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영근-
dc.contributor.author양혜지-
dc.creator양혜지-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1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1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8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83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5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박병오 작곡 <대금협주곡 1번>의 독주대금 선율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 앞서 작곡가의 예술세계와 작품의 악곡 구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독주대금의 단락별 선율진행과 연주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병오 작곡 <대금협주곡 1번>의 독주대금 선율을 단락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락은 관현악만 등장하는 단락이다. 󰍾단락은 독주대금 선율의 도입부로, 중심음은 제6마디의 E♭음에서 제12마디의 C음으로 변화한다. 순차적 선율과 도약적 선율의 대비를 통해 극적인 느낌을 주었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16마디의 F음에서 제20마디의 E♭음, 제22마디의 B♭음으로 변화한다. 제16마디부터 제19마디까지 선율은 유초신지곡 중 상령산 초장 1각 3·4대강 선율을 발전시켰다. 특히, 상령산에서 나타나는 e♭″-a♭″음으로 구성된 겹앞꾸밈음 음형은 제16마디부터 제19마디까지 총 4마디에 걸쳐 변화, 발전되어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리듬형이 여러 차례 변화하면서 선율에 생동감을 주었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35마디의 F음에서 제20마디의 E♭음에서 제44마디의 C음으로 변화한다. 동일한 리듬형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선율을 다른 리듬으로 모방하거나 동형 반복을 하여 선율을 발전시켰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48마디의 B♭음에서 제51마디의 E♭음, 제55마디의 B♭음으로 변화한다. 여러 번의 박자변화와 상행진행을 통한 음역의 확대가 나타났으며, 급박한 도약과 지속음을 사용하여 산조 선율에서 나타나는 긴장과 이완을 표현하였다. 󰎂단락은 이 곡의 Cadenza로, 중심음은 제59마디의 B♭음에서 제61마디의 E♭음, 제66마디의 B♭음, 제71마디의 A♭음, 제75마디의 E♭음으로 변화한다. 독주대금의 다양한 연주법을 사용하여 기교적이고 화려한 선율을 표현하였다. 󰎃단락의 중심음은 F음으로 나타나며, 제83마디부터 제85마디까지는 경풍년 중 변조두거 초장 1각 1대강 선율을 확장하여 발전시킨 형태이다. 󰎃단락에서는 도약적 선율진행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단락의 중심음은 B♭음이다.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 초장 1각 4대강과 2각 1대강 선율을 확장하여 발전시켰으며, 연주자의 긴 호흡을 요구하는 부분이다. 관현악과의 연음형식을 도입함으로써 정해진 템포 안에서 독주대금은 호흡에 의한 연주를 하였다. 󰎅단락의 중심음은 B♭음이며, 동일한 리듬형을 도약진행을 통해 반복적으로 제시하면서 통일감과 안정감이 나타났다. 󰎆단락은 관현악만 등장한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147마디의 B♭음에서 제154마디의 C음, 제166마디의 A♭음으로 변화한다. 󰎇단락에서는 동일한 리듬형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선율을 다른 리듬으로 모방하거나 동형 반복을 하여 선율을 발전시켰다. 둘째, <대금협주곡 1번>에 나타난 연주법을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33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9.09%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0.91%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57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22.81%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77.19%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35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22.86%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77.14%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26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19.23%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80.77%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136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1.47%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8.53%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15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6.67%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3.33%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15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66.67%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33.33%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4회 나타났다. 전통주법 25%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75%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54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1.85%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8.15%로 나타났다. 이상의 9개의 단락에 나타난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의 평균을 계산하면, 전통주법은 11.73%, 특수주법은 88.27%로 특수주법이 특히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가장 많이 출현하는 특수주법은 바람소리 주법을 의미하는 기호④로 총 71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주자들로 하여금 <대금협주곡 1번>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후 대금의 음색확장과 새로운 주법 창출에 있어 본 연구가 하나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aegeum melody in <Daegeum Concerto No. 1> composed by Park Byong O. Preliminary to the analysis, the study explores the composer’s world of art and the structure of the piece of music. The results, having analyzed the Daegeum solo according to its progression of melody by verse and its execution technique, is as followed. Firstly, the analysis of the Daegeum solo melody by verse in Park Byong O’s <Daegeum Concerto No. 1>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Verse 󰍽 is composed of only orchestral instruments. Verse 󰍾 is the introduction to the Daegeum solo melody, its main-note shifting from a E♭ note in the 6th bar to a C note in the 12th bar. The contrast between sequential melody and saltatory melody is used to create a somewhat theatric effect. The main-note in verse 󰍿 shifts from a F note in the 16th bar to a E♭ note in the 20th bar, and then to a B♭ note in the 22nd bar. The melody in the 16th ~ 19th bars of the piece seems to be a development of the melody found in 3·4 daegang, 1 gak, chapter 1 of Sangryeongsan among the Yoochosinjigok. The Double Appoggiatura rhythm pattern found in Sangryeongsan, composed of the notes e♭″-a♭″ , appear in an altered and developed manner over a length of four bars. The rhythm pattern in verse 󰍿 changes numerous times, creating a