈음 사용에서 안비취는 다양하게 꾸밈음을 추가하여 순차 상행하거나 하행하는 선율선을 도드라지게 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c′음을 추가하여 a음을 꾸며주는 양상이 자주 나타났다. 사설 끝 처리에서는 <제비가>의 경우 꾸밈음을 추가하여 하행하는 특징을 보였고, <소춘향가>에서는 a→c′로 상행하거나 c′→a로 하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주요 구성음 위주로 선율을 구사하고 순차 상‧하행 선율이 많은 안비취의 특징은 경기음악어법의 특징이라고 해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을 악곡별로 창법을 비교하였고, 이를 토대로 창법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먼저 악곡별로 창법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동일한 악곡임에도 가창자마다 사용하는 창법의 종류와 빈도수에 차이를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비가>에서 유개동은 자연요성을, 안비취는 제음에서 떠는목을 가장 자주 사용하였고, <소춘향가>에서 유개동은 곡선목을, 안비취는 제음에서 떠는목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유산가>에서 김순태는 뻗는목을, 안비취는 걸치는목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십장가>에서 김순태는 걸치는목을, 안비취는 뻗는목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다. 다음으로 경기12잡가의 창법 유형과 특징을 검토한 결과 떠는목이 다양한 종류로 빈번하게 쓰이면서 특징적인 창법임을 확인하였고, 감는목과 놓는목, 뻗는목 등이 주로 쓰이는 창법임을 알 수 있었다. 유개동은 1회 떠는목과 자연요성으로 섬세하면서도 힘 있게 느껴지는 분위기를 표현하였고, 김순태는 감는목과 걸치는목, 뻗는목 등을 자주 활용하였으며, 안비취는 떠는목을 다양하게 사용하며 전체적으로 창법을 다양하게 구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유개동, 김순태, 안비취 잡가가 지닌 음악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면서, 유개동과 김순태를 통해 살펴본 ‘남성의 소리’와 안비취를 통해 살펴본 ‘여성의 소리’가 어떻게 대비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의 잡가에는 남성의 잡가에 비하여 조금 더 섬세한 표현이 가미되었고, 이는 잡가의 전체적인 속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경기민요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잡가 전승의 공식적인 주체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환되었을 뿐 아니라, 전승 과정은 보다 전문화되고 정형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을 고려할 때, 문화재 지정 이전에는 주로 남성에 의해 전승되던 경기12잡가와 비교해 현재 경기12잡가 전승을 담당하는 여성의 소리가 어떤 변화를 내포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은 경기12잡가의 통시적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절차 가운데 하나였다. 본고는 연구의 시작 단계에서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한 결과, 유개동과 김순태가 취입한 잡가의 악보 자료가 부족함은 물론이고, 경기민요의 보유자로서 생존 당시 경기소리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안비취의 음원 및 악보 자료 또한 귀중한 것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물 가운데 무엇보다 본고에 수록된 세 명창의 악보 자료가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충하고 보다 진전된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안비취의 계보를 잇는 사람으로서 이 자료가 경기12잡가의 연구 뿐 아니라 보존과 전승, 연행 등 다양한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