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9 Download: 0

헌법상 정교분리의 원칙에 관한 연구

Title
헌법상 정교분리의 원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 With a Focus on the Establishment Clause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uthors
오지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희경
Abstract
A constitution is a product of history that reflects the mainstream political ideology of the age, not to mentio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content of constitutions, therefore, cannot but be constrained by the conditions each state was under at the time. As a result, constitutions around the world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even within the same state a constitution takes o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e same time, a constitution reflects not only the uniqueness of the state to which it belongs but also generality and universality in the sense that it is a systemization of basic decisions about values. Though the content enshrined in constitutions may differ from state to state, all countries aspire to the constitutional values of realizing the human dignity and value of every individual.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the Western European countries are so bound up with religious history that the history of human rights are inseparable with the history of the freedom of religion. The freedom of religion is a classic human right with a long history, and a comparison of constitutions across countries reveals that they universally guarantee the freedom of speech and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Meanwhile, the way in which a constitution provid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depends on the history, context, and culture of the state. In Great Britain there is a state religion, but in everyday politics there is tolerance toward other religions. In Germany political and religious groups are separated, which each being guaranteed independence in separate spheres and their interactions controlled by a government-religion agreement where overlap may happen. the Establishment Clause of the U.S. Constitution provides f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us separating politics and religion. There are different methods of providing f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constitutions as well: The French Constitution provides for it in the body or preamble as a foundational principle that regulates the entire constitution. Other constitutions may provide for it as a human right in individual provisions in the body of the constitution. Thus, there are historical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each state recognizes the freedom of religion and separates church and state. These differences are understood as the background fo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he guarantee of the freedom of religion. This study reviews the church-state relationship in Germany, Britain, Franc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Japan, and through that comparis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he neutrality of the state. In countries that provide f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e issue is treated as one of violation of that principle. On the other hand, in countries such as Britain where a state religion exists, the issue becomes one of non-discrimination, that is whether there was a discrimination between the state religion and other religions. The judgment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re reviewed in addition because the Court is prominent as a part of Europe’s collective system of human rights guarantees, and despite the different models of separation in different European member states depending on their societies, cultures, and historical traditions, we must examine how state neutrality and religious plurality are guaranteed in cases where the individual’s freedom of religion is at issue. That is, the practicalities of each state’s principle and legal test of separation must be reviewed in the light of the univers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human rights. The United States, which provides for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its Constitution, has tried through its court system numerous cases where this principle is at issue, and through these cases the courts developed a number of legal test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violation. The Republic of Korea also explicitly provides f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by reviewing the merits and drawbacks of legal tests used in American case law and the solutions proposed by later cases to overcome the drawbacks, the legal tests in Korean cases could be made more specific in concrete situations where the legal test for the violation of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is under discussion. In particular,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ent and legal test for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 U.S. Constitution and elaborated by the U.S. Supreme Court, culminating in the content of the Lemon test and its problems. Though the Lemon test is much criticized it is still current law, and there are alternative approaches such as the endorsement test and the Coercion test that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Lemon. Meanwhile, some U.S. Supreme Court cases that appear to come to different conclusions based on the same facts, but by examining the specific facts we can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such as tradition and neutrality that the Court considers in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cases. By studying the case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and Supreme Cour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ituations where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may become an issue and to spot the legal issues. Although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these courts deal directly with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e must find the legal test for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hurch and state in preparation for potential future cases. Meanwhile, as a preliminary matter to the discussion, there arises the necessity of clarifying standing to bring action for the violation of church-state separati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can only b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individual right to freedom of religion; therefore, it is proper, in light of the