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reator김지원-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11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1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6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61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544-
dc.description.abstract유아기는 정서와 사회성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 중 하나이다. 유아는 생물학적 요인을 비롯해 자신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유아의 정서ㆍ사회성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는데, 이로 인해 유아는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을 갖게 되거나 학령기에 이르러 정서ㆍ행동장애를 갖게 될 수도 있다. 특히 유아기는 부모를 비롯한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시기이므로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서 가족, 특히 주로 주 양육자가 되는 어머니의 영향은 매우 클 수 있으며,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과정이나 어머니의 양육방식 등에 의해 유아는 정서ㆍ행동에 문제를 갖게 될 수도 있다. 유아의 정서ㆍ행동 문제로 인해 어머니는 자녀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거나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잃고 양육 스트레스를 받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영향들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수도 있다. 정서나 행동상의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의 어머니에게 증거기반실제를 적용한 양육지원이 제공된다면 양육에 있어서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자녀의 정서ㆍ행동 문제가 장애로 이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의 어머니들을 위해 대표적 증거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인 멋진 나날들(Incredible Years®, 이하 IY)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징검다리 긍정적 양육 프로그램(Stepping Stones Triple P, 이하 SSTP)에서 주요 주제를 추출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세부 내용을 구성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방법에 있어서는 증거기반 양육 프로그램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문제해결전략과 개별 코칭을 적용하여 소집단과 개별 지원의 장점을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을 가진 유아의 어머니에게 제공한 후, 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 상호작용 및 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총 4곳에 다니는 만 4-5세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와 어머니 22쌍이다(실험집단 11쌍, 통제집단 11쌍). 프로그램이 실시된 장소는 실험집단 어머니들의 자녀 중 9명이 재원중인 ㄱ 유치원 내 회의실과 실험집단 어머니 한 분이 운영하는 ㅁ 학원 교실이었다. 사전 사후 검사 중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행동 검사(K-MBRS, K-CBRS)는 실험집단 어머니의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재원중인 유아들이 하원한 후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도입, 전개, 마무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주제별로 유아의 문제행동이나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과 관련된 동영상을 함께 본 후 6단계의 문제해결전략을 주요 중재 방식으로 활용하여 동영상에서의 문제 상황을 본인이 갖고 있는 문제에 대입하여 해결책을 찾고 실행해 보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회기가 끝난 후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제공한 개별 코칭을 통하여 자신의 양육을 점검하고 궁금한 점을 해결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자녀에 대한 인식의 변화정도에서 통제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유의한 폭의 개선을 보였다. 하위 영역에서는 “자녀로 인한 양육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양육 효능감의 변화정도에서 통제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유의한 폭의 개선을 보였다. 하위 영역의 경우 “발달지원”, “교육”,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정도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을 유의미하게 개선시켰으며, 모든 하위요인(반응성, 효율성, 지시성 행동)에서도 유의미한 점수의 개선이 나타났다.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 검사(K-MBRS) 사전, 사후 점수 차를 살펴본 결과 모든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유아 상호작용 행동도 유의미하게 개선시켰으며, 모든 하위요인(활동적, 사회적 행동)에서도 유의미한 점수 개선이 나타났다. 유아 상호작용 행동 검사(K-MBRS)에서도 실험집단 모든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은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과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중재 프로그램은 집단 프로그램과 개별 프로그램의 장점을 결합하여 구성되었다는 점, 중재를 통해 기술을 습득하고 새롭게 습득한 기술의 일반화를 도모할 수 있었던 점, 연구 참여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고 정서적 지지를 통해 어머니들의 참여가 촉진된 점,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을 갖고 있는 유아와 그 가족의 정서와 행동, 또한 어머니-자녀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Early Childhood is one of the most critical periods in terms of one’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Children at this ages are influenced by the various environments surrounding themselves, and also by biological factors; all of which affect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s’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Such factors may also negatively influence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may cause encourage potential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r caus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later on in their lives. Early childhood especially is the period in which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with their parents or family members. Therefore, as main care givers, mothers especial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ir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sensibilities. In early childhood, it can be possible to develop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through the mothers’ disciplinary actions or due to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ir mothers. I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mothers may perceive their impact on their families negatively, lose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receive stress from parenting. Thus,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created the content of the parenting support program based on the Incredible Years(IY) parenting program and the Stepping Stones Triple P(SSTP) which are amongst the most representative evidence-based parenting programs. Both Problem solving strategie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many evidence-based parenting programs and an individual coaching method which was used in IN program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ethod in order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both group programs and individual programs. The program which the researcher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Parenting Support Us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arenting support program us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affect mother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impact on their famil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whose children are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2 children and their mothers. Children were aged from 4 to 5 years old making them at risk to developing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study was implemented in two classrooms, one was at ㄱ kindergarten, and the other was at ㅁ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near the day care center where two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y participants’children had attended and one of them managed. Video recordings for K-MBRS and K-CBRS were implemented at ㄱ kindergarten and ㄴ day care center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had attended. Control group participants’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t their own homes. The intervention sessions were group programs which were composed of an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wrap up. Almost every session, the participants saw several video vignettes of the day’s theme, followed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held discussions. The participants could apply their own problems when using the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e participants also had the coaching time with the researcher after finishing each session, either by cell phones or internet; to discuss their learned skills and the outcomes that had occurred at h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impact on their family test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scores and the child’s negative impact domain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However, of the two domains, the child’s positive impact and the child’s impact on the family’s social lif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ere somewha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scores. Second, when comparing parenting efficacy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s efficac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efficacy scores except for the“communication skills” domain. However, in this domain,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scores. Third,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s parenting stress scores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scores), they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th, when comparing pre-test scores to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mother-child interactions test, the experimental group’s post-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pre-test scores. Especially, all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their post-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pre-test scores. This shows that all mothers’and children’s interaction behavior had been enhance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Parenting Support Program Us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is effective in improving mother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impact on their family,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behaviors whose children are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lthough the parenting stress test score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improvement in stress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scor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successfully combined the advantages of both group programs and individual coaching programs, all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re was no attrition, and finally, the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mothers and children who are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A.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와 부모 11 1.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의 특징과 지원 요구 11 2.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를 위한 부모지원 13 B.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 23 1. 문제해결전략을 포함하는 양육지원 프로그램 개관 23 2. 증거기반의 양육지원 프로그램 25 Ⅲ. 연구방법 44 A. 연구 참여자 44 B. 연구 장소 48 C. 연구 기간 49 D. 독립변인: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 50 1. 프로그램 목표 51 2. 프로그램 개발절차 51 3. 프로그램 진행방식 65 E. 종속변인 및 측정도구 66 1.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66 2. 양육 효능감 67 3. 양육 스트레스 68 4.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행동 69 F. 연구 설계 및 절차 71 1. 연구 설계 71 2. 연구 절차 71 G. 관찰자 간 신뢰도 81 H. 중재 충실도 81 I. 사회적 타당도 85 Ⅳ. 연구결과 92 A.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92 B. 양육 효능감 93 C. 양육 스트레스 95 D.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행동 96 1.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96 2.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101 Ⅴ. 논의 및 제언 106 A. 논의 106 1.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106 2.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109 3.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112 4.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114 B. 연구의 제한점 123 C. 제언 124 참고문헌 127 부록 144 ABSTRACT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28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ased on Problem Solving Strategies on Mothers’Perception of Child Impact on their Famil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dc.format.pageviii, 17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