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3 Download: 0

재판상 이혼원인에서 파탄주의 도입에 관한 연구

Title
재판상 이혼원인에서 파탄주의 도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No-Fault Divorce Law System to the Judicial Divorce Proceedings
Authors
조경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종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a rational divorce system suitable for a modern diversified society and to propose the introduction of the no-fault divorce law through amendment of provisions on grounds for divorce in Korea, which has been stagnant since the enforcement of Civil Act in 1960. There are two main systems of laws governing grounds for divorce : a fault-based divorce regime and a no-fault divorce regime. A fault-based divorce regime has traditionally stipulated grounds for divorce strictly and tried to protect the marital system and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family by restraining divorc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sanctions against those who violated the marital obliga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by asserting and proving fault on the part of the other spouse, there occurs a problem that couples become hostile to each other, slander the other party, exaggerate mistakes and reveal personal privacy. In addition, even if the marriage is irretrievably broken, if an innocent spouse refuses to divorce, the divorce is not allowed and, as a result, an empty shell marriage is forced by the law.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arising out of a fault-based divorce regime, a no-fault divorce regime has emerged. According to a no-fault divorce regime, grounds for divorce can be defined neutrally as the irretrievably breakdown, thereby this regime will be reducing the moral shame associated with divorce and alleviating the suffering and hostility that the parties might face during the divorce proceedings. Also, by involving no responsibility for the breakdown of marriage when judging whether marital relations are eliminated, it is possible to pursue a more mature divorce without unnecessary quarrels and perjuries which could occur during the divorce process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centrate more on treatment and welfare for the parties or minor children who may be harmed by the divorce. In the Western countries, since the 1960s, the transition from fault-based divorce regime to the legal system based on a no-fault divorce regime has been made in earnest, and Japan is also currently under revision to this direction. This tendency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a no-fault divorce regime is more appropriate and rational in modern society because it redeems the parties and makes it possible to make a new start of life by legally allowing divorce without asking fault or a no-fault if the marriage is irretrievably broken. In the comparative legal review, it is considered that the mature and developed divorce system is a no-fault divorce system which does not argue about grounds for divorce but allows divorce by sepa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us, if the no-fault divorce system will be adopt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hardship clau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innocent spouses and underage children who are in trouble due to divorce.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ivorce law in Korea was suppressing the divor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divorce law was transplanted at the early stag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Civil Act, enacted from 1960s, ever since the divorce system has been defined by the system of dualization of both divorce by consent and judicial divorce in the same way as the divorce law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dual divorce law systems have been operated until now without changing the big frame. The divorce by consent system,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in the past, has the nature of a no-fault divorce regime and allows divorce by the passage of the period of reflection and consideration together with the submission of a consultation regarding the custody and parental rights with regard to minor children, if the divorce agreement of the parties is reached. However, the provision on grounds for divorce for judicial divorce system, which has been practiced almost without revision for 60 years since its enactment, has limitation in a sense that it cannot accept the changed views on family and marriage. Grounds for divorce in Korea are based on a fault-based divorce regime, which cannot be free from the criticism such as it infringes the freedom of