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0 Download: 0

학의행(郝懿行)의 『산해경전소(山海經箋疏)』연구

Title
학의행(郝懿行)의 『산해경전소(山海經箋疏)』연구
Other Titles
郝懿行的『山海經箋疏』硏究 -以神話解析爲中心
Authors
이정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서
Abstract
20세기에 이르러 중국 신화 연구가 활기를 띰에 따라 최고(最古)의 신화서 『산해경(山海經)』이 각광 받기 시작했다. 여러 주석서 역시 중요한 참고 자료로 그 가치가 재평가 되었다. 동진(東晉) 때 곽박(郭璞)이 처음으로 『산해경』에 주를 달은 이래로 청대 학의행(郝懿行)의 주석서인 『산해경전소(山海經箋疏)』가 정확한 내용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왔다. 하지만 청대의 지배적인 학문이 경학이었던 점, 그리고 그 당시 사람들이 신화라는 개념을 몰랐던 탓에 『산해경전소』는 『산해경』을 고증학과 훈고학을 바탕으로 풀이한 서적으로 간주 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 역시 이와 같은 음성문자적 연구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산해경전소』가 고증학, 훈고학 서적이라 할지라도, 학의행의 세계관을 십분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산해경』이 성립되었던 신화시대의 문화는 다양하고 상호 텍스트적이었기 때문에 후대 경학자들의 사고방식과 견해에만 의존하여 이 시기를 이해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신화학 입장에서 『산해경전소』를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학의행의 사상과 정치적 입장을 확인하고자 음성문자 중심의 기존 연구 방법을 탈피하여 학의행의 『산해경』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산해경전소』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Ⅱ장에서 학의행 이전의 『산해경』 주석서의 흐름을 짚어 보고 뒤이어 Ⅲ장에서 『산해경전소』 성립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여기서 학의행의 생애와 그의 학문적 성과에 대해 다루었고 『산해경전소』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Ⅳ장, Ⅴ장과 Ⅵ장으로 구성된 본론에서 『산해경전소』의 기본 전제와 작동 원리를 정리한 후에 『산해경전소』에 드러난 학의행의 신화 해석 관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의행의 신화 인식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산해경전소』는 무엇보다도 경학의 테두리 안에서 편찬된 서적으로 주를 다는 데 고증학과 훈고학이 주요 방법이었다. 모든 책이 군주의 정치에 도움이 되는 사실을 다루어야 한다는 『사고전서』의 기준에 따라 『산해경』이 거짓으로 치부 받을 때, 학의행은 이 책의 저자가 우 임금이며 그의 애민 정신의 발현이라 생각하여 『산해경』의 진실성을 증명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하였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산해경전소』는 『산해경』이 사실을 기록한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작성되었다. 이어서 학의행의 신화 해석을 현실주의적 관점, 중화주의적 관점, 도교적 관점, 신화학적 관점 그리고 천문우주론적 관점으로 분류하여 그의 사상과 정치적 입장을 분석하였다. 신화를 이해하는 데 학의행이 보인 현실적이고 중화주의적인 태도 이면에서 경학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교적 관점에서, 무서(巫書)로 추정되는 『산해경』인만큼 학의행이 유가 사상만으로 해석할 수 없는 부분을 도교 사상에서 도움을 받아 완성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화학적 관점에서, 전통시기 유학자들이 합리주의, 현실주의를 표방하면서도 신화적 사유방식에 익숙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 천문우주론적 관점에서 중국 전통 과학 이론인 음양론을 통해 중국인들이 물질세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인문적으로 수용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학의행의 신화 인식을 귀납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주술적 현실로서의 신화 인식, 경학자로서의 신화 인식, 도교로서 보완된 신화 인식이 그것이다. 학의행에게 신화란 현실과 분리된 개념이 아닌 주술적 공감을 토대로 한 또 다른 종류의 현실이었다. 이 주술적 현실은 리얼리티에 기반을 둔 현실과 공존했기 때문에 전통시기에 신화는 현실과 다른 별도의 개념으로 성장하지 않았다. 