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곡 의 선율 분석연구

Title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곡 의 선율 분석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lodic Analysis of a Geomungo solo , composed by Ahn, Hyun-Jung
Authors
강정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논문은 2013년 10월 28일 안현정 작곡발표회-만남Ⅹ“原音으로 흐르다”에서 위촉·초연된 거문고 독주곡 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곡은 총 160마디로 이루어진 단악장의 형식의 곡으로 󰆲·󰆳·󰆴·󰆵·󰆶 총 다섯 단락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단락별로 세분화하였다. 선율의 진행 형태 및 리듬의 변화, 거문고 연주기법을 분석했으며 각 단락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락은 제1마디에서 제29마디로 형식은 서주부a-b-b′-b′′-b′′′-c로 세분화하였으며, 4/4박자의 자유롭게 연주하는 부분과 10/8박자와 9/8박자의 혼합 박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빠르기는 ♩=60으로 나타났다. 주제선율이 다섯 마디 단위로 반복·변형되어 나타났고 중심음이 F음에서 B♭음으로 변화하여 선율의 상행진행이 나타났다. 리듬은 오채질굿 장단의 기본 장단을 바탕으로 변형되어 나타났다. 16분음표의 분할된 리듬 사용이 많으며 강박과 엇 박의 교차사용이 나타난다. 연주법은 음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추성과 퇴성이 나타났고 개방현과 싸랭 주법, 트레몰로, 스타카토가 사용되었다. 둘째, 󰆳단락은 제30마디에서 제54마디로 d(제1주제)-d′-e(연결구)-f(제2주제)-f′(제2주제 변형)-g(종결구)로 세분화하였다. 12/8박자이며 빠르기는󰁜=55로 나타났다. 두개의 주제선율이 등장하며 반복·변형되어 나타났다. 제1주제는 C-B♭-A♭-F음으로 하행되어 나타났고 제2주제는 선율이 F-G-B♭-D♭을 거쳐 G음까지 상행형태로 나타났다. 종결구는 제1주제와 반대로 C-D♭-E♭으로 상승하여 C음을 강조하며 느려지는 형태로 나타났다. 리듬은 굿거리장단의 변형형태로 나타났다. 8분음표와 16분음표로 이루어진 선율로 진행되며 리듬이 꾸밈음과 함께 , , 으로 분할되며 나타났다. 연주법은 싸랭의 활용이 더욱 많아졌으며 대점으로 강박을 연주하고 꾸밈음이 전성 같은 효과로 나타났다. 또한, 퇴성과 개방현이 사용되었다. 셋째, 󰆴단락은 제55마디에서 제96마디로 형식은 h-h′-i-h′′-j-j′-j′′-k-i′-h′′′로 세분화하였다. 12/8박자이며 빠르기는 󰁜=100으로 나타났다. 선율은 고음역대와 저음역대가 주고받는 형식이 반복·변형되어 나타났다. 중심음이 F음에서 B♭음으로 변하였고 선율이 A♭에서 G-E♭-D♭까지 하행형태로 나타났다. 리듬은 자진삼채장단으로 빠른 3·3·3·3리듬이 변형형태로 나타났다. 󰆳단락에서 자주 등장했던 꾸밈음은 나타나지 않으며 16분음표의 쓰임 보다는 4분음표와 8분음표의 쓰임이 잦아졌다. 연주법은 개방현과 대점으로 리듬을 강조하며 나타났다. 넷째, 󰆵단락은 제97마디~제131마디로 (l-l′-l′′-l′′′-l′′′′-l′′′′′-m-n)로 세분화하였다. 8/8박자이며 빠르기는 󰁜=35, 󰁜=55, 󰁜=65로 나타났다. 선율이 반복·변형되어 나타났고 D♭-E♭-F-G-A♭음이 상행형태로 나타났다. 중심음이 F음에서 C음으로 변하며 선율의 상행진행이 나타났다. 리듬은 우도 질굿 장단에 포함되는 리듬형태를 가지고 작곡가에 의해 만들어진 3·3·2리듬을 사용하여 점점 빨라지며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연주법은 개방현의 괘상청(上)이 강조되어 진행되었고 추성과 트레몰로가 나타났다. 다섯째, 󰆶단락은 제132마디에서 제160마디로 l′′′′′′-l′′′′′′′-o-o′-p-종지부a′로 세분화하였다. 8/8박자와 4/4박자로 이루어져있으며 빠르기는 󰁜=75로 나타났다. 중심음이 B♭음에서 F음으로 변하였고 반복적으로 F음이 등장하며 선율의 상행이 나타났다. 또한, F음에서 한 옥타브 아래 F음까지 순차적으로 하행하는 형태가 나타났고 이후 개방현의 사용으로 선율의 상승이 나타났다. 리듬은 󰆵단락에 이어서 3·3·2리듬이 진행되며 반복 형태로 나타났고 제144마디부터는 2·3·3리듬으로 변형되어 나타났다. 연주법은 대점과 문현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강조되었고 거문고의 개방현이 2마디 단위로 반복하여 나타났다. 거문고 독주곡 은 전통적인 장단에 거문고 선율을 얹어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율과 리듬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이었고, 거문고 본래의 악기 특성을 잘 나타난 곡이다. 본 논문을 통해 곡의 이해를 돕고 연주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This paper is a study on the which was solo song of Geomungo. And this song was commissioned and presented at the Ahn, Hyun-Jung composition presentation-MeetingⅩ flowing with original sound on October 28, 2013. This song is composed of total 160 bars and consists of 5 short paragraphs 󰆲·󰆳·󰆴·󰆵·󰆶. The changes of rhythm and melody form and technique of the performing were analyzed. The result of each paragraph is as follows. Firstly, paragraph 󰆲, from the 1st bar-to the 29th bar and segmented into a-b-b′-b′′-b′′′-c, consisting of the free tempo of the 4/4 beat and the mixed part of the 10/8 beat and 9/8 beat. The tempo was ♩=60. The main melody was repeated and transformed in five bars, and the center sound changed from F♭to B♭, and the upward motion of the melody appeared. The rhythm was transformed based on the basic rhythm of the Ochaejilgut