divorce,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n this regard, discussio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ward the need to introduce a no-fault divorce regime in law academia, in law practice, and in a section of a society, focusing on the issue of divorce claim by a guilty spouse. Hence, on June 26, 2015, the Supreme Court referred a guilty spouse's divorce claim case to en banc. In this thesis, it is conclud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current provision on grounds for divorce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out of the diversified grounds for divorce and judicial proceedings for divorce. In order to 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a no-fault divorce regime,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examining various theories and analysing tendency of precedent verdict of divorce, divorce statistics and consciousness survey.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heoretical doctrine which allows the introduction of a no-fault divorce regim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precedent verdict of divorce also tends to broaden the range of exceptional approvals of a guilty spouse's divorce claim case. However,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subparagraph 6 of Article 840 of the Civil Act can be interpreted as a basis provision for a no-fault divorce regime and it is possible to approve the claim of divorce by a guilty spouse, only by active modification of the precedent verdict of divorce without amendment of the law itself. But these are unreasonable because there is a dispu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nature and the rationale of the legislative process of subparagraph 6, and it should have provided a system for protection of victims if subparagraph 6 would have been a provision for a no-fault divorce regime. There is a limit to broadening the scope of divorce approval to a divorce claim initiated by a guilty spouse based on subparagraph 6, and the divorce approval to such divorce claim initiated by a guilty spouse based on subparagraph 6 could have resulted in the tremend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victim of divorce. Therefore, the revision of the law on grounds for divorce should be preceded by the introduction of no-fault divorce regime. According to a result of divorce counseling statistics for 60 years in Korea Legal Aid Center for family relations, the existing divorce law based on a fault-based divorce regime has limitation to cover various grounds for divorce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of the divorce counseling cases related to Article 840(6). In addition, in the consciousness survey about the introduction of a no-fault divorce regime, both of the number of responses that current divorce system should be converted into a complete no-fault divorce regime and the number of responses that a fault-based divorce regime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ase by case while taking a no-fault divorce regime as a principle surpassed by exceeding a majority the number of responses that a fault-based divorce regime should be the principle. However, analysis of the cases of clients who were forced to divorce by their guilty spouse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stitutional instrument to support the economically poor spouses and to protect minor children if a no-fault divorce regime is introduced. Therefore, the provision to protect the weak persons should be prepared when a no-fault divorce regime is to be introduced. As mentioned above, by reviewing throughly and considering the existing discussion which insisted on the introduction of a no-fault divorce regime and considering the empirical studies, we have derived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o-fault divorce regime to grounds for divorce and thus, as a direction of amendment of divorce law, we suggest amendments to reduce the emotional resistance of the people by maintaining part of a fault-based divorce regime provisions within grounds for divorce.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grounds for divorce under Article 840 of the Civil Act shall be defined as the provision on a no-fault divorce regime and that of a fault-based divorce regime will be applied incidently. We also propose that divorce shall be permitted with a separation of 6 years, and that provision on harsh clauses and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hould be newly established. It is also suggested that provisions on divorce by consent, which is organically related to judicial divorce, should be revised if provisions on grounds for judicial divorce are amended on the basis of a no-fault divorce regime. In conclusion, the previous discussion is hereby summarized. ;본 연구의 목적은 1960년 민법 시행 이래 정체 상태에 있는 우리나라 재판상 이혼 사유의 개정을 통하여 다양해진 현대 사회에 맞는 합리적인 이혼 제도를 모색하고 그 방안으로 파탄주의 이혼법 도입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혼원인을 규율하는 법제에는 크게 유책주의와 파탄주의가 있다. 