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건강위험행태 유형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itle
건강위험행태 유형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Health Risk Behavior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Focused on 25 Districts in Seoul
Authors
김혜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개인의 건강수준을 위협하는 건강위험요인은 흡연, 음주, 운동부족, 식습관, 스트레스 등과 같은 건강행태와 사회적 관계, 조직 환경 등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을 포괄한다. 그러므로 건강행태 및 건강생활습관을 확산하기 위한 중재는 건강증진사업의 주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현행 사업은 기초자치단위에서 지역사회의 수요와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건강행태에 대한 우선순위 및 시급성을 판단함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자치구별 건강행태의 수준을 파악하고 유사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요 건강위험행태 요인을 크게 세 가지로 선정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흡연, 고위험음주, 운동부족의 축으로 분류된 기준을 토대로 유형을 형성한 후에 각 유형이 삶의 질에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거주하는 서울시민 23,004명으로, 이차자료를 활용하였다. 건강위험행태를 통한 자치구 유형 분류에는 Fs/QCA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흡연, 고위험음주, 운동부족에 따라 8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25개 자치구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이상의 건강위험요인이 해당되는 복합유형과 한 가지의 건강위험요인이 해당되는 단일유형에 각각 절반 정도의 사례가 포함되었다. 이 중 서울시 전체에 비하여 모든 요인의 건강위험수준이 낮은 유형은 평균 소속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고위험음주 유형은 복합 건강행태유형보다는 단일 유형일 경우 그 영향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운동부족 변수의 영향력이 삶의 질 저하에 높은 영향을 미침에 따라 다른 변수와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는 오히려 그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운동부족은 다른 건강위험행태에 비하여 서울시민들의 삶의 질에 일정 수준 이상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건강위험행태 중 흡연은 전반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분석 결과에서는 흡연으로 인해 삶의 질 지수가 높아지는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흡연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에 비해 높다고 판단되어 분류된 유형일지라도 삶의 질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향이 드러났다. 위의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건강수준을 건강위험행태 측면에서 접근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의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유형 간에 건강위험행태 간 상호작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치구마다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파악함에 있어 개별의 건강문제 혹은 수준을 단편적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요인을 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특정 건강영향요인에 소속되는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자치구별 건강증진사업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이 삶의 질이 가장 높으며, 정책 우선순위를 정할 때 어떤 순서로 중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자치구별로 상이한 건강문제 중재를 함에 어려움이 있다면, 같은 유형에 속한 혹은 유사한 양상을 갖는 자치구 간 협력을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문제에 대한 중재방안 마련을 시도할 수 있으리라 제언하는 바이다. 셋째, 건강위험행태에 대한 유형화 등을 통해 특정 자치구가 어떠한 건강문제가 시급한지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점검하고,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할 건강증진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흡연, 고위험음주, 운동부족, 우울 등과 같은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중재는 다수준적이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토대로 중재가 수행되어야 하며, 건강위험행태 유형을 기반으로 한 중재전략을 세우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판단된다.;Health risk factors that threaten individual health include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drinking, lack of exercise, eating habits, stres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relation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genetic factors. Therefore, an intervention to spread health behavior and lifestyle habits is a major task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ject. The current project is proceed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mand and specificity of the community in the basic autonomous unit,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priority and urgency of various health behavior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health behaviors among self-governing cities in Seoul and to suggest decision making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imilar community residents. In this study, three major health risk behavior factors were selected and typifi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oking, high-risk drinking, and lack of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each type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04 residents of Seoul residents in 25 autonomous regions of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5, using secondary data. The Fs/QCA 3.0 program was used to classify borough type through health risk behavior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8 types according to current smoking, high risk drinking and lack of exercise, and 25 boroughs were distributed evenly. More than half of cases were included in both a single type with one health risk factor and a complex type with more than one health risk factor. Among all of these factors, the average score of the group with the lowest health risk level(Type8) was the highest. Second, high risk drinking type was more significant when it was single type than multiple type health behavior typ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he lack of exercise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lack of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Seoul citizens than other health risk behaviors. Third, smoking among health risk behaviors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s a whole. Som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moking rather leads to a higher quality of life index. In addition, the current smoking rate is higher than the Seoul city average, so even if it is classified, it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dex.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f different types is different by typing the health level of 25 autonomous regions in Seoul in terms of health risk behavior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mong them.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not to judge individual health problems or levels in a fragmentary way but also to grasp several factors in selecting and identifying priority health problems for. Secon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judge the direction of self-government health promotion projects by judging the degree of belonging to specific health influence factors. What type of life quality is highest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what sort of intervention is most effective when setting policy priorities. In addition, I suggest that if there is a difficulty in intervening different health problems in different communities, we can tr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improving high priority health problems through cooperation among the autonomous regions of the same type or similar patter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 decision on the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programs that should be provided to the residents of the community in the first place by considering the complex factors of the urgency of what kind of health problems are urged by specific autonomous regions through typification of health risk behaviors. In addition, interventions for health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high-risk drinking, lack of exercise, and depression should be mediated based on multi-level and complex factors, and it is more effective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the type of health risk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