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4 Download: 0

김소월 시에 나타난 블랑쇼적 '바깥' 경험 연구

Title
김소월 시에 나타난 블랑쇼적 '바깥' 경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aurice Blanchot's External Experience Embodied in Kim sowol's Poems
Authors
Zhang, Zhengya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이 논문은 블랑쇼의 바깥(Dehors) 이론을 통해 김소월 시의 새로운 해석적 가능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본 논문은 '세계의 한계'와의 관계,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의 측면에서 소월 시의 세 가지 주요 모티브인 고향, 사랑, 죽음을 분석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월 시와 블랑쇼의 바깥 이론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세계의 한계와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홀로-존재'의 불가능성의 측면에서 소월 시에 나타난 고향 상실, 애인(愛人) 상실, 그리고 삶의 유의미성 상실이라는 주제를 살펴보았다. 블랑쇼에 의하면 홀로 바깥을 마주하는 인간은 수동성·익명성·중성성이라는 바깥의 경험을 체험하게 된다. 따라서 소월 시에서 고향의 회귀 불가능성을 직면하는 화자는 비관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저항 없이 수동적으로 현실을 받아들인다. 또한 떠난 '님'에 대한 사랑에 있어 화자는 자아의 파멸, 자의식의 상실을 드러내 보인다. 끝내 이상(理想) 세계로 진입하지 못한 화자는 삶의 허무함을 느껴 현실성을 잃고, 존재하는 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도 말할 수 없는 '중성적인 것'의 경험을 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공동-존재'의 가능성의 측면에서 소월 시를 살폈다. 식민통치 상황 앞에서의 화자와 민중, 사랑 앞에서의 화자와 '님', 그리고 죽음 앞에서의 화자와 망자(亡者)에게 열리는 공동체를 살펴보았다. 소월 시에 드러나는 꿈과 현실의 대립의 양상은 일제강점기의 민중에게 땅을 잃고 가족을 잃는 고통으로 나타났다. 소월의 시는 이러한 상황을 보여주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민중들을 공동체의 형식으로 모이게 한다. 그의 시작품은 바로 이런 방식으로 민중이 소통하는 도구가 되며 일제강점기에 대항하는 힘이 된다. 또한 소월의 연시에서는 화자가 이미 떠난 '님'을 여전히 사랑하고, 자기의 전부로 여기는 특징이 있다. 블랑쇼에 의하면 사랑은 '불가능성의 경험'을 하게 하는데, 이때 절대적인 타자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타자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 관계에서 타자의 현전에 자신을 내맡기는 것을 통해 인간은 불가능성을 견뎌낼 수 있다. 소월 시의 화자의 모습은 바로 사랑의 공동체에 속한 인간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소월 시에 드러나는 화자와 망자(亡者) 간의 교류는 죽어가는 자의 죽음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가능해진다. 이때 블랑쇼적 의미에서 화자는 죽어가는 자가 드러내는 바깥에서의 고통을 공유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죽어가는 자와 함께 있다는 행위, 즉 죽어가는 자의 옆에 현전하는 행위를 통해서 인간은 존재의 가능성, 삶의 희망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블랑쇼의 이론을 접목하여 소월 시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했다. 본 논문이 소월 시 연구 분야에 있어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xternal theories of Blanchot to understand the verse of Kim sowol. Through the relations with the limits of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this thesis analyzes three main themes of Kim sowol's poems, such as the hometown, love and death. By which, it expos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Kim sowol's poetry and Blanchot's external theory. In Chapter II, on the side of impossibility of exist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limits of the world, it analyzes the themes of the loss of hometown, the loss of love and the loss of meanings of life in Kim's poems. According to Blanchot, when human beings face the outside world alone, one would have passive, anonymous, and neutral experiences. Therefore, after experiencing the loss of their hometown, the loss of their loved ones, and the loss of the meaningful life, the speaker would inevitably strike a sympathetic chord with Blanchot's external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in facing with the never-back hometown, the speaker shows pessimistic attitude towards the painful reality; in facing with the left lover, the speaker tends to deprive oneself and depart from ‘Jemeinigkeit’ in their love experience; and in facing with the estrangement from the ideal world, the speaker’s empty life experience is more like an unrealistic neutral experience that can not distinguish the existence from the non-existence. In Chapter III, from the side of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required in relation to the other, the community, build by the speaker and the populace under the colonial rule, the speaker and lover in front of love, and the speaker and the deceased in front of death in Kim sowol’s poetry, is analyzed. The opposition between dream and reality reflected in Kim sowol’s poetry, in the way to show people the pain of losing their family and hometown during the period of colonial rule, gains the resonance of the masses, and makes countless masses form a community according to common memory. In this way, the poet Kim sowol made poetry become the channel of communication among the people, and eventually became the power of fighting against colonial rule. In addition, in Kim sowol’s poetry, facing the lover who has left, the speaker still chooses to love and regard lover as the whole of the world. This feature of Kim sowol’s love poems can be seen as the external caused by the impossibility of love, the speaker creates a relationship with the lover by missing the lover, and through the other’s present reflected in this relationship digest the impossibility of love. Final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deceased reflected in Kim sowol’s poetry can be seen as sharing the death of the deceased, thereby sharing the external pain and suffering brought by death in one way; and also can be seen as being close to the deceased to get the present surrounding the deceased in another way. And this present makes the speaker regain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and the hope of continuing life. In summary, this paper helps to broaden the scope of the study of Kim sowol’s poetry, hope that through this paper, the new inspiration and perspective of Kim sowol’s poetry research can be gain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