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석표-
dc.contributor.author이민지-
dc.creator이민지-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03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03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9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98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4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張愛玲의 『傳奇』작품 내 8편의 소설과 그 삽화가 맺고 있는 관계를 통해 張愛玲의 문학, 나아가 張愛玲의 예술가로서의 면모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고금을 막론하고 중국의 많은 문인들은 글과 그림의 친연성을 강조하고 자신만의 문학과 그림의 세계를 동시에 구축했으며, 이른바 “詩中有畵, 畵中有詩”의 관념 아래 시·서·화(詩·書·畵)의 삼위일체를 통한 동양미학을 실현해왔다. 張愛玲 역시 문학 창작뿐만 아니라 그림에 대해서도 남다른 애정과 실력을 가지고 다양한 그림을 그렸다. 張愛玲이 직접 그린 『傳奇』작품의 삽화 22점은 문학가이자 삽화가로서의 張愛玲의 예술관을 다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가히 주목할 만하다. 태생부터 글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삽화는 기본적으로 문자텍스트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보충 설명하는 기능을 하며, 문학 삽화는 독립된 이미지 언어로서 서사 기능까지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삽화가 단순히 문학 서사에 종속되어 있다는 국한된 시각에서 벗어나, 소설과 삽화의 상호연동관계(相互聯動關係)에 착안하여 張愛玲의 소설집 『傳奇』내 8편의 작품과 그것의 삽화 22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설 삽화에 張愛玲의 예술관이 시각화되는 양상과 하나의 ‘그림텍스트’인 삽화가 소설 속에서 서사를 담당하는 방식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傳奇』의 삽화가 『傳奇』작품의 주제의식을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Ⅱ장에서는 삽화의 정의, 魯迅과 鄭振鐸, 張愛玲의 삽화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여 문학과 삽화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화는 문학과 긴밀한 상호연동관계를 맺고 있어 문학텍스트와 같이 서사를 이끌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뒤이어 張愛玲의 생애 안에서 그녀의 다양한 회화예술영역에서의 활동과 예술관의 형성 배경을 짚어보았다. 정서적으로 불우했던 가정환경, 그리고 혁명과 전쟁으로 물들었던 시대적 배경과 조계지 상하이(上海)라는 공간적 배경의 착종 안에서 인생의 처량함, 불안감, 인성의 복잡다단한 모습 등을 느낀 張愛玲은 문학과 삽화에 ‘엇섞인 대조(參差的對照)’의 수법으로 이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다. 제Ⅲ장에서는 「재스민차(茉莉香片)」와 삽화 2점, 「심경(心經)」과 삽화 3점, 「경성지련(傾城之戀)」과 삽화 3점, 「유리기와(琉璃瓦)」와 삽화 2점, 「금쇄기(金鎖記)」와 삽화 4점, 「젊은 시절에(年靑的時候)」와 삽화 1점, 「꽃이 지다(花凋)」와 삽화 2점, 「붉은 장미와 흰 장미(紅玫瑰與白玫瑰)」와 삽화 5점의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내용의 측면에서 張愛玲의 예술관을 담고 있는 삽화는 문학텍스트와 마찬가지로 서사기능을 담당하며, 기교의 측면에서도 역시 이목구비와 옷, 자세 등의 외양묘사를 중점으로 소설 속 인물의 본성과 심리상태까지 철저하게 표현해내고 있었다. 제Ⅲ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張愛玲의 예술관을 시각화한 삽화가 『傳奇』의 주제의식을 확장하고 있음을 제Ⅳ장에서 서술하였다. 범인(凡人)의 일상서사를 통해 인생과 인성의 진실을 이야기하고자 한 張愛玲의 인본주의적 예술관은 그녀로 하여금 늘 ‘사람’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이목구비, 헤어스타일, 복장 및 장신구뿐만 아니라 인물의 자세 및 시선의 방향까지 아우르고 있는 세세한 인물 묘사는 삽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시각화되었고, 그 인물의 인성과 심리, 인생까지도 모두 담아내었다. 이러한 인물 초상을 통해 『傳奇』소설에서 말하고 있는 여성 의식, 풍자 의식 등의 주제의식이 더욱 확장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다. 또한 張愛玲은 뚜렷하고 명확한 대비가 아닌 ‘엇섞인 대조(參差的對照)’만이 비교적 인생의 진실에 가깝게 묘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傳奇』의 삽화 역시 ‘엇섞인 대조(參差的對照)’의 수법이 시각화되어, 경계와 혼종에 놓인 개인의 불안함과 처량한 인생에 대한 주제의식을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는 총체적 정리와 더불어 張愛玲 연구에 있어 새로운 관점이 되는 초석으로서의 본고의 의의를 언급하였다. 또한 이미지 서사의 관점에서 張愛玲의 산문집 『流言』의 삽화와 『對照記』등을 연구하는 것 역시 유의미한 작업이라 생각하여 이를 추후 과제로 제시하면서 논고를 맺었다. ;本文的研究目的在於爲張愛玲的文學作品提供更深層的理解,並通過張愛玲的小說《傳奇》中的8篇小說與其插圖之間的關系來審視張愛玲作爲藝術家的形象。無論何時,中國諸多作家都在強調寫作與繪畫的親合性,同時建立自己的文學與繪畫世界,並在“詩中有畫,畫中有詩”的觀念之下實現了‘詩、書、畫’三位一體的東方美學觀念。張愛玲不僅創作了許多文學作品,並通過出眾的能力和對繪畫的熱愛繪制了許多插圖作品。 張愛玲親自手繪的《傳奇》內的22幅插圖使我們能夠在多視角下領略到作爲文學家和插畫家的張愛玲的美學觀,這一點非常值得重視。與文字不可分割的插圖的最基本功能是插圖能夠在視覺上起到補充說明文字內容的作用,同時作爲獨立的圖像語言具有敘事功能。