유책주의는 전통적으로 이혼에 대한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혼인의무를 위반하는 사람들에 대한 제재를 통해 이혼을 가능한 한 억제시켜 혼인제도와 가정의 안정성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혼 재판과정에서 상대방 배우자의 잘못을 주장하고 이를 증명해야 하므로 부부가 적대관계가 되어 서로 비방하고 잘못을 과장하는 부작용과 개인의 사생활이 폭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혼인이 회복의 가능성이 전혀 없을 정도로 파탄된 경우에도 무책배우자가 이혼을 거부할 경우에는 이혼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형해화된 혼인관계가 법으로 강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파탄주의 이혼법은 유책주의 이혼법의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파탄주의에서는 이혼원인을 회복 불가능한 파탄과 같이 중립적으로 규정함으로써 이혼과 연관된 도덕적 수치감을 줄이고 당사자들이 이혼 재판과정에서 겪게 되는 고통과 적대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혼인 해소 여부의 판단에 책임을 연관 시키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다툼이나 위증 등을 이혼과정에서 배제시키고 이혼으로 피해를 입게 될 수 있는 당사자나 미성년 자녀에 대한 치료와 복리에 더 집중함으로써 보다 성숙한 이혼을 도모할 수 있다. 서구에서는 1960년 대 이후부터 파탄주의 이혼법제로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일본도 현재 개정 작업 중이다. 이러한 경향은 혼인이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파탄되었다면 당사자의 유책・무책을 묻지 않고 이혼을 법적으로 허용함으로써 당사자들을 구제하고 새로운 출발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파탄주의 이혼법제가 현대사회에 더 적합하고 합리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볼 때 성숙하고 발전적인 이혼제도는 이혼원인에 대해 다투지 않고 일정기간의 별거로 이혼을 인정하는 유형의 파탄주의 이혼법이라 생각되며, 파탄주의를 도입할 경우 이혼으로 곤경에 처하게 되는 배우자와 미성년 자녀 보호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혹조항 등의 신설이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의 이혼법은 조선시대에 국가에서 이혼을 억제 해 오던 것에서 일제 강점시기 초기에 일본 이혼법이 이식되었고, 1960년부터 시행된 제정 민법에서는 일제 강점 하에서 시행되었던 이혼법제와 동일하게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으로 이원화하여 이혼제도를 규정한 이래 이러한 이혼법제는 큰 틀의 변화 없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 협의이혼 제도는 그동안 수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당사자의 이혼의사가 합치하면 그 협의를 존중하여 이혼숙려기간 경과와 자녀의 양육사항에 관한 협의서 제출로 이혼이 가능하도록 하여 파탄주의 이혼법의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재판상 이혼제도의 이혼원인 규정은 제정이후 60여 년 동안 거의 개정 없이 운용되고 있어 현대사회의 변화된 가족관과 혼인관을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재판상 이혼원인은 유책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그로 인해 이혼의 자유 침해 문제와 인간의 존엄과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문제를 중심으로 학계와 실무 및 사회 일각에서 파탄주의를 도입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왔고 이에 대법원에서는 2015년 6월 26일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바도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재판상 이혼원인 규정으로는 다양화된 이혼원인과 이혼재판 절차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파탄주의 도입을 모색하기 위해 학설검토, 판례경향 분석, 이혼통계와 의식조사를 통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설에서는 최근 들어 파탄주의 도입에 대해 허용적인 견해가 늘어났고 판례에서도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사건에 대해 예외적 인용 범위를 종래보다 넓히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민법 제840조 제6호를 파탄주의 근거 규정으로 해석하여 법 개정 없이 적극적인 판례의 변경만으로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사건을 허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의견도 있으나 제6호 사유의 법적 성격과 입법경위 등에 관하여는 해석상 다툼이 존재하며, 제6호가 파탄주의 규정이었다면 피해자보호를 위한 제도도 함께 규정하였을 것이므로 이러한 해석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제6호의 문언을 근거로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인용 범위를 넓혀가는 것은 한계가 있고 이혼으로 인한 피해자를 양산할 수 있으므로 파탄주의 이혼법 도입을 중심으로 한 재판상 이혼원인에 관한 법 개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60년 이혼 상담 통계 분석 결과 제840조 제6호에 해당하는 이혼 상담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내용이 다양화됨에 따라 유책주의에 기반 한 현행 이혼법제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탄주의 도입에 대한 의식조사에서 완전한 파탄주의로의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과 파탄주의를 원칙으로 하면서 사안에 따라 유책주의를 적용해야한다는 의견이 과반수를 넘어 유책주의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을 앞섰다. 그러나 유책배우자로부터 이혼을 강요당하는 상담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파탄주의를 도입할 경우 경제적으로 열악한 배우자에 대한 지원과 미성년 자녀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파탄주의 도입 시 약자보호규정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파탄주의 도입을 주장한 기존의 논의 검토와 실증적 연구를 통해 재판상 이혼원인에 파탄주의 도입의 필요성을 도출하였고, 이혼법 개정방향으로 재판상 이혼원인에 유책주의 조항을 일정 부분 존치시켜 국민의 정서적 저항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민법 제840조의 재판상 이혼원인은 파탄조항을 기본으로 하여 유책조항을 병행하여 규정하고 6년간의 별거로 이혼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하며 가혹조항과 신의칙 조항을 신설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재판상 이혼원인 규정이 파탄주의로 개정될 경우 재판상 이혼과 유기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는 협의이혼제도도 함께 개정하여 이혼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도 제안한다. 이어 결론으로 앞에서의 논의를 정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