학의행이 신화의 존재를 알지 못했던 것은 그가 우 임금이 실존 인물이라는 유가적 이데올로기를 여과 없이 수용하는 데 일조했다. 그가 『산해경』이 우 임금의 애민 정신의 산물이라 여겼던 것은 그의 경학자로서의 정체성이 추동한 바를 따른 것이다. 때문에 그는 세간의 의견을 거스르고 『산해경』이 진실하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그가 다량의 도교 문헌과 모티프를 인용하여 『산해경』을 해석한 것은 『산해경』과 샤머니즘, 도교 간의 긴밀한 관계를 반증한다. 또 학의행은 경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도교 문헌을 통해 『산해경』에서 아직 모티프로만 출현할 뿐 구체적인 도교 신앙 체계로 발전하지 않은 요소들을 풀이하는데, 이를 통해 중국 기층문화에 깊이 뿌리 내린 도교의 존재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Ⅶ장에서 『산해경전소』가 전통시기와 현대에 받은 평가와 학문적으로 활용된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당대의 경학자들의 문헌을 살펴본 결과 전통시기에 『산해경전소』는 치밀하고 정확한 고증과 훈고 덕분에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뒤이어 근대에 신화 개념이 등장한 이후로 『산해경전소』가 『산해경』 연구, 번역 및 현대적 주석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신화학자들이 『산해경전소』를 저본으로 삼아 『산해경』 연구를 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결론에서 이상의 논의를 정리 및 요약하여 『산해경전소』에서 드러난 학의행의 사상과 정치적 입장을 정리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가 향후 중국 신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짚어보며 전체 논의를 마무리 지었다. ;在20世紀,隨著中國神話研究慢慢活躍起來,中國最古的神話著作『山海經』受到了關注。與此同時,『山海經』註釋本作為重要的參考資料也開始被重新評價。自從東晉的郭璞首次加註以來,清代郝懿行的『山海經箋疏』因其豐富而精確的內容獲得盛評。但清代最普遍的學問是經學,且當時人們並沒有知曉‘神話’這一概念,因此郝懿行在『山海經箋疏』一書當中對『山海經』進行了考證學、訓詁學詮釋。迄今為止,對『山海經箋疏』的研究也沒有超出語言文字方面的研究範圍。 『山海經箋疏』雖然是考證學、訓詁學著作,但依然充分反映了郝懿行的世界觀。同時『山海經』成書的神話時代的文化富有多樣性、互文性(Intertextuality),不應只依賴於後代經學家的意識形態和看法來理解這一時代。因此從神話學的角度對『山海經箋疏』進行深入、系統的研究是非常必要的。為了考察郝懿行的思想政治上的立場,本論文以他對『山海經』神話解析的觀點為中心進行了『山海經箋疏』研究。主要從以下幾個方面展開:一,『山海經』歷代註釋史簡述;二,郝懿行的生平及『山海經箋疏』成書背景;三,『山海經箋疏』的基本思想及前提;四,『山海經箋疏』裡展現的神話解析觀點;五,郝懿行的神話認識觀及其特點;六,『山海經箋疏』的學術地位及對後代的影響。具體的來說,首先在Ⅱ章簡單概括了在郝懿行之前的各『山海經』註本的歷史,在Ⅲ章考察了郝懿行的生涯和『山海經箋疏』成書背景。接著主要在Ⅳ章、Ⅴ章和Ⅵ章對『山海經箋疏』進行了系統的研究。在這一部分中,首先把『山海經箋疏』的基本前提整理之後,從五個方面分析了郝懿行對『山海經』神話的解析。最後推論出郝懿行的神話認識觀。 『山海經箋疏』是一本在經學的影響下寫出來的書,最要主要的加註方法是考證學和訓詁學。並且根據『四庫全書』之‘寓勤誡,廣見聞,資考證者’這一標準,郝懿行竭盡全力來證明『山海經』的真實性及其作家為大禹之說。這兩點是『山海經箋疏』的其本前提。接著把郝懿行的神話解析觀點分為現實主義觀點、中華主義觀點、道教性觀點、神話性觀點、天文宇宙性觀點等五個方面來進行了分析。通過他對『山海經』神話的現實主義、中華主義解析可看出經學對他產生了極大的影響。另外由於『山海經』本身具有巫書的特點,郝懿行用道教思想來解釋了一些『山海經』中無法用儒家思想合理說明的內容。在神話性解析中發現了傳統儒學家雖然主張現實主義、合理主義,但他們依然非常熟悉神話性思維。最後通過分析天文宇宙性解析,考察到了傳統時期儒學家通過中國傳統科學思想,即陰陽論,能夠客觀認識物質世界的同時以人文主義理解大自然。最後綜合這些分析,歸納出了郝懿行的神話認識觀並推導出了三個特徵。一,作為咒術性現實的神話認識觀;二,作為經學家的神話認識觀;三,由道教來完善的神話認識觀。對郝懿行來講,神話不是與現實相對立的概念,而是基於咒術性共鳴的另一種現實,咒術性現實與基於實際的現實共同存在。因此神話沒有發展為與現實不同的,單獨的一個概念。由於郝懿行沒有知道神話概念,他毫無疑問地接受了大禹為真實人物的這一儒家思想。他認為『山海經』發自大禹之愛民精神,這也是由他作為經學家的個性而造成的。因此他反對大多數人的意見而主張了『山海經』的真實性。另外他通過大量的道敎文獻和題材來解析『山海經』,這反映了『山海經』和薩滿,道教之間的密切關係。並從中看出了道教在中國文化根深蒂固的影響。 在Ⅷ章考察了『山海經箋疏』在傳統時期和現代受到的評價,並了解了『山海經箋疏』在現代神話學中運用的現狀。從而可知在傳統時期『山海經箋疏』由其精緻而準確的考證和訓詁獲得了好評。並在現代神話學裡對中國神話和『山海經』研究也起到了很大的幫助。最後,在結語整理了以上的內容,並提出了能夠把郝懿行在『山海經箋疏』展現出的思想政治上的立場應用在對中國神話的批判性研究的潛在可能性。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