因此本文脫離一直以來認爲插圖僅從屬於文學的片面觀點,而是從文學與插圖的互動關系爲重點,分析張愛玲的小說集《傳奇》中的8篇作品與22幅插圖之間的關系。從而發現小說插圖將張愛玲藝術觀予以可視化,並且考察到了小說插圖作爲‘圖象文本’在小說裏起到的敘事性作用。從而總結出《傳奇》中的插圖具有擴展《傳奇》的主題意識的作用。 本論文的結構如下。首先,在第二章通過考察插圖的定義以及魯迅、鄭振鐸和張愛玲對插圖的認識來闡述文學與插圖的關系。如前文所述,插圖與文學有著密切的互動關系,在引導敘事成爲文本方面起著舉足輕重的作用。其次,在張愛玲的生涯裏回顧了她在繪畫藝術領域的各種藝術活動和藝術風格,以及她美學觀的形成背景。不幸的家庭生活,被革命和戰爭侵染的時代背景,租界地上海的空間背景等,在這些錯綜複雜的環境中張愛玲感受到了人生的悲涼,不安和人性的複雜,從而通過“參差的對比”把這些因素充分地表現在了自己的文學作品和插圖裏。 在第三章中,通過《茉莉香片》與其兩幅插圖、《心經》與其三幅插圖、《傾城之戀》與其三幅插圖、《琉璃瓦》與其兩幅插圖、《金鎖記》與其四幅插圖、《年青的時候》與其一幅插圖、《花凋》與其兩幅插圖和《紅玫瑰與白玫瑰》與其五幅插圖,分析了文字與插圖之間的關系。在繪畫內容方面,張愛玲的插圖不僅體現了她的藝術觀,和她創作的文本一樣,插圖也具有敘事的作用。在繪畫技巧方面,張愛玲突出表現人物的五官、服飾、動作等內容,透徹地表現了小說人物的性格和心理活動。 通過對第三章分析的基礎上,在第四章中闡釋了插圖不僅將張愛玲的藝術觀予以視覺化,同時也擴大了《傳奇》的主題意識。張愛玲的人本主義藝術觀,使她善於通過對普通人的日常生活的描寫來談論人生和揭露人性的真面目,也就是她一直感興趣的與‘人’有關的主題。對人物五官,發型,服裝和首飾的描寫以及對人物的姿勢和視線方向的詳細描寫,通通都被插圖非常直接地形象化了。並體現出了人物的性格,心理活動及其人生。 通過這些肖像,《傳奇》小說中提到的女性主義和諷刺意識的主題意識被大大擴展,並有效地傳達給讀者。另外,張愛玲認爲的能夠接近真實,描述人生真相的寫作手法是“參差的對照”,而不是通過鮮明的對比。因此《傳奇》中的插圖也在表明,“參差的對比”的手法被可視化,從而有助於擴大對於在當時租界地,因外來者入侵而引起的個人的不安和蒼涼人生的主題意識。 最後,在第五章整理了以上的內容,並提到了本文試圖從新的視角作張愛玲研究的意義。此外,提出了從圖象敘事的角度上研究《流言》和《對照記》的插圖也有著重大的意義,並以此作爲今後的研究課題。;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stablish a basis for in-depth comprehension of the aspect of Eileen Chang(張愛玲)’s literature, and furthermore, to examine the figure as an artist of Eileen Chang,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Eileen Chang's Legend(傳奇) works and its illustrations. Regardless of all time, many Chinese writers emphasized the affinity between writing and painting, and built their own world of literature and painting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nsubstantiality of ‘Poetry·Writing·Painting(詩·書·畫)’ of the Oriental aesthetics could have been realized. Eileen Chang also painted a variety of drawings with her exceptional affection and ability as well as literary crea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22 illustrations of 8 works of Legend, which were drawn by Eileen Chang, allow us to comprehend the aesthetics of Eileen Chang as a writer and illustrator in various ways. Illustrations that have been indivisibly linked with the text, basically perform a function to describe and deliver the contents of the text visually. Especially, literary illustrations are independent image languages ​​and also play narrative functions. Therefore, the thesis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8 works in Eileen Chang's novel Legend and its 22 illustrations, focusing on the interworking-relation between literatures and illustrations, away from the limited perspective that the illustration is merely subordinate to literature. As a result, it is obvious that the way of the artistic view of Eileen Chang is visualized in the illustrations and the way of narrative as an ‘image text’. Ultimately, it is manifested that the illustrations of Legend did go beyo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Legend. The organization of the thesis is as follows. First, ChapterⅡ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illustration by examining the definition of illustrations, and Lu Xun(魯迅), Zheng Zhen Duo(鄭振鐸), and Eileen Chang's perception of illustrations. As it was described above, illustrations have a close interworking relationship with literature, and play an pivotal role in leading narrative as literature texts. And then, it pointed out her various style in the fields of artworks and her background of aesthetics created in her life by and