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uthors
강하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탄력성이 매개하는 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292명(남학생 133명, 여학생 159명)이었으며,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김교헌, 전겸구와 이준석(2000)이 제작한 ‘대학생용 대학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탄력성은 Connor와 Davidson(2003)이 제작한 ‘탄력성 척도(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를 백현숙(2010)이 번안한 ‘한국판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2001)가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형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독립변인 t검정, 상관분석, 그리고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하였다. 즉,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낮았으며, 탄력성이 낮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았다. 둘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탄력성은 이러한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즉, 대학생이 당면문제와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탄력성이 낮았으며, 낮은 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의 저하로 이어졌다. 셋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남학생과 여학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탄력성이 부분 매개함을 밝혀, 탄력성이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낮추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탄력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탄력성을 향상시킬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활스트레스 예방과 대처에 관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examined. A total of 292 undergraduate students resided in Seoul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life stress,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when resilience and life stress were considered together to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tress sti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ut its effect decreased. Lastly,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the same for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tress,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ld be used as a source in developing resilience improving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life st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