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다중사례연구

Title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다중사례연구
Other Titles
A multi case study in art therapy helping ade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ur adapt to school life and improve self esteem
Authors
박세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하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학교부적응 청소년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청소년기에 해당하며,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2학년의 고등학생 3명으로, 2017년 4월 17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 주 1-2회 60분씩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총 20회기의 개인미술치료로 진행하였다. 이후 개인별로 3회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술치료와 개인별 심층면접의 매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일지, 연구 참여자의 작품노트, 미술작업 및 작품사진자료, 사전사후 검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검사의 분석과 메모, 전사작업, 심층적인 분석을 통한 주제의 발견으로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의 경험의 상위범주는 <불안한 나를 마주한다는 것>, <내 안에 진짜 나와 만난다는 것>, <치료사의 안아주기를 통하여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을 찾음>, <아쉬운 이 치료의 끝>, <미래를 마주하는 어른스러운 나>이며 하위범주는 <그래서‘나’다운 게 뭔데?>, <나도 날 좋아하지 않는데>, <두려우니 다가오지 마세요>, <이런게 내 안에 있었나?>, <미술, 그 자체로 기분이 좋아지는 것>, <꼬옥 안아줘서 좋았어요>, <빗 속의 우산과 같은 선생님 덕분에, 버티고 싶어졌어요>, <어차피 떠날 거면서>, <진짜 끝이에요?>, <그대로 나를 마주한다는 것>, <다시 나에게로부터 시작되는 이야기>, <미술은 끝, 나는 다시 시작.>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품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였고 자기이해를 분명히 할 수 있었다. 또한 회기별로 제작된 본인의 미술작품을 비교해 봄으로써 작품에 표현된 자기의 긍정적인 내면의 힘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긍정적인 자기표현의 증가로 이어졌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사와의 치료동맹을 통하여 관계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사와의 새롭고 긍정적인 관계겅험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에게 주변환경을 확장하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에서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이미지로 표현하면서 자기를 안전하게 개방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과 심리적 갈등을 탐색하고 표출함으로써 회피하거나 부정하였던 자신의 감정을 다루고 자신을 수용하는 경험을 하였다. 미술작업 이후에는 작업노트를 작성함으로써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자신이 안전한 방법으로 개방하였음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과 미술작품을 통해,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던 불안과 종결에 대한 거부감을 알아차리고 종결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아가, 이렇게 자신의 작품을 바탕으로 종결을 받아들이면서 미래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으로의 전환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학교부적응청소년은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현재 감정과 상황을 안전하고 자연스럽게 개방하고, 미술작품을 통해 자신의 현재의 모습과 감정을 직면하여 들여다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또한 미술치료사와의 치료적 동맹관계라는 새로운 관계경험을 통하여 주변환경을 확장하였고, 미술치료를 통하여 참여 당시 인식했던 자신의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인 해결 의지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그 시작의 주체는 자신임을 깨달았다. 이는 미술치료사와의 종결 이후에의 미래를 대비하고 스스로 일어날 수 있는 내적 성장기반이며 세상으로 나갈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있다고 기대해 볼 수 있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do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r experience during the art therapy helping them adapt to school life and raise their self-respect.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used a multiple case study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st and 2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who study at the Humanities High School. The study had a total 20 sessions of individual art therapy excluding pre-and post-examinations and lasts 60minutes twice a week from April 17 to September 11, 2017 to September 11, 2017. After that, in-depth of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is process, the data of records such as axis record, research observation diary, research participant’s work note, photograph of art work, and pre-and post-examinations personal interview were collected from the each session. The collected data was taken for the detailed analysis of and memorization, transcription work, and discovery of the them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materials, it was derived to a total of 5 parent topics and 12 sub-topics. Parent category of experience of art treatment for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self esteem can hold through , , , , , , , , , , , , , ,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e art treatment experience for adapting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y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objectively recognize their sit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artwork and clarify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artwork of the person who was produced every session, It It was able to confirm that positive inner strength expressed in their work. Secondly,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make positive and new experiences on the relevant aspects through a therapeutic alliance with art therapists. New positive relationship with art therapists extended experience the new environment to youths who were maladaptive and could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relations with others. Third, research participants in art work, expressing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as images, opened up themselves safely. Also, by negotiating and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they treated their own feelings that their avoided or denied, and experienced to accommodate themself. After artwork, by creating a work memo, their were able to notice that they opened up in a safe way through experience of art treatment. Fourth,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accept that the inherent insecurities and their rejection of the en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and art work of art for adapting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In addition, they accepted the termination based on my work in this way, they was able to experience the shift to a new perspective for the future. Together with these conclusions, adolescents who are maladaptive of school open their current emotions and circumstances safely and naturally through art treatment process for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self-esteem, and art works they was ab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see and see in the face of their present appearance and feelings. In addition, through experience of a new relationship of therapeutic alliance with art therapist, they were aware of the need to aggressively resolve their problems that they had expand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cognized during participation during art treatment , They realized that the subject of the start is themself. This is an inner growth foundation that can happen to themself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after the conclusion of the art therapist, and they can expect to see it preparing for going glob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