jangdan. There are many uses of the divided rhythm of the 16-notes, and appeared the cross use of the obsession and Utbak. The performing technique are Chuseong and Toeseung which play a role to naturally connect the sounds, and the open strings, Ssa-lang technique, tremolo and staccato were used. Secondly, paragraph 󰆳, from the 30st bar-to the 54th bar and segmented into d-d′-e-f-f′-g. It was 12/8 beat and tempo was 󰁜=55. Two theme melodies appeared, repeated and transformed. The first theme appeared to upward motion of the melody to the C-B♭-A♭-F, and the second theme appeared the downward motion of the melody from until G through the F-G-B♭-D♭. The ending phrase, in contrast to the first theme, upward to C-D♭-E♭ and emphasized the C tune, resulting in slowing form. The rhythm appeared as a variation of the Gutgeori rhythm. It proceeds with a melody composed of 8-notes and 16-notes, the rhythm was divided into , , with ornaments. The performing technique are used of Ssa-lang wa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obsession with Daejeum and the ornaments effect appeared like Jeonseong. Toeseong and open strings were also used. Thirdly, paragraph 󰆴, from the 55st bar-to the 96th bar and segmented into h-h′-i-h′′-j-j′-j′′-k-i′-h′′′. It was 12/8 beat and tempo was 󰁜=100. In the melody, the form in which the high-pitched and bass are exchanged appeared repeatedly and transformed. The center note changed from F to B♭, and the melody was in the form of downward motion of melody from A♭ to G-E♭-D♭. The rhythm was a Jajinsamchae rhythm, and the fast 3·3·3·3 rhythm was appeared transformed. The ornaments that appeared frequently in the 󰆳paragraph but did not appeared. The use of 4-notes and 8-notes became more frequent than the use of 16-notes. The performing technique appeared to emphasize rhythm as open strings and Daejeum. Fourthly, paragraph 󰆵, from the 97st bar-to the 131th bar and segmented into l-l′-l′′-l′′′-l′′′′-l′′′′′-m-n. It was 8/8 beat and tempo was 󰁜=35, 󰁜=55, 󰁜=65. The melody was repeated and transformed, and appeared the upward motion of melody to D♭-E♭-F-G-A♭. The center note changed form F to C, and upward motion of melody. The rhythm repetitively appeared using the rhythm of Udo-jilgut jangdan, which is the rhythm of 3·3·2 produced by the composer. The performing technique appeared with the open strings of Gwaesangcheong emphasized and Chuseong and tremolo appeared. Fifthly, paragraph 󰆶, from the 132st bar-to the 160th bar and segmented into l′′′′′′-l′′′′′′′-o-o′-p-a′. It consists of 8/8 and 4/4 beats and tempo was󰁜= 75. The center note changed from B to F, repeatedly F appeared, and upward motion of melody. In addition, from the F note to the F down one octave downward, there was a sequential downward form. After this, the used of open strings showed the upward motion of the melody. In the rhythm, the rhythm of 3·3·2 was followed by the repeat of the preceding 󰆵paragraph, from the 144st bar, it was transformed into 2·3·3 rhythm. The performing technique was emphasized by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Daejeum and Moon-hyun, and the open strings of the Geomungo was repetitively appeared in two bar units. The solo song of Geomungo is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nce of the traditional Geomungo rhythm. The changes of the melody and rhythm could observed, and this song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instrument of the Geomungo.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song and perform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