feeling of movement and vividness. The main-note in verse 󰎀 changes from a F note in the 35th bar to a E♭ note in the 20th bar, and then to a C note in the 44th bar. The verse is characterized by its repetition of the same rhythm pattern, either imitating the same melody using a different rhythm or developing the melody through repetition. The main-note of verse 󰎁 shifts from a B♭ in the 48th bar to a E♭ note in the 51st bar, and then to a B♭ note in the 55th bar. It is possible to find an extension in register through changes in beat and the process of ascension; a sense of tension and relaxation characteristic to the Sanjo melody is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sudden leaps and continuous tone. Verse 󰎂 is the Cadenza of the piece, and its main-note changes from a B♭ note in the 59th bar, a E♭ note in the 61st bar, a B♭ note in the 66th bar, a A♭ note in the 71st bar, and finally to a E♭ note in the 75th bar. Various execution techniques of the Daegeum solo are used to express an artful and elaborate melody. The main-note in verse 󰎃 is the F note, and the melody in the 83rd ~ 85th bars take reflects an expanded and developed form of the melody found in 1 daegang, 1 gak, chapter 1, Byeonjodoogeo from Gyeongpungnyeon. Verse 󰎃 is characterized by its progression of leaping melody. The main-note in verse 󰎄 is a B♭. Its melody is an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melody found in 4 daegang, 1 gak and 1 daegang, 2 gak, chapter 1, of Sangryeongsan from Kwanak Yeongsanhoesang; moreover it is a part whereby long breaths are required of the performing artist. It being the introductory part to the joining of the orchestral instruments, the Daegeum solo executes a performance using the breath within the given tempo. Verse 󰎅 adopts a B♭ note as its main-note, and provides a sense of uniformity and stability by presenting a repetition of the same rhythm pattern in leaping progress. Verse 󰎆 is composed of only orchestral instruments. The main-note in verse 󰎇 shifts from a B♭ note in the 147th bar, a C note in the 154th bar, and a A♭note in the 166th bar. Verse 󰎇 is characteristic for its repetition of the same rhythm pattern, and the melody is developed by imitating the same melody using different rhythms or by triple repetition. Secondly, categorizing the execution techniques into Traditional techniques and Special techniques, and hencefort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ecution techniques found in the <Daegeum Concerto No. 1>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In verse 󰍾 a total of 33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Among these, 9.09%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0.01%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there were 57 occurrences of execution techniques. 22.81%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77.19%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a total of 35 traditional/ special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22.86% of these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77.14%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26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19.233%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80.77%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a total of 136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Merely 1.47%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8.53%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15 traditional/ special techniques were used. Among these, 6.67%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3.33% were special techniques. Likewise in verse 󰎄, 15 execution techniques were used. However, unlike verse 󰎃, 66.7%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33.33% were special techniques. Verse 󰎅 was compose of just 4 execution techniques, 25% being traditional techniques and 75% being special techniques. Lastly, in verse 󰎇 there were 54 execution techniques. 1.85% of these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8.15% were special techniques. In summary, by calculating the average percentages of the execution techniques as found in the above 9 verses, it is possible to find that 11.73%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88.27% were special techniques. Among these, the most frequent special technique was the Wind Tone technique shown by the notation ④, having appeared in a total of 71 instan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assist future performers of the <Daegeum Concerto No. 1>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iece and their execution.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study may be used as a resource contributing towards the actualization of new execution techniques for the Daegeum and the extension of its tone sca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Ⅱ. 본론 5 A. 대금협주곡 1번 작품개관 5 1. 박병오의 예술세계 및 작품해설 5 2. 악곡구조 7 B. 대금협주곡 1번 독주대금 분석 연구 10 1. 선율분석 10 2. 연주법 고찰 33 Ⅲ. 결론 65 참고문헌 68 부록 72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406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박병오 작곡 <대금협주곡 1번>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독주대금 선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study of Park Byong O's <Daegeum Concerto No. 1>-
dc.creator.othernameYang, Hye-Ji-
dc.format.pagevii, 92 p.-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원영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