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현아-
dc.contributor.author홍현주-
dc.creator홍현주-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10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1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6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63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537-
dc.description.abstract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은 2007년 107만 여명에서 2016년 204만 여명으로 2배가량 증가하였으며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에게 특히 한국어 능력은 이들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배경에서 정부 각 부처들도 이들에 대한 다양한 한국어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한국어 교육체계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려는 시도이다. 한국어 교육은 이 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사용이 일상생활어인가 여부에 따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orean as a Second language)’ 혹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를 교수·학습하는 활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 자녀 등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특히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두 가지 차원의 시도를 수행했다. 먼저 II장에서는 역사적·제도적 차원에서 우리나라 한국어 교육체계 현황을 시대별, 부처별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정리한 것처럼 우리나라의 한국어 교육은 민간차원에서 발전되기 시작했고, 한국어 수요가 급증한 2000년대 이후부터 정부 각 부처의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져 점차 한국어 교육의 체계와 인프라를 갖추어가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직까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SL)’ 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KFL)’ 간의 교육과정 및 정책방향에 대한 종합적 차원에서의 논의 없이 민간과 정부 그리고 부처와 부처별로 개별적인 정책수행을 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 글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개선점을 제시했다. III장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연구이다. 국내거주 외국인의 한 그룹이면서 정책적으로 한국어 학습의 기회가 가장 많이 제공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등’ 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서 실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의 실제 운용현황에 대한 평가 및 한국어 학습 대상자들에게 도움이 될 구체적 정책 개선 필요사항을 찾아보았다. 잘 알려진 것처럼 2000년대 이후 국내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 등이 급증하면서 여성가족부와 법무부를 중심으로 이들에 대한 집중적 한국어 교육정책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실제 정책대상자인 여성 결혼이민자 등은 이 같은 한국어 프로그램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어 사용능력에 대한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법무부가 사회통합프로그램으로, 그리고 여성가족부가 다문화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등을 주요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제도를 정리하고, 그 참여결과를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다문화가족센터 등에서 한국어 교육을 주로 책임지고 있는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가 면접 조사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 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연구결과 각 장에서의 정리한 문제점들을 다시 종합하여 이 논문이 제시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체계’ 개선을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 교육 및 보급을 위한 국가정책 주무부처의 정체성 및 역할 재구조화와 컨트롤타워의 설립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 등’ 에 대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체계의 개선을 위해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 결과보고서에 성별통계 등을 추가하여 투명하게 공개하고,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센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표준화 및 중복방지를 위한 운영설계, 참여율이 저조해지는 한국어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 등’ 의 한국어교육 참여율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가이드라인의 체계화와, 이들의 변화된 요구에 상응하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재와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 결혼이민자 등’ 에게 실시되는 한국어 교육을 취업과 연계시켜 사회진출을 도모하고, 이들의 역량개발에 힘써 경제적 어려움과 언어문제가 함께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staying in Korea has increased in number, about 2 times from about 1.07 million in 2007 to about 2.04 million in 2016, an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Especially, for foreign residents in Korea, Korean language fluency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ministries of government have also established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them.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attempts to fi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m. For those whose mother tongue is not Kore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epending on whether Korean is used in daily life or not. Therefore, the teaching method nam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hould be adapted to teach foreigners who currently reside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s a second language, and two dimensional methods are applied. In Chapter II, first of all,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eras and the government ministry in terms of both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As summarized in the main tex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as developed at the private level at the beginning, and since 2000,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system and infrastructure of Korean education policy was being prepared gradually along with active involvement of government ministries. However, in spite of that,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hat, without discussing the comprehensive curriculum and policy direction betwee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eparate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by the private sector,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ministries.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his following article suggests some policy improvements needed to systemat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Chapter III is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s a second language. By reviewing the conducted policy status and educational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many opportunit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group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the required things of concrete policy improvement was sought, which would be helpful to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actual operation status'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tual second language. As it is well known, with the abrupt increase of immigrants through marriage with Korean since the 2000s, the intens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Ministry of Justice. Howeve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are the actual target of the policy, still express difficulties in using Korean language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such Korean program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irstly summarizes the Korean education system mainly focusing o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female married immigrants tha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romotes through the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 and the results of the participation was critically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an interview survey conducted by a specialist, the staff mainly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 etc.., the detailed suggestion, such as major points to be supplemen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give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issues summarized in each chapter are again synthesized, and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s the second language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ystematize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identity and role of government departments in charge of national polic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semination.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s a second languag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t is necessary to firstly add and transparently disclose the gender statistics in the result report for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and to do the operational design for the duplication prevention of standardization and operation betwee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 and to survey the actual situation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at the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 which is gradually getting low participation ra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연구방법 5 C. 선행연구검토 6 Ⅱ. 국내 거주 외국인의 증가와 한국어 교육체계 및 제도 현황 16 A. 국내 거주 외국인의 증가 현황 16 1. 체류외국인의 증가 16 2. 외국인주민의 현황 19 B.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체계의 발전과정 24 1. 제2언어(Korean as a Second Language)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념 24 2. 제2언어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체계의 발전과정 26 C. 부처별 한국어 교육정책 및 사업현황 37 1. 부처별 외국인 관련 정책 기본계획 37 2. 정부 각 부처별 한국어 교육사업 세부 현황 46 3. 기관부처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체계 63 D. 소결 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체계화 필요성 65 Ⅲ.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69 A. 정책대상으로서의 여성 결혼이민자의 현황 69 1. 다문화 가족 현황 70 2. 여성 결혼이민자의 인구학적 현황 76 3.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 84 B.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91 1.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체계 91 2.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결과 98 C.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문제점 103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체계 103 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결과 110 3. 한국어 교육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조사 118 D. 소결 2: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 124 IV. 결론 및 제언 128 참고문헌 131 부록 1 136 부록 2 140 ABSTRACT 1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21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Korean as a Second Language) 교육체계의 개선방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s a Second Language :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dc.creator.othernameHong hyunjoo-
dc.format.pageix, 164 p.-
dc.contributor.examiner박통희-
dc.contributor.examiner조정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