goal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for individuals to be allowed to bring constitutional complaints for the violation of church-state separation. Furthermore, if the state, an religious organization, or an individual commits an act violating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directly violates an individual’s rights or freedoms that depend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e individual whose rights were violated should have standing to seek damages for the violation of church-state separation from the state, religious organization, or individual who is allegedly liable. The Korean case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re as follows: Religious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religious organizations; compulsory school assignment and the choice of schools; the religious bias of public officials; and state subsidy of religious architecture. In the future, we can expect in-depth discuss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from the legislative measures to follow from the government’s decision to begin taxing clergy. This study will analyze, through the interpretation by the U.S. Supreme Court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s enshrined in the Establishment Clause of the U.S. Constitution, which state measures violate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is analysis will in turn clarify the content and legal test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ough the Italian Constitution has no explicit provision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s, the Italian Constitutional Court (Corte costituzionale della Repubblica Italiana) has ruled on the issue thusly: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rather than an indifference of the state toward religion, means a state guarantee of the freedom of religion in a system of religious and cultural pluralism.” We should remember these words to remind us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entire discussion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s the guarantee of the religious freedom of individuals. That is, although the discussion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as been treated as political or policy matters and sometimes as social issues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tradition, we must remember that ultimately the issue culminates in not a simple matter of politics, policy, or society, but the substantive guarantee of individual religious freedom.;헌법은 그 시대의 주류적 정치이념과 사회, 경제, 문화적 시대 상황을 반영하는 역사적 산물이기 때문에 헌법의 내용은 각 국가가 처한 시대적 조건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세계 각국의 헌법은 각기 나름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가지고 있고 한 국가에 있어서도 역사적 상황에 따라 ‘헌법’은 다른 모습을 가지게 된다. 그렇다고 하여 헌법은 각국의 독자성, 고유성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가치적 결단을 체계화 한 것이라는 점에서 일반성, 보편성도 또한 동시에 지니고 있다. 특히 서구 각국의 역사는 ‘종교의 역사’라고도 칭할 수 있을 만큼 기본권의 역사 또한 ‘종교의 자유’의 역사와 같이한다. 종교의 자유는 오랜 역사를 갖는 고전적 기본권이며 실제 각국의 헌법전을 비교해도 헌법이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의 원칙을 보장하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영국, 프랑스, 유럽인권재판소, 일본에서의 국가와 종교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교분리의 원칙과 국가의 중립성 개념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국가와 종교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정교분리의 원칙을 규정한 국가에서는 정교분리의 원칙의 위반여부로 다루어지지만, 영국과 같이 국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국교와 비국교간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차별금지의 문제로 정교분리 문제를 다루게 된다. 별도로 유럽인권재판소의 판결을 검토해 보는 이유는 특히 유럽인권재판소는 유럽의 집단적 인권보장시스템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유럽 내의 체약국의 사회, 문화, 역사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정교분리의 모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개인의 ‘종교의 자유’와 문제된 사건에서 ‘국가의 중립’과 ‘종교적 다원주의’를 어떻게 보장받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일본 최고재판소는 정교분리소송에서 ‘행위의 목적이나 효과가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미국 연방대법원의 Lemon 기준의 ‘목적, 효과기준’을 적용하여 헌법적 타당성을 검토해 왔다. 따라서, 이를 검토하는 것은 우리에게도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즉 인권의 보편화 경향과 관련하여 각국에서의 정교분리의 원칙과 기준의 실제적 문제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정교분리의 원칙을 헌법상 규정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실제적으로 정교분리의 원칙 여부가 문제된 판결이 많고, 판결을 통해 정교분리의 원칙의 위반여부를 확인하는 여러 기준들이 만들어졌다. 우리의 경우도 정교분리의 원칙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정교분리의 원칙이 문제된 개별 사안에 있어서 어떤 기준을 적용할 것인지를 논할 때 미국의 선행판결을 통하여 문제되었던 기준의 장, 단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판례의 해결방안 등을 검토함으로써 우리의 기준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미국 헌법상 정교분리의 원칙의 내용과 심사기준, 그리고 연방대법원이 구체화한 정교분리의 내용을 통하여 Lemon 기준의 내용과 그 문제점, 대안적 접근방법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결을 검토함으로써, 정교분리의 원칙이 문제될 수 있는 사안들을 살펴보고, 법적 쟁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록 직접적으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이를 정교분리의 원칙의 위배여부로 다루고 있는 사안은 드물지만, 향후 제기될 수 있는 정교분리 위반 사례에 대응하여 헌법상 정교분리의 원칙 위배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점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논의의 전제로서 정교분리의 원칙 위반을 이유로 한 헌법소원의 청구인 적격과 관련하여 ‘기본권 관련성’을 인정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헌법재판소도 자유권과 제도보장을 구별하고 있으나 ‘기본권이 결부된 제도보장 규범’의 경우에는 헌법소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정교분리의 원칙은 필수적으로 종교의 자유라는 기본권과의 관계에서 검토할 수밖에 없고, 헌법상 정교분리의 원칙을 이유로도 헌법소원을 청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국민의 기본권 보장 측면에서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이와 더불어 국가, 종교단체, 개인이 정교분리의 원칙에 위반하는 행위를 한 것이 정교분리를 전제로 하는 개인의 권리나 자유를 직접 침해한 경우에는 정교분리의 원칙의 위반을 이유로 국가 또는 종교단체 또는 개인에 대하여 손해배상 책임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 동안 국내에서 검토된 정교분리의 원칙과 관련한 사례는 종교단체 설립 교육기관에서의 종교교육, 학교강제배정제와 학교선택권, 공직자의 종교편향, 종교적 건축물 등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문제가 되어 왔고, 최근에는 정부가 종교인에 대한 과세원칙을 인정함으로써 향후 전개될 입법조치에 따른 국가와 종교의 관계설정에 대한 논의가 심도 있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결 속에 나타난 수정헌법 제1조 정교분리조항의 해석을 통하여 국가의 어떤 조치가 정교분리의 원칙에 위반되는가 하는 점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헌법상 정교분리 원칙의 내용과 심사기준을 규명하고자 한다. 끝으로, 정교분리의 원칙의 의의를 다시금 상기하고자 한다. 이탈리아 헌법에는 정교분리에 관한 직접적인 규정이 없지만, 이탈리아 헌법재판소는 정교분리원칙의 의의와 관련하여 ‘정교분리 원칙은 종교에 대한 국가의 무관심이 아닌, 종교적․문화적 다원주의체제 하에서 종교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국가적 보장을 의미한다.’고 판시하였다. 정교분리원칙과 관련한 이 모든 논의의 시작과 끝이 ‘개인의 종교의 자유 보장’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이탈리아 헌법재판소의 판단은 기억될 필요가 있다. 즉 정교분리원칙과 관련한 논의들은 각 국의 상황에 따라서 정치적 혹은 정책적 문제, 때로는 역사와 전통과 관련한 사회적 문제로 다루어져 왔지만, 그 실질에 있어서는 단순한 정치적, 정책적, 사회적 문제가 아닌 ‘개인의 종교의 자유의 실질적 보장’ 문제로 귀결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