large. ChapterⅢ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Jasmine Tea(茉莉香片) and its 2 illustrations, Mind’s Pain(心經) and its 3 illustrations, Love in A Fallen City(傾城之戀) and its 3 illustrations, Glass Tile(琉璃瓦) and its 2 illustrations, The Golden Cangue(金鎖記) and its 4 illustrations, In One’s Youth(年青的時候) and its 1 illustration, Withered Flowers(花凋) and its 2 illustrations, and Red Rose White Rose(紅玫瑰與白玫瑰) and its 5 illustrations, respectively. The illustrations containing Eileen Chang's artistic view, not only perform the narrative function as the literary text, but also thoroughly express the nature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aracters with emphasis on the 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such as the face, clothes, and posture.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Ⅲ, ChapterⅣ explained that Legend’s illustrations, which visualized Eileen Chang's artistic view expa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Legend. Eileen Chang's humanistic art view, who wanted to talk about the truth of lif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daily narrative of the normal people, always made her to become interested in ‘people’. The details of the appearance description, including the figure, hairstyle, costume, and ornaments, as well as the details of the people’s attitude and gaze, were intuitively visualized through illustrations, including the personality, psychological state and life of the person. Through these portraits,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feminism and satire consciousness, which are mentioned in the novel, can be expanded and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to the readers. In addition, Eileen Chang thought that “Uneven Contrasts(參差的對比)”, could be described as relatively close to the truth of life more than an obvious contrast. Therefore, the illustrations of Legend also showed that the method of "Uneven Contrast" is visualized which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ubject's anxiety derived from living within the boundary, hybridity and the theme of disgusting life. Finally, ChapterⅤ mentioned the significance of the thesis which marks as a cornerstone of a new perspective in the study of Eileen Chang in addition to its overall theorem. Furthermore, it conclud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narrative, it would be also meaningful to study the illustrations of Written On Water(流言) and Looking at the Old Photos(對照記).-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 2. 선행연구 6 Ⅱ. 문학과 삽화의 관계 및 張愛玲의 회화예술 11 1. 문학과 삽화의 관계 11 2. 張愛玲의 회화예술 16 Ⅲ. 傳奇작품과 삽화의 관계 분석 25 1. 재스민차(茉莉香片)과 그 삽화 (2점) 25 2. 심경(心經)과 그 삽화 (3점) 38 3. 경성지련(傾城之戀)과 그 삽화 (3점) 50 4. 유리기와(琉璃瓦)와 그 삽화 (2점) 59 5. 금쇄기(金鎖記)와 그 삽화 (4점) 69 6. 젊은 시절에(年靑的時候)와 그 삽화 (1점) 79 7. 꽃이 지다(花凋)와 그 삽화 (2점) 86 8. 붉은 장미와 흰 장미(紅與白)와 그 삽화 (5점) 97 Ⅳ. 예술관의 시각화와 傳奇의 주제의식의 확장 108 1. 인본주의적 예술관의 시각화와 그 주제의식의 확장 108 2.엇섞인 대조(參差的對照)의 시각화와 그 주제의식의 확장 113 Ⅴ. 결론 119 참고문헌 122 도판목록 126 中文摘要 128 ABSTRACT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496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張愛玲 文學과 揷畫의 關係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傳奇』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張愛玲文學與插圖之關系研究 : 以『傳奇』爲中心-
dc.creator.othername李敃智-
dc.format.pagev, 132 p.-
dc.contributor.examiner이보경-
dc.contributor.examiner신하윤-
dc.contributor.examiner홍석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