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대한 서면 피드백 실제와 교사의 인식

Title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대한 서면 피드백 실제와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educators about written feedback and its reality within the scope of evaluating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essays
Authors
김상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설문 조사와 교사의 피드백 자료를 활용하여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면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쓰기 교육에서 학습자의 쓰기 실력 향상을 위해 교사의 서면 피드백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쓰기 피드백 유형에 따른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만 현실적인 교실 상황에서 교사의 공통된 서면 피드백 방법에 대한 명시적인 교육이나, 참고할 만한 자료가 부재한 경우가 많아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에 대해 살펴보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교실 상황과 학습자의 수, 시간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학습자의 작문 오류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가 서면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서면 피드백 방법에 대한 교사의 실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서면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실제 피드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교사가 인식하는 피드백 유형과 실제 사용한다고 인식하는 피드백 유형이 동일한가? 둘째,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인식)와 실제 학습자 작문에 제공하는 서면 피드백은 일치하는가? 본 연구는 중급 학습자 쓰기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서면 피드백 및 피드백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근무하는 기관에서 서면 피드백을 줄 때 참고할 만한 틀을 가지고 있는 교사 3명과 참고할 만한 틀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교사 2명에게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는 중급 학습자 2명의 작문을 준 후, 교사가 평소에 피드백을 주는 방법과 동일하게 서면 피드백을 주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지에서 제시한 12개의 서면 피드백 유형에 대해 교사가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효과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피드백 유형과 실제 사용한다고 인식한 피드백 유형 중 4개의 피드백 유형의 효과성과 실제 교사가 제공한다고 인식하는 피드백 유형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12개의 피드백 유형 모두 교사가 사용한다고 인식하는 피드백 유형과 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이 일치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서면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서면 피드백 중 어휘, 문법, 철자, 오류 수정 기호 사용, 직접적인 비메타 언어적 피드백은 교사의 인식과 학습자 작문에 제공하는 피드백이 일치하였다. 반면 5명의 교사 모두 학습자들의 오류 유형에 따라 피드백 방법을 다르게 제공해야 한다고 응답하였지만, 학습자의 문장이 이상하여 의미를 추론할 수 없는 문장을 제외한 모든 오류에 5명의 교사 모두 같은 방법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내용 피드백을 모두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지만, 두 명의 교사만 내용 피드백을 주었으며, 그 또한 명확하게 제공한 것이 아니었으며 서면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피드백은 일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서면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피드백이 다르며, 교사가 자신의 서면 피드백 방법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is study utilizes data obtained from a survey research and the feedback material from educator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ducators about written feedback and its reality within the scope of evaluating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essays. Although the importance of written feedback from instructors in undeniable, especially in regard to ameliorati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in writing education, there are, indeed several different studies demon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effectiveness and the type of feedback. Unfortunately there aren't much data that can be used as reference, therefore, an approach towards the educator's perception and practice in relation to the written feedback seems appropriate. There are multifarious limiting factors, for educators to conduct regular evaluation with written feedback, the time and space constraints are few, yet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type of methodology used by instructors when giving that written feedback.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nd analyze data that can illustrate better, how the written feedbacks are given, as well as the instructors' perception to it. First, the type of feedback that is imperative to be given to the learner, in order to attain an improvement of writing skills is the same one that's actually given by the instructor? Second, is the instructor's perception of feedback, the same as the one that's provided? In the present research, we had a prior, interviewed surveyed a total of twenty instructors, that have experience giving written feedback, inquiring for the written feedback itself and the type of written feedback. The 3 instructors that currently work at an institution that provides a rubric for written feedback evaluation of essay or the similar, and 2 that do not have any rubric or template to perform the written feedback evaluation, were given two essays to grade and offer written feedback.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otal 12 types of feedback that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could be beneficial in improving the writing skills of the learners and those that are perceived by the instructor, from the survey conducted a prior to the experiment, the 4 types out of the total 12 that were mentioned to be beneficial and as well as perceived by the instructor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ut, all of the 12 types of feedback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teacher 's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of feedback type and effectiveness. Second, the use of vocabulary, grammar, spelling, error correction symbols, and direct non-metalinguistic written feedback were consistent under the instructor's perception vs actual written feedback. On the other hand, 5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imperative to provide a type of written feedback to match the learners'. A commonality found in corrections, was of feedback given when correcting errors, but in the case of sentences that were vague, or hard to comprehend, the type of feedback vari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prove that the perception of feedback from instructors differ from the actual written feedback provided, as well as, instructors, not being aware of the type of feedback they off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