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A Study on Job Embeddedness, Turnover Intention, and OCB

Title
A Study on Job Embeddedness, Turnover Intention, and OCB
Other Titles
직무배태성,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에 관한연구 : 직무소진감의 매개 효과
Authors
LI, WENBO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혜련
Abstract
In modern society, long-term work related stress and the pressure of competition makes our employees get tired of working. Job burnout and lots of turnover among employees routinely happen in the workplace. A lot of scholars devote themselves to finding a good way which can help enterprise to decrease employees’ job burnout and figuring out how to retain talent while also increasing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hen Freudenberger first used this expression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it was being used to describe the workers, and work itself, in the process of encountering various conflicts and, particularly, conflicts caused by the physical, emotional, behavioral exhaustion. The application of this term and the introduction of widespread concern in the community is because job burnout is now a modern occupational ‘disease’ in China. China has entered a high period of professional exhaustion, the time it takes modern people to become tired of working the same occupation is getting shorter and shorter. A survey in Shanghai showed that 33.3 percent of people in the same job had been two years had job burnout. According to Hudson International Consultants Limited on April 18, 2006 published in the second quarter of 2006, "China Hudson Employment Report" shows: "In the industry, 33% of the company said that the job burnout happens easily in Chinese society." At present, the professional depletion gradually spread to many industries, and today, in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business community, employees take a huge responsibility under the extraordinary psychological pressure. According to the Chinese workplace anxiety survey report: the desire of staff to leave is up to 64.57% for blue collar workers and, still, 35.54% of white-collar workers have the same feeling, showing a difference in job burnout between levels of employment. In this study, I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job embeddedness, job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OCB.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job embeddedness and OCB. The target respondents of the study are working adults employed at China Southern Airline in Changchun, China. One hundred and seventy-five employees answer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I used Amos 23.0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path analysis in my study to test the hypotheses. Based on China’s special situation, I added job embeddedness into my research model because Chinese people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relationship-cul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job embedded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Job embedded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 Also, job burno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job burnout show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However, no mediation effect was found to affect the relationships of job embeddedness and OCB with job burnout. This study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negativ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was confirmed again in this study. In the meanwhil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job embeddedness can decrease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through decreasing their job burnout. So, for high-pressure industries, supervisors can focus on how to enhance employees’ job embeddedness to retain talents and decrease enormous loss.;요즘 사회경쟁이 심해지면서 임직원의 스트레스와 업무강도도 강해지고 있다. 임직원의 직무소진감이 생기며 이에 따라 이직현상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전의 선행연구를 보면 직무소진감이 선행요인으로서 임직원의 이직의도, 이직행동, 직무만족감, 조직성과, OCB에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Jackson은 교사의 직무소진감과 이직의 관계를 연구했을 때 교사의 이직의도가 직무소진감의 3가지 차원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런데 교사의 실제 이직행동은 정서적 소진하고만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Firth와Britton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간호사의 이직행동은 냉소주의하고만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선행연구의 결과가 이러한 차이가 있어서 더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전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간호사, 교수, 변호사, 경찰과 같은 직업인이다. 그런데 지금 직무소진감은 여러 가지 산업에서 다 존재하고 있다. 더 이상 연구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OCB는 개인 본연의 직무는 아니지만 전반적인 조직 성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직무외 행동을 하는 개념이다. 직무설명서에 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시민으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조직에 대한 시민의식의 자발적 협력적인 분위기를 고취하는 행동이다. 직무배태성은 조직 또는 큰 공동체로부터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는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왜 잔류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적합성, 연계, 희생 3가시 구성요소가 있다. 어느 한 곳에 잔류한다는 의미에서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를 낮추어 인재를 유지하는데 기여를 한다. 연계는 구성원이 직장과 자신의 공동체에 속하는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 대해 애착을 가지고 있는 정도, 적합성은 사람들이 자신의 직무와 공동체에 부합하는 정도, 희생은 이직함으로써 자신이 희생해야 하는 정도를 말한다. 직무배태성은 2004년에 Mirchell연구에서 조직과 지역사회 직무배태성으로 나눴다. 여기서 말하는 조직 내(on-the-job)는 조직 직무배태성을 의미하고, 조직 외(off-the-job)는 지역사회 직무배태성을 말한다. 이 논문은 주로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와 이직의도 (turnover intention) 그리고OCB의 관계에서 직무소진감의 간접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가설은 아래 몇까지가 있다. 먼저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 조직무배태성은 조직시민행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무배태성은 직무소진감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무소진감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무소진감은 조직시민행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논문은 직무소진감의 간접효과를 연구하겠다. 직무배태성은 직무소진감을 경유햐여 이직의도과 조직시민행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가설3, 가설4 그리고 가설 6만 지지한다.직무배태성은 직무소진감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직무배태성은 조직시민해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직무소진감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직무배태성은 직무소진감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에 간